[태그:] 보물
-
강릉 해운정(보물), 경포호수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
강원도 강릉시 운정길에 위치한 정자인 강릉 해운정(海雲亭)이다. 조선 중기인 1530년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했던 심언광이 지은 주택의 별당 건물로 심상진 가옥 옆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중기에 지어진 건물로 오죽헌과 함께 강릉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중 하나이다. 율곡 이이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이 곳에 들러서 글을 남겨 놓고 있으며, 해운정(海雲亭)이라 적힌 현판 글씨는 송시열이 썼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보물)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봉인사 부도암에 있던 사리탑과 사리엄장구이다. 사리탑은 조선중기 광해군대 왕실의 안녕을 빌기 위하여 세웠다. 승려의 사리를 안치하는 승탑 형태를 하고 있지만 부처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운 사리탑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1987년 우리나라로 돌아왔다고 한다. 사리탑은 경복궁에서 전시되고 있다가 지금은 별도로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사리엄장구는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사리탑에서는 놋쇠그릇 3점과 은그릇…
-
강릉 오죽헌(烏竹軒, 보물)
강원도 강릉시 율곡로에 남아 있는 조선중기 고택인 오죽헌(烏竹軒, 보물)이다.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가 태어난 유서깊은 곳으로 개인이 살았던 저택 중 가장 잘 알려진 곳이기도 하다. 오죽헌은 이 집의 별당 건물로 조선초기 문신이었던 최치운(1390~1440년)이 처음 지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이 건물을 간결하면서 단정한 느낌을 주고 있다. 앞면 3칸 중 2칸은 넓은 대청마루, 1칸은 온돌방으로 되어…
-
청자 음각 ‘상약국’명 운룡문 합(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든 “‘상약국’이 새겨진 청자용무늬 합(보물)”이다. 원통모양의 비교적 큰 합(盒)으로 뚜껑에 ‘상약국’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어 약을 담는 용기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뚜껑에는 구름과 용무늬가 음각기법으로 새겨져 있다. 청자 전성기(12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단순한 외형을 하고 있지만, 투명한 빛깔과 섬세하게 새겨진 뚜껑의 무늬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상약국(尙藥局)은 고려 목종 때 설치되어 충선왕때까지 있었던 왕실 의료기관으로…
-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양각물가풍경무늬 정병(보물)”이다. 몸체의 한면에는 물가의 갈대와 기러기 1쌍을 그렸고 다른 면에는 수양버들 아래에서 수영하고 원앙 1쌍을 그려 놓고 있다. 이 정병는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청동은입사기법으로 만든 정병(국보)과 거의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다. 청동으로 만들어 사용하던 동기(銅器)를 모방하여 만든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만든 수법이 매우 세련되었으며 안정적인 느낌을 주고…
-
청자 귀룡모양 주자(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귀룡모양 주자(보물)”이다. 연꽃 위에 거북이가 앉아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 주전자이다.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 얼굴은 실감나게 표현하고 있으며, 등 위에 붙어 있는 잎은 연잎모양을, 손잡이는 연줄기 형상을 하고 있다. 거북등 무늬 안에는 ‘王’자를 넣어 두고 있다. 동물모양을 형상화한 상형청자로 전체적으로 비례가 적정하며 안정감을 주고 있다. 청자 귀룡모양 주자(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