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보물

  • 창경궁 환경전, 경춘전, 통명전(보물)과 양화당

    창경궁 함인정 뒷편으로 침전건물인 환경전, 경춘전, 통명전, 양화당이 남아 있다. 4동이 건물 모두 비슷한 규모의 건물로 국왕과 왕비, 대비들을 위한 처소로 지어진 건물이다. 동궐에서 국왕의 처소는 창덕궁이 중심이었기때문에 이 건물들은 국왕부부, 세자부부, 대비들이 당시 상황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사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넓은 마당에 큰 건물들만 남아 있는데, 원래는 각 건물들이 행각으로 둘러져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 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과학문화

    조선왕실과 관련된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 고궁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유물 중 문화재로 지정된 것이 가장 많은 분야가 천문.과학과 관련된 분야일 것이다. 조선시대 과학은 국왕의 권위를 높이고 통치의 기본이 되는 분야로 제왕의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조선 뿐만 아니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통치자는 하늘을 뜻을 이해하고 대리함을 의미하는 천문과 기상관련 분야를 직접 관장했다. 이는 오늘날 날짜를 계산하는 주요…

  • 창경궁 외조, 홍화문(보물)과 명정문(보물)

    동쪽을 향하고 있는 창경궁 정문인 홍화문을 들어서면, 창덕궁 후원 연못들과 춘당지를 거쳐서 흐르는 금천이 있고, 금천을 건너는 돌다리인 옥천교가 제일 먼저 보인다. 창경궁에서는 홍화문과 정전 출입문인 명정문 사이를 외조(外朝)라고 할 수 있으며 외행각으로 둘러져 있다. 외조는 국왕의 즉위식이 치러지는 장소이며, 정전에서 국가적인 행사를 치룰때 하급관리들이 대기하는 장소이다. 창경궁은 법궁이 아니었기때문에 외행각에는 주요 관청들이 들어서 있지…

  • 창덕궁 선원전(보물) 일원, 역대국왕의 어진을 모신 전각

    창덕궁 선원전(보물)는 역대 국왕의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정전인 인정전 서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선원전은 임진왜란을 경복궁 선원전이 불타버린 후 숙종대에 역대 국왕의 어진을 모시기 위해 창덕궁 궐내각사 뒷편에 세웠다. 원래는 태조, 세조, 원종을 모셨던 것을 후에 숙종.영조.정조.순조.익종.헌종, 철종, 고종의 어진이 봉안되면서 11실로 구성되었다. 건물은 앞면9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데, 종묘 정전이나 일반적인 사당과 달리 판문을…

  • 창덕궁 낙선재(보물) 일원, 조선왕실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거처했던 궁궐 전각

    창덕궁과 창경궁 사이에 위치한 낙선재(보물) 일원은 1846년(헌종 12)는 창건된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와 취운정.한정당.상량정, 승화루, 삼삼와, 칠분서 등을 볼 수 있는데, 승화루 등 낙선재 뒷편에 있는 건물들은 실제로는 세자가 거처하던 동궁에 속한 건물들이다. 낙선재는 헌종이 후궁이었던 경빈을 위해 지은 건물로 창덕궁 후원의 연경당, 경복궁 건청궁처럼 국왕이나 왕비들이 궁궐에 들어오기 전에 살았던 사대부 저택처럼 꾸며놓은 처소이다. 낙선재는…

  • 창덕궁 침전, 국왕의 생활공간 대조전(보물) 일원

    창덕궁은 삼조제도(三朝制度)에 따라 신하들의 공간인 외조(外朝), 국왕이 정무를 보는 치조(治朝), 왕과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연조(燕朝)가 분리되어 있는데, 경복궁과는 달리 자연지세에 순응하여 치조의 중심공간인 정전 동쪽에 연조가 자리잡고 있다. 창덕궁 대조전은 국왕과 왕비가 거처하는 공간으로 국왕의 일상적인 업무공간인 희정당 뒷편에 자리잡고 있다. 창덕궁 연조는 국왕 침전인 강녕전과 왕비 침전인 교태전이 분리된 경복궁과는 달리 대조전에 국왕과 왕비의 침전이…

  • 안동 하회마을, 2012년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류씨가 집성촌을 이루며 대대로 살아온 대표적인 양반마을이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경주 양동마을, 안동 천전마을, 봉화 닭실마을과 함께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길지로 손꼽혔던 마을로 서애 류성룡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하회마을은 원래는 허씨와 안씨가 살았던 집성촌인데, 조선초 인근 풍산에서 고려시대 지방 호족에 해당하는 향리였던 풍산류씨가 들어왔다. 마을에는 풍산류씨 입성조인 류종혜가 심었다는 수령 600년이 넘은 삼신당이 있으며, 그곳에서…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국보), 조선초를 대표하는 승탑

    충북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청룡사 절터에 남아 있는 보각국사탑(국보)이다. 고려말에 활동한 보각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으로 정식 명칭은 ‘청룡사보각국사정혜원융탑’이다. 탑은 8각형평면을 기본으로 하고있는데, 기단 아랫받침돌과 윗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으며 가운데받침돌에는 사자상과 용을 교대로 새겼다. 탑신 몸돌에는 각면마다 무기를 들고 있는 탑신 몸돌에 새겨 넣은 신장상과 그 사이에 구름에 휩싸인 용을 섬세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새겨 놓고 있다. 승탑…

  • 안동 양진당(보물), 2012년

    안동 하회마을에 남아 있는 양진당(보물)이다. 이 저택은 풍산류씨 집성촌인 하회마을에서도 종택에 해당하는 고택으로 류성룡의 형인 겸암 류운영(1539~1601)의 고택이다. 사랑채에는 ‘입암고택(立巖古宅)’고택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류운룡의 아버지이자 관찰사를 지낸 류중룡의 호에서 따온 것이라 한다. 양진당은 류운룡의 6대손으로 이 집을 크게 중건한 류영의 어릴때 이름에서 따왔다고 한다. 원래 99칸 저택이었던 이 저택은 ‘ㅁ’자영 살림집과 별당형식으로 지은 사랑채, 사당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