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금속공예
-
무령왕비 금제관식(국보), 연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공주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비 관장식(국보)이다. 왕관을 꾸미는 장식으로 머리 양쪽에 꽂을 수 있도록 1쌍으로 되어 있다. 금판을 뚫어서 덩굴무늬를 장식하고 있다. 중간에는 꽃무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연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을 하고 있다. 무령왕 관장식에 비해서 간결한 느낌을 주고 있다. 웅진기 백제에서는 왕비도 관장식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무령왕 관장식과는 달리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무령왕 관장식과 마찬가지로 덩굴무늬와…
-
무령왕 금제관식(국보), 불꽃이 피어오르는 형상의 관장식
웅진기 백제를 대표하는 유물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 관장식(국보)이다. 왕관을 꾸미는 장식으로 머리 양쪽에 꽂을 수 있도록 1쌍으로 되어 있다. 금판을 뚫어서 덩굴무늬를 장식하고 있다. 중간에는 꽃무늬가 있으며 전체적으로 불꽃이 타오르는 형상을 하고 있다. 금판을 뚫어 장식을 하는 기법은 한성기 백제때 중앙에서 지방세력에게 보내준 공주 수촌리고분, 서산 부장리고분 등에서 출토된 금동관에서도 볼 수 있다. 덩굴무늬와 연꽃무늬는…
-
[공주박물관 무령왕릉실] 무령왕 관장식을 비롯한 금속공예 장신구
웅진시대 백제와 공주를 대표하는 유물인 무령왕 금제장식과 신발, 뒤꽂이, 허리띠장식과 봉황무늬가 있는 큰 칼 등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들이다. 백제의 화려한 문화 수준을 잘 보여주는 유물로 대부분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주로 주조, 단조기법으로 만들어졌으며 표면에 다양한 기법으로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웅진기 백제의 화려한 금속공예기술을 잘 보여준다. 무령왕은 『삼국사기』에는 동성왕의 아들로, 『일본서기』에는 동성왕의 이복동생으로 기록되어 있다. 웅진으로…
-
청동 은입사포류수금문 정병(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청동 은입사포류수금문 정병(靑銅銀入絲蒲柳水禽文淨甁, 국보)이다. 물가의 풍경이 은입사기법으로 그려져 있다고 해서 물가무늬정병이라고 불린다. 물가무늬 풍경은 버드나무와 물위를 한가로이 오가는 오리와 하늘을 나는 새들이 있는 풍경을 그린 그림을 장식한 것을 말하며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이라고 한다. 고려시대 금속제 정병이나 청동향완, 도자기 등에 많이 쓰였던 무늬이다. 이런 무늬를 그린 정병은 다양한 형태로 많이 만들어 경우가 많다고 하며,…
-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엄장구(보물), 2011년
경북 경주시 양동면 용당리 감은사지 서삼층석탑에서 출토된 사리엄장구이다. 1956년 서삼층석탑을 해체.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사리엄장구는 청동으로 만든 사리함(외함)과 사리를 넣었던 사리기로 구성되어 있다. 사리함은 옆면에 사천왕상이 새겨져 있으며, 짐승얼굴모양의 고리가 사천왕상 옆에 달려 있다. 청동으로 만든 사리기는 기단과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탑에서 출토된 사리구(보물)와는 달리 닫집형태를 만드는 기둥과 지붕이 남아 있지 않다. 사리함을 장식하고 있는 사천왕상은…
-
감은사지 동탑 사리엄장구(보물), 2015년
경북 경주시 감은사지 삼층석탑(국보) 중 동탑에 모셔졌던 사리구(舍利具)이다. 사리구는 외함, 사리기, 사리병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함은 겉면에 사천왕상이 표현되어 있으며, 양쪽에 귀신얼굴모양의 고리가 있다. 부처의 사리를 모셔두는 사리기는 닫집을 모방해서 만들었는데 기단부, 몸체, 천개로 이루어져 있다. 기단부 모서리에는 사자상을 배치하고 있다. 기단부 안상모양 장식에는 신장상과 보살상이 있다. 몸체에는 사리병을 중심으로 사천왕상과 승려상을 배치되어 있으며 모서리에는…
-
여주 출토 동종 (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여주 출토 동종(보물)이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몸통에 있는 위패모의 틀 안에 ‘청녕4년(淸寧四年)’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청녕(靑寧)4년은 요(遙)의 연호로 1098년(고려 문종12)을 말한다. 길이 84㎝로 크지 않은편이다. 용뉴는 용이 고개를 들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신라종과 마찬가지로 몸통의 위.아래에 띠를 두르고 있으며, 4곳에 유곽을 두고 있다. 몸통에는 흥천사종과 달리 4곳에 비천상을 새겨 놓고 있는데…
-
천안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聖居山天興寺銘銅鍾, 국보)이다. 국내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범종 중 가장 큰 규모로 높이 1.33m이다. 꿈틀거리는 용모양이 새겨진 종의 고리인 용뉴는 살아 움직이는 듯하며, 소리울림을 도와주는 대나무 모양의 용통(甬筒)이 있다. 몸통 위쪽 띠 아래에는 4곳에 사각형의 유곽이 있는데, 돌출된 연꽃 모양의 종유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유곽 아래에는 연꽃모양의 당좌를 2개…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청동거울과 금속제 그릇
청동거울은 청동기시대부터 사용되어온 것으로 전국의 주요 박물관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전시되어 있다. 원래는 제사장이나 부족장의 권위를 나타내는 주술적인 용도였으나, 점차적으로 화장을 위한 일상용품으로 그 용도가 변하고 고려시대에 보편화되었다고 한다. 제작연대도 삼국시대 이전부터 만들어진 것이 많다. 청동거울에는 주술적의미나 장식적인 목적으로 다양한 그림이나 글자를 새겨 놓고 있으며, 조형미가 우수하며, 보존상태가 좋은 유물들이 많은 편이다. 때문에 박물관에 전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