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조선후기

  • 순천 송광사 삼청교와 우화각,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곳

    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 삼청교와 우화각이다. 대웅전이 있는 경내로 들어가는 돌다리로 송광사에서도 경치가 가장 아름다운 장소로 손꼽힌다. 삼청교는 잘다듬은 돌을 쌓아 홍예를 만든 돌다리로 조선후기 숙종 때 처음 만들어졌다. 규모가 웅장하거나 건축수법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사찰 앞을 흐르는 작은 개울과 전각인 임경당, 사자루와 어우러져 하나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삼청교 위에 있는 작은 통로 건물인 우화각이…

  • 영주 무섬마을 김위진 가옥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에 있는 김위진 가옥이다. 19세기 말에 지어진 한옥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경북 북북지방 양반가옥의 평면배치를 하고 있다. 앞면 5칸, 옆면 5칸반의 비교적 큰 규모의 한옥이다. 사랑채는 앞면에 툇마루를 설치하고 난간이 있는 구한말 누마루 형식을 하고 있는데 안채에 비해 크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당시 유행했던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마굿간이…

  • 영주 무섬마을 만죽재고택, 반남 박씨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에 있는 만죽재고택이다. 반남 박씨 입향조인 박수가 17세기에 마을로 이사오면서 처음 자리잡은 종택을 마을 중심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경북 북부지방 양반가옥의 평면배치를 하고 있는데, 앞쪽에 사랑채는 난간이 있는 2층 누각처럼 지었다. 웅장하지는 않지만 종택답게 간결하면서도 격식을 갖추고 있는 고택이다. 영주 무섬마을은 17세기 중엽이후…

  • 영주 무섬마을 해우당 고택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에 있는 해우당고택이다. 이 가옥은 마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저택으로 마을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구한말에 지어졌는데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평면구조를 하고 있다. 사랑채는 지반을 기둥을 높게 세우고 툇마루에 난간을 둘러 누마루처럼 꾸몄다. 마당 한쪽에는 작은 규모의 작은사랑채를 두고 있다. 사랑채에는 흥선대원군이 친필로 쓴 ‘해우당’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영주 무섬마을은 17세기 중엽이후…

  • 영주 화기리 인동장씨 종택, 조선초 공신 장말손 후손들이 사는 고택

    경북 영주시 장수면 화기리에 있는 인동장씨 종택이다. 조선초 세조때 공신 장말손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고택이다. 건물은 16세기 중엽에 처음 지어졌으며,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는 앞면 4칸 규모의 건물로 난간이 있는 2층 누각처럼 지어졌다. 뒷편에는 위패를 모시는 사당을 두고 있다. 장말손초상(보물)를 비롯하여 보물로 지정된 여러점의 문화재가 고택 유물각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초 공신 장말손 후손들이…

  •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2011년)

    강원 원주시 일산동 감원감영터(사적)에 남아 있는 선화당(宣化堂)이다. 강원감사가 집무를 보던 공간으로 지방 관아의 동헌과 비슷한 역할을 하던 건물이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숙종때인 1667년에 다시 지어졌다. 현재 남아 있는 선화당 건물로는 충남 공주의 충청감영 선화당과 대구의 경상감영 선화당이 있는데 그중 강원감영 선화당이 가장 오래되었다. 앞면 7칸, 옆면 4칸의 상당히 큰 건무로 한양의 의정부나 육조의 정청과 비슷한…

  • 원주 김두한 가옥, 조상 묘 관리를 위해 지어진 가옥

    강원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에 있는 ‘김두한 가옥’ 이다. 260여년전 원주 목사를 지낸 김탄행의 묘를 관리하기 위해 지은 집이다. ‘ㄱ’자형으로 된 안채와 사랑채, 문간채가 ‘ㄷ’자형을 이루며 마당 옆 곳간채와 함께 전체적을 튼 ‘ㅁ’자형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대문 왼쪽에는 사랑채, 오른쪽에 문간채가 있다. 안채는 넓은 부엌과 대청마루, 3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엌 맞은편에 2개의 방이 있는 작은…

  • 제천 청풍 후산리 고가, 19세기 건축양식이 잘 반영된 한옥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 단지에 있는 청풍 후산리 고가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청풍면 후산리 마을에 있던 가옥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ㄱ’자형 주택으로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과 안방이, 오른쪽에 사랑방이 배치되어 있다. 사랑방은 방을 높게 만들고 앞과 옆에 넓은 툇마루를 두어 누마루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다. 대청마루 한쪽편에 조상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올리던 감실을 두다.…

  • 제천 청풍 황석리 고가, 양반계층이 살았던 작은 기와집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 단지에 있는 청풍 황석리 고가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청풍면 황석리 마을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양반가옥으로 본채와 작은 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본채는 앞면 4칸 규모의 ‘-‘자형 건물로 부엌 앞에 창고로 보이는 작은 툇간을 두고 있다. 대청마루를 두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집안행사가 많지 않은 분가한 후손이 살았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