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유적지
-
아산 맹씨 행단 (사적), 조선초 청백리 맹사성 일가가 살았던 곳
충남 아산시 배방면 중리에 있는 맹씨 행단(사적)이다. 맹씨행단은 조선초 세종때 청백리로 잘 알려진 맹사성 일가가 살던 고택과 그가 심은 수령 600년 이상된 은행나무를 말한다. 고택은 1330년에 최영 장군 부친이 처음 지었으며, 최영 장군도 살았던 곳이라 전해진다. 고려말 위화도 회군으로 최영이 죽은 후 맹사성의 아버지 맹희도가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맹씨 일가가 이 곳에 터를 잡게 되었다고 한다.…
-
구미 죽장사지, 오층석탑이 남아 있는 절터
경북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에 있는 절터이다. 절터에는 통일신라 때 세워진 오층석탑(국보)가 남아 있어 통일신라 때부터 큰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찰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지만 조선전기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죽장사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어 사찰이 존속되었으며 그 이후에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절터에는 오층석탑과 옛 건물들을 올렸던 주춧돌 등 건축부재들이 일부 남아 있으며, 1950년대에 법륜사라는 이름으로 중건되어…
-
충주 정토사지,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절터
충주시 동량면 하천리에 있었던 정토사는 신라말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찰이다. 태조 왕건이 국사로 모셨던 법경대사와 그 뒤를 이어 홍법대사가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었다. 또한 고려시대 실록을 마지막으로 보관하던 곳으로 이 곳에 있던 실록을 비롯하여 많은 자료와 서적들이 한양으로 옮겨져 세종 때 고려사를 편찬하는 자료가 되었다고 한다. 16세기에는 개천사로 불리면서 사찰이 유지되었으며, 조선후기에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정토사가…
-
부여 산직리 지석묘, 송국리 유적지 부근에 남아 있는 고인돌
충남 부여군 초촌면 산직리에 남아 있는 청동기시대 지석묘이다. 송국리 주거유적지(사적) 부근 낮은 구릉지대가 끝나고, 넓은 평야의 논이 시작되는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2기의 고인돌이 나란히 있는데, 큰 판돌을 4개의 고인돌로 고인 탁자식 고인돌 1개와 받침돌이 없는 덮개식 고인돌 1개가 있다. 동쪽에 있는 탁자식 고인돌은 덮개돌이 길이 5.8 m, 너비 3.7 m로 받돌은 일부만 남아 있다. 서쪽편…
-
부여 송국리 유적(사적), 송국리형 토기로 대표되는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지
충남 부여군 초촌면 송국리에 있는 송국리 유적(사적)이다. 부여 송국리는 부여와 논산의 경계가 되는 지점의 낮은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송국리형토기를 비롯하여 동시대를 대표하는 다양한 유물들이 발굴된 대표적인 청동기시대 주거유적이다. 1975년 이후 여러 차례의 조사를 통하여 60여 기의 움집과 돌널무덤.독무덤 등이 확인되었으며, 마을 둘레에는 나무울타리를 둘렀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다량의 불탄 쌀과 농공구, 요령식 동검, 청동도끼 거푸집…
-
부여 홍산현 관아(사적),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 온전히 남아 있는 곳
충남 부여군 홍한면 남촌리 홍산면 소재지에 있는 홍산현 관아(사적)이다. 이 곳은 백마강 서쪽에 있는 고을인 옛 홍산현 관아가 있었던 곳으로 동헌, 객사와 하급관리들이 근무하던 형방청이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객사는 한양의 위치를 고려하여 남향을 있으며, 동헌과 형방청 등은 지형조건을 고려하여 동향을 하고 있다. 조선시대 관아 건물들은 구한말 대한제국을 선포할 때 행정개편으로 객사는 주로 초등학교로, 동헌과…
-
부여 외리 문양전(보물), 산경치.용.봉황 등 도교적인 그림이 새겨진 무늬벽돌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무늬벽돌(보물)이다. 이 벽돌들은 충남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 있는 절터에서 출토되었다. 파편을 포함하여 모두 140여점 출토된 이 무늬벽돌은 산수문전.산수봉황문전,연대귀문전.반용문전.와운문전.연화문전의 8가지 무늬로 구성되어 있는데 얕은 부조형식으로 무늬를 새겨놓고 있다. 당시 백제인을 사로잡았던 도교적인 풍경이 잘 표현하고 있는데 회화성이 매우 뛰어나며 백제의 예술과 건축, 종교와 사상적인 측면까지 살펴 볼 수 있다. 백제와 교류가 많았던…
-
부여 가림성(사적), 백제 동성왕이 금강 하류 요충지에 쌓은 산성
충남 부여군 임천면에 있는 가림성(사적)이다. 이곳은 웅진성과 사비성을 지키기 위해 쌓은 산성으로 정상부를 둘러 쌓은 테뫼식산성이다. <삼국사기>에 백제 동성왕이 수도 방어를 위해 금강하류가 한눈에 내려다 보이는 이곳에 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다. 산성의 형태는 돌과 흙을 같이 사용하고 있는데 백제 고유의 토성과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석성의 형태가 섞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성의 규모가 큰 편은 아니지만…
-
부여 능안골 고분군(사적), 사비기 백제 귀족들의 무덤
충남 부여군 능산리에 있는 능안골 고분군(사적)이다. 사비기 백제 왕릉으로 추정되는 능산리고분군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는 백제 귀족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1990년대 부여공설운동장 공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발굴.조사 결과 굴식돌방무덤 30여기, 돌덧널무덤, 독무덤 등 모두 60여기의 무덤들이 확인되었다. 이곳에는 관모의 삼각형 철제심과 직물, 허리띠장식 등이 출토되어 백제 귀족의 복식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능안골 고분군은 육안으로 보기에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