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유적지

  • 고양향교, 고양군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옛 고양군(高陽郡) 관아에서 운영했던 조선시대 중동교육기관인 고양향교(高陽鄕校)이다. 비교적 늦은 시기인 숙종대에 처음 지어졌으며, 그 이후의 내력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강학공간인 앞쪽 자리잡고, 뒷편에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두고 있는 전학후묘의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대성전을 제외한 대부분 건물들이 한국전쟁 때 불에 타 최근에 새로 지었다. 향교의 규모는 크지 않으며 제사기능만 남은 전형적인 조선후기 향교의 형태를 하고 있다. <고양…

  • 파주 교하향교, 교하군에서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옛 교하군(交河郡)에서 운영했던 조선시대 중등교육기관이었던 교하향교(交河鄕校)이다. 원래는 탄현면 갈현리에 있었는데 인조의 능인 장능 능역에 포함되면서 영조대에 파주시 금촌동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건물들은 향교의 교육기능이 약화되었고, 공자에 대한 제사를 모시는 기능 위주였던 조선후기에 지은 것으로 그리 크지 않은 규모이다.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가 앞쪽에, 제향공간인 대성전과 동.서무를 뒷쪽에 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경기지방의 다른 향교와 마찬가지로…

  • 파주향교, 파주목에 설치했던 중등교육기관

    옛 파주목(坡州牧) 읍치(邑治)였던 파주시 파주읍 파주리에 남아 있는 조선시대 중등교육기관인 파주향교(坡州鄕校)이다. 비교적 이른 시기인 조선초 1398년(태조7)에 세워진 향교로 다른 곳에 있던 것을 1870년에 현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강학공간인 강당을 앞쪽에,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뒤쪽에 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공자와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을 비롯하여 강당인 명륜당,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재를 두고 있다. <파주향교> <홍살문> 파주읍치에서…

  • 파주 적성향교, 적성현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파주시 적성면 구읍리 삼국시대 군사요충지 칠중성 아래에 위치한 적성향교(積城鄕校)이다. 이 향교는 적성현 관아에서 설립한 중등교육기관이다. 건물은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앞쪽에, 공자와 선현들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을 뒤에 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한국전쟁때 소실되었던 것을 1975년에 중수하였다고 한다. 대성전과 강학공간인 명륜당만 복원되었다. <파주 적성향교> <향교 앞에 세워진 비석> <외삼문> <강학공간 마당> 강학공간 마당은 좁은편이다. 원래 동.서재가 있었는지…

  • 양주향교, 양주목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조선시대 양주목(揚州牧) 읍치가 있었던 양주시 유양동에 위치한 양주향교(楊州鄕校)이다. 양주향교는 앞쪽에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있고, 뒷편에 대성전을 두고 있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문화재로 등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한국전쟁 당시 소실된 것을 복원한 것이다. 양주목 관아를 구성하던 건물 중 제일 먼저 복원되었는데, 고을 규모에 걸맞게 향교 또한 넓고 큰 규모이다. 이 향교의 특이한 점은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재는 없고…

  • 포천향교, 포천현에서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포천시 군내면 구읍리 옛 포천현 읍치에 남아 있는 포천향교(抱川鄕校)이다. 포천향교는 고려초에 세워진 향교로 설립의 역사는 상당히 오래되었다. 앞쪽에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가 있고, 뒷편에 제향공간이 있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건물규모는 크지는 않지만 향교로서의 모습에 제대로 갖추고 있다. 현재의 건물은 한국전쟁 이후에 중건한 것이다. <포천향교> <홍살문> <외삼문> <안에서 본 모습> 다른 지역 향교와는 달리 문간채를 두고…

  • 인천 인천향교, 인천도호부에 설치되었던 중등교육기관

    인천 미추홀구 관교동에 남아 있는 인천향교이다. 인천 문학경기장 맞은편에 있었던 인천도호부청사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창건된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조선중기인 15세기에 수리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들은 조선후기에 지은 것으로 1975년에 크게 수리하였다.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서재가 앞쪽에, 제향공간인 대성전과 동.서무가 뒷편에 위치한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향교는 대체로 문을 굳게 걸어잠그고 있어 외지인이 방문하기는 쉽지 않으나, 인천향교는…

  • 강화향교, 강화부에 설치되었던 중등교육기관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에 남아 있는 강화향교 (江華鄕校)이다. 강화부(江華府) 관아가 있었던 곳에서 조섬 떨어진 서쪽편 강화여중고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강화향교에는 대성전.명륜당.내외 삼문이 있는데, 최근엥 복원 공사가 이루어졌다. 대성전은 앞면 5칸, 옆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데 다른 지역의 향교에 비해서는 규모가 큰 편이다.  강화향교는 고려 인종 5년(1127)에 고려산 남쪽에 세워졌던 것을 갑곶리, 서도면 등으로 이전했다가 1731년 강화유수…

  • 김포 통진향교, 조선시대 통진도호부에 설치되었던 중등교육기관

    김포시 월곶면 군하리 옛 통진도호부 읍치가 있었던 곳에 남아 있는 통진향교(通津鄕校)이다. 이 향교는 비교적 이른 시기인 고려중기 인종대에 처음 세워졌다. 경사진 지형에 앞쪽에는 강학공간인 명륜당, 뒷쪽에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두고 있는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향교는 대성전, 동.서무, 명륜당, 동재와 문루인 풍화루로 구성되어 있다. 강학공간인 명륜당과 동재는 규모가 크지 않으나 제향공간인 대성전과 동.서무는 규모가 큰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