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중앙박물관

  • [중앙박물관특별전, 에트루리아] 에트루리아 문명과 신전 건축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2019년 가을 <로마이전, 에트루리아> 특별전을 개최하였다. 그리스, 로마와 함께 고대 지중해 문명의 한축이었던 에크루리아(Etruria)는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100년경까지 고대 로마와 함께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지방에 있었던 고대문명이다. 에트루리아인의 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소아시아에서 건너온 리아아인이었다고 하며, 이탈리아 본토사람이었다는 견해도 있다. 이번 전시에서 출품된 유물들을 통해 에트루리아인들의 생활모습과 세계관, 종교관, 사후관념…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 청자

    한국에서 도자기는 대체로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에 시작되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통일신라때 중국 청자와 백자가 실생활에 사용될 정도로 수요가 많아지면서 국내생산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초기에는 수도 개경 부근에서 중국 월주요 청자의 영향을 받은 자기를 생산되었으며 11세기에는 전남 강진과 전북 부안이 청자의 중심 제작지가 되었으며, 완성도 높은 청자를 생산하게 되었다. 12세기 전반에 이르면 고려청자는 아름다운 비취색과 다양한…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의 금속공예

    금속공예는 금속을 재료로 실용성과 아름다움을 지닌 작품을 만드는 미술의 한 분야이다.  금속은 처음에는 지배 계층의 전유물로 실용품보다는 권위를 상징하는 물품으로 제작되었다. 중국 당나라와 통일 신라에서는 청동그릇 등 실용적인 금속공예품이 많아으며 국제적인 교류를 통해 더욱 다양하고 세련된 기형과 문양이 갖추어졌다. 고려시대에는 화려한 은제 공예품이 많이 만들어지는 한편, 민간에서 모두 청동 그릇을 썼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금속공예가…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지식인의 문학과 예술

    고려말 원나라 간섭기에 성리학은 원나라에서 왕을 모시면서 오랜 기간 머물렀던 관료이자 학자인 안향.백이정 등이 관련 서적을 국내에 소개하였다. 또한 충선왕과 함께 원나라에 간 이제현이 중국의 성리학자들과 학문적이 교류를 하면서 많은 학문적인 깊이를 더했다고 한다. 당시 초강대국이었던 원(元)을 중심으로 많은 교류가 있었기 때문 고려말에는 많은 학문적.기술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지식인의 문학과 예술 불교가 고려인들의 삶과 정신세계의 바탕이…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의 차문화

    고려시대에는 차를 마시는 문화가 넓게 퍼져 있었다. 불교가 중시되었던 고려사회에서는 술을 마시는 음주보다는 차를 마시는 것을 왕실.귀족.승려 등 지배계층에서 선호했다. 당시 차(茶)는 국내에서 재배할 수 없었기때문에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되었으며 많이 비용이 수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런 차를 마시는 문화를 배경으로 우수한 품질의 다구(茶具)들이 제작되었으며 고려청자로 만들어진 화려한 유물들이 오늘날까지 전해오고 있다. 고려의 차문화는 조상에 대한 제사를…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지장보살과 시왕

    지장보살은(地藏菩薩)은 사후세계라 할 수 있는 육도(六道)에서 중생을 구원한다는 보살이다. 육도란 지옥, 아귀, 축생, 수라, 하늘, 인간세상의 여섯가지 세상을 말한다. 지장보살은 지옥문을 지키고 있으면서 그곳으로 들어가는 중생을 구제한다고 하여 지장보살에 대한 신앙은 일찍부터 성행했다. 지장보살을 모신 지장전이나 명부전은 석가모니를 모신 대웅전과 함께 오늘날 사찰에서도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불전이다. 신과 함께 지옥에서 구원으로 불교에서 보는…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공양구와 복장유물

    복장(腹藏)은 불상이나 불화 내부에 안치하는 경전을 비롯한 보물들을 말한다. 불교에서 불상에 생명력을 더하기 위해 상징성이 높은 유물이 안치된다. 복장유물로는 사리 등을 담아 두는 후령통을 비롯하여 경전, 비단천을 비롯한 복식 등이 포한된다. 간다라불상을 비롯하여 초기 불상의 정수리에 사리를 안치 구멍이 있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이런 행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도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불복장(佛腹藏)과…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시대 불화

    불화(佛畵)는 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이나 경전 내용을 그림으로 그린 것을 말한다. 부처와 보살의 모습, 어려운 경전의 내용을 그려서 신앙심을 두텁게 하고 교리를 쉽게 이해시키는 역할을 했다. 고려시대에는 연등회, 팔관회를 비롯하여 왕실과 국가가 주도하는 다양한 불교 행사가 있으며 이런 행사 때 신앙의 대상으로서 불화가 그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 중기 이전에 그려진 불화는 거의 남아 있지…

  • [중앙박물관특별전, 대고려] 고려시대 불상

    통일신라 불상의 세련된 조각수법, 적절한 비례와 조형미는 통일신라 말 혼란기를 거치면서 투박하면서 토속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고려시대에는 통일신라 때 유행했던 석굴암 본존불같은 촉지인 불좌상들이 계속 조성되었으며 지방호족의 후원을 받은 토속적인 면을 보여주는 거대 석조불상들이 고려초기에 많이 조성되었다. 고려후기에는 원나라 라마불교의 영향을 받은 불상들이 조성되기도 했는데 장곡사금동약사여래상(보물 337호)가 떄표적이다. 또한 고려후기에는 개인이 예불을 올리기 위해 소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