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탑/승탑

  • 김제 금산사 육각다층석탑(보물), 검은색 점판암으로 만든 다층석탑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 경내에 있는 육각다층석탑(보물)이다. 금산사 소속 봉천원(奉天院)에 있던 것을 금산사로 옮겨왔다. 일반적인 석탑과는 달리 벼루를 만든 흑색인 점판암으로 만들었다. 육각형의 탑신을 쌓은 현재 높이 2.18m의 11층 석탑이다. 원래 11층인지 알 수 없기때문엔 다층석탑이라 부른다. 기단에는 연꽃무늬를 새겨놓고 있다. 탑신은 원래 각층마다 몸돌이 있었으나 지금은 위쪽 2개층만 몸돌이 남아 있다. 몸돌과 지붕돌에 새겨진…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보물), 금강계단 앞에 세워진 석탑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에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금강계단 앞에 세워져 있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려 놓은 높이 7.2m의 오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석탑의 기본 양식을 그대로 따르면서도 고려 석탑의 특징도 반영되어 있다. 석탑 구성요소간 비례가 적절하고, 세부 조각수법도 양호한 편이다. 석탑이 신앙의 중심이었던 통일신라와는 달리 형식적이며 장식적인 기능을 갖고 있었던 고려 석탑의…

  • 강화 장정리 오층석탑(보물), 고려 후기에 조성된 석탑.

    강화군 하점면 장정리 야산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무너져 있던 것을 다시 세운 것으로 파손된 곳도 많고, 없어진 부재도 많다. 탑은 1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렸다. 1층 몸돌을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어 기단 역할을 보완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무거운 느낌을 주고 있으며 각 부분 장식도 생략되어 형식적으로 면을 많이 보인다. 신라석탑의 양식을 이어 받았지만 변형된 고려…

  •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無爲寺) 경내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사찰 경내 경내 서쪽편에 선각대사편광탑비 아래에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전형적인 삼층석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는 기둥모양을 새겼으며, 지붕은 얇고 평평해 보인다. 꼭대기에는 네모난 받침돌 위로 세 개의 머리장식이 가지런히 올려져 있다. 선각대사편광탑비와 비슷한 시기인 고려초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예술적인 조형미나 웅장함이…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보물), 백제 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 석탑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남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이 탑은 단층 기단 위에 삼층 탑신을 올려놓은 삼층석탑이다. 1개층의 기단만 있은 약간 불안해 보이며 그 형태로 볼 때 아래층 기단이 없어진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탑신 1층 몸돌은 높으며, 2층부터는 높이가 줄어든다. 지붕돌은 기단보다 넓게 만들었으며, 전탑처럼 계단식으로 층을 이루고 있다.기단이나 탑신을 목재처럼 다듬은 돌을 짜맞추어 만든…

  •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기단을 불상대좌처럼 만든 석탑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도피안사(到彼岸寺)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이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4.1m의 삼층석탑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석탑과는 달리 8각형의 돌로 기단을 쌓았는데, 불상을 받치는 대좌나 승탑을 받치는 기단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에 각각 하나의 돌을 사용하였다. 각 층의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겼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지붕돌…

  • 하남 동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동사지 절터에 삼층석탑(보물)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삼층석탑이다. 윗층 기단과 탑신 몸돌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경사가 완만하고, 귀퉁이를 살짝 들어올려 경쾌한 느낌을 준다. 탑신의 크기에 따라 지붕돌도 작아지고 있어 안정된 느낌을 준다.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정형화된 느낌을 주면서 예술적인 독창성은 약간 부족해 보인다. 하남 동사지(桐寺址)…

  • 하남 동사지 오층석탑(보물), 고려초기 양식을 볼 수 있는 오층석탑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동사지 절터에 오층석탑(보물)이다. 탑은 2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려놓은 오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지만 세부적으로 고려 석탑만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탑신 1층 몸돌은 여러개의 돌을 조립해 2단으로 만들었다. 지붕돌도 1~3층은 4장, 4층은 2장의 돌을 조립해서 만들었다. 이는 하나의 돌로 몸돌과 지붕돌을 만든 통일신라 석탑과는 다른 제작수법이다. 지붕돌은 경사가 완만하면서 모퉁이…

  • 안동 조탑리 오층전탑(보물), 화강석과 벽돌을 섞어서 만든 전탑

    경북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에 오층전탑(보물)이다. 이 전탑은 화강암 석재와 벽돌을 섞어서 만든 우리나라 전탑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층 몸돌 남쪽에는 감실을 만들었으며 그 양쪽에 인왕상을 새겼다. 벽돌로 쌓았기 때문에 지붕돌 처마 너비가 좁고, 매끈하지 않으며, 다른 전탑과는 달리 기와를 얹이 않았다. 전체적인 비례에서 주는 조형미나 세부적인 표현 등이 떨어지는 편이다. 수도였던 경주에 비해서 제작기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