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탑/승탑
-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통일신라 말 석탑
경북 경주시 현곡면 남사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이다. 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겨놓은 것 외 특별한 장식이 없는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전체적인 비례와 조각수법은 양호한 편이나, 탑신은 형식적인 면을 보이고 있어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경주 남사리 삼층석탑(보물)> 석탑의 전체적인 비례나 조각수법은 양호한편이나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고…
-
경주 용명리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경북 경주시 건천읍 용명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 삼층석탑(보물)이다. 높이 5.6 m의 이 석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놓았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겨놓은 것 외 특별한 장식이 없는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모습을 하고 있다. 전체적이 구성이나 비례와 조각수법 등이 양호한 편으로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 중엽에 조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탑을 해체.수리하는 과정에서…
-
경주 감산사지 삼층석탑
경북 경주시 외동읍 괘릉리 감산사(甘山寺)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이다. 2층의 기단 위에 3층을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기둥을 새겨놓은 것 외 특별한 장식을 하고 있지 않다. 2,3층 몸돌이 남아 있지 않지만 조각수법과 전체적인 비례 등이 양호한 편이다. 감산사지는 불국사에서 남쪽으로 2km 정도 떨어진 토함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절터이다. 통일신라…
-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경남 함양군 수동면 승안사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고려 초에 조성된 석탑으로 2층 기단에 3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에는 부처, 보살, 비천 등의 모습을 새겨 놓고 있는데, 의미를 두고 질서있게 배치한 것 같지는 않다. 1층 탑신 몸돌에는 사천왕상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으로는 받침과 복발, 연꽃모양장식이 남아 있다. 기단과 1층 몸돌에 부조상을 새겨놓고 있는 등 통일신라…
-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보물), 전형적인 고려시대 다층석탑
전북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려 놓았는데 지금은 4층만 남아 있다. 기단부는 일부 땅에 묻혀 있으며, 탑신 1층 몸돌을 크게 만들어 기단역할을 하고 있다. 탑신 2층부턴 몸돌을 낮게 만들었다. 지붕돌은 밑변 전체가 들려 있다. 고려초에 만복사를 세울 때 조성된 것으로 그 원형이 많이 손상되어 있다. 조각수법이나 조형미도…
-
남원 용담사 칠층석탑, 고려시대에 세워진 석탑
전북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용담사에 있는 고려시대 칠층석탑이다. 탑은 1층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올려 놓았다. 1층 몸돌은 네 개의 판돌로 크게 만들었는데 기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층부터 탑신 몸돌의 높이를 낮게 만들어 안정감을 주려고 했으나 지붕돌을 두껍게 만들어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고려시대 지방 호족세력이 발원해서 세워진 석탑 중 하나이다. 조각수법이 투박하고,…
-
구례 화엄사 동오층석탑(보물)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화엄사 대웅전 아래 마당에 세워져 있는 동오층석탑(보물)이다. 전통적인 오층석탑과는 달리 1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1층 몸돌을 크게 만들고 2층부터는 몸돌을 낮게 하여 전체적으로 안정감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기단과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겨 놓은 것 외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다. 머리장식은 받침위에 복발과 연꽃봉우리를 올려 놓은 형태를 하고…
-
구례 화엄사 서오층석탑(보물), 다양한 신장상이 새겨진 석탑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각황전 아래에 위치한 서오층석탑(보물)이다. 이 탑은 2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려 놓은 오층석탑이다. 전체적으로 탑을 높게 만들고, 지붕돌을 경쾌하게 처리하여 날렵한 느낌을 준다. 기단 1층에는 12지신상을, 기단 2층에는 팔부중상(八部衆像)을, 탑신 1층 몸돌에는 사천왕상을 새겨 놓고 있다. 머리장식으로는 2층의 받침 위에 연꽃봉우리 장식을 올려놓고 있다. 석탑 앞에는 연꽃이 새겨진 배례석이 놓여…
-
구례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보물), 그 용도를 알 수 없는 석탑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 원통전 앞에 세워져 있는 사자탑(보물)이다. 이 탑은 네마리의 사자가 네모난 돌을 이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1층 기단은 네모난 돌을, 2층 기단은 4마리의 사자가 탑신을 받치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탑신은 아래에는 연꽃받침, 몸돌은 직육면체를 하고 있다. 몸돌에는 사천왕상을 얕은 부조로 새겨 놓았다.이런 형태의 석탑으로 노주(露柱)라고 부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