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카테고리:] 탑/승탑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보물), 통일신라 석등 양식을 잘 갖추고 있는 석등

    전북 남원 실상사 백장암에 있는 석등(보물)이다. 삼층석탑(국보)과 나란히 백장암 경내에 세워져 있다. 소박하면서도 간결한 모습을 하고 있는 석등으로 통일신라 석등의 기본형태를 잘 갖추고 있다. 받침돌은 연꽃모양이 새겨진 아래.위받침돌과 가운데 팔각형 기둥으로 되어 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이 받침돌 위에 놓여 있다. 화사석은 8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4면에 창을 뚫어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하고 있다. 지붕돌을 간결하게 처리되었다.…

  •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 다양한 부조상이 새겨진 자유로운 형식의 석탑

    전북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 백장암에 위치한 삼층석탑(국보)이다. 통일신라시대 석탑으로 일반적인 삼층석탑과 다른 독특한 형태와 구성을 하고 있다. 석탑을 받치는 기단부가 아주 낮고, 탑신 몸돌의 너비는 거의 일정하다. 2, 3층 몸돌의 높이도 비슷하다. 통일신라 삼층석탑이 보여주는 균형미는 크게 떨어지는 편이다. 반면에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구성한 것의 특징이다. 기단과 탑신의 지붕돌까지 탑 전체에 다양한 조각상을 새겨…

  • 경주 기림사삼층석탑,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 삼층석탑

    경북 경주시 양북면 기림로 기림사 경내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위층 기단 몸돌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 몸몰에는 각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은 낡았지만 머리장식받침과 그릇모양의 복발, 연꽃모양의 장식이 남아 있다.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하고 있지만 석탑의 크기도 작고 조각수법도 약간 떨어지는…

  • 영천 거조사 삼층석탑

    경북 영천시 청통면 거조길 거조사 영산전 앞 마당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정형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통일신라말 또는 고려초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석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과 머리장식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과 탑신의 비례의 조형미는 양호하나 정형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탑신은 몸돌과 머리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은 거의 남아…

  •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보물)

    서울 중구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민애대왕 사리그릇(보물)이다.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기 때문에 정식명칭은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이다. 사리를 보관하는 그릇으로 납석으로 만들었다. 현재는 도굴과정에서 파손되어 4개의 조각으로 깨졌으며, 그 형태도 완전하지 않다. 항아리 표현에 검은 칠을 하고 있으며, 어깨부문에는 꽃구름무늬와 빗금꽃무늬를 새겨 둘렀다. 몸통에는 7자 38행의 글자를 음각으로 새겨 놓고 있다.…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대구광역시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이다. 동화사 부속 암자인 비로암 대적광전 앞에 세워져 있다.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으로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았다. 기단부 각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조각해 놓고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에는 기동모양을 새겨놓았다. 꼭대기 머리장식으로 노반(머리장식받침), 복발(그릇을 엎어놓은 모양의 장식), 보주(연꽃봉우리모양)의 장식이 올려져 있다. 석탑을 구성하고 있는…

  • 강릉 굴산사지 승탑(보물)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옛절터에 남아 있는 굴산사지 승탑(보물)이다. 이 승탑은 통일신라 진성여왕대에 활동했으며 굴산사를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범일국사의 사리를 모신 승탑을 추정되고 있다. 전체적인 구조나 조각수법으로 볼 때 고려시대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승탑은 팔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사리를 모시는 몸돌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받침돌, 위에는 지붕돌과 꼭대기 장시이 있다. 가운데 받침돌에 악기를 연주하는 조각상을, 윗받침돌에는…

  •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보물)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봉인사 부도암에 있던 사리탑과 사리엄장구이다. 사리탑은 조선중기 광해군대 왕실의 안녕을 빌기 위하여 세웠다. 승려의 사리를 안치하는 승탑 형태를 하고 있지만 부처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운 사리탑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1987년 우리나라로 돌아왔다고 한다. 사리탑은 경복궁에서 전시되고 있다가 지금은 별도로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사리엄장구는 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사리탑에서는 놋쇠그릇 3점과 은그릇…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국보), 고려시대 모전석탑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함백산 정암사에 있는 수마노탑(국보)이다. 전탑을 모방해서 돌을 벽돌처럼 깎아서 쌓아 올린 7층 모전석탑이다. 화강암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탑신을 받치기 위 받침을 올려 놓았다. 탑신은 석회암을 깎아 벽돌처럼 만들어 쌓아 올렸다. 탑신 1층 몸돌에는 불상을 안치하는 감실을 두고 있다. 탑 앞에 있는 연꽃무늬, 안상(眼象) 등이 새겨진 배례석 등을 고려할 때 고려시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