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목조건축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국보),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불교건축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에 있는 무위사의 주불전인 극락보전(국보)이다. 조선전기 사찰건축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세종 12년(1430)에 지어졌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건물을 받치는 공포가 기둥위에만 있는 고려시대 주심포양식을 하고 있다. 곡선적인 건축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후기 건축물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내부에는 아미타삼존여래좌상(보물)을 모시고 있으며 아미타삼존벽화(국보), 백의관음도(보물), 내벽사면벽화(보물) 등으로…
-
여수 진남관(국보), 전라좌수영 객사
전남 여수시 군자동에 있는 진남관(국보)이다. 여수에 있었던 옛 전라좌수영 객사 건물로 현존하는 단층 목조건물 중 가장 큰 규모이다. 건물 규모는 앞면 15칸, 옆면 5칸으로 전체 면적은 240평 정도이다. 잘 다음은 돌로 쌓은 낮은 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민흘림 기둥읠 세웠는데 총 68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주심포와 다포계 양식을 절충한 것처럼 보인다. 일반적인…
-
여수 흥국사 대웅전(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에 있는 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이 사찰의 주불전으로 석가삼존불을 모시고 있다. 조선중기 인조 2년 흥국사가 중건될 때 새로 지어졌는데 동시대를 대표하는 불전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앞면 3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내부는 우물천장을 하고 있으며 불상을 모신 자리에는 닫집을 만들어 놓았다.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화려하면서도 장엄한 분위기를…
-
순천 송광사 하사당(보물), 조선전기 승방의 모습이 남아 있는 건물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 요사채 건물인 하사당(보물)이다. 승려들이 머물면서 수행하는 공간으로 승보사찰로 불리는 송광사의 많은 요사채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에 맞배지븡을 하고 있는데, 부엌 위에 환기구를 두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국사당과 함께 조선초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당시 승려들이 수행했던 공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건물이다. <송광사 하사당(보물)> 수행을 중시했던 승보사찰 송광사의 여러 요사채…
-
순천 송광사 국사전(국보), 고려말 주심포계열 건축을 잘 보여주는 건물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 불전인 국사전(국보)이다. 불교역사에 큰 역할을 했던 고승 16명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곳이다. 고려말 공민왕 때(1369년)에 처음 지어졌는데 원래는 참선을 하던 승방이었다.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주심포 양식의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여러차례 수리를 했던 건물이지만 건물안 천장과 용무늬가 있는 들보는 창건당시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
순천 송광사 영산전 (보물)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 불전인 영산전(보물)이다. 석가모니의 일생을 그린 팔상도와 영산대회 그림(보물)를 모신 불전이다. 송광사 기록에 따르면 조선 중기 인조 때(1639년)에 지어졌으며 그후 여러차례 수리가 있었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이지만 그 규모는 작은 편이다. 지붕을 팔작지붕이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기법이 간결하면서 단정한 느낌을 주고 있다. 대웅전이 있는 사찰 경내 한쪽편에 약사전과…
-
순천 송광사 약사전(보물), 앞면 1칸 규모 작은 불전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에 있는 약사전(보물)이다. 앞면과 옆면이 각 1칸씩으로 현존하는 불전 중 가장 작은 규모로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형태 등으로 볼 때 17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웅전이 있는 경내 한쪽편에 영산전과 함께 나란히 세워져 있는데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송광사 약사전(보물)>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는…
-
순천 송광사 삼청교와 우화각,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곳
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 삼청교와 우화각이다. 대웅전이 있는 경내로 들어가는 돌다리로 송광사에서도 경치가 가장 아름다운 장소로 손꼽힌다. 삼청교는 잘다듬은 돌을 쌓아 홍예를 만든 돌다리로 조선후기 숙종 때 처음 만들어졌다. 규모가 웅장하거나 건축수법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사찰 앞을 흐르는 작은 개울과 전각인 임경당, 사자루와 어우러져 하나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삼청교 위에 있는 작은 통로 건물인 우화각이…
-
순천 송광사 조계문, 첫번째 출입문
전남 순천시 송광면에 있는 송광사의 첫번째 출입문인 조계문이다. 일주문은 경내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것이 일반적인데, 송광사는 강당 앞 개울 건너에 위치하고 있다. 2개의 기둥이 지붕을 받치고 있는 전형적인 일주문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맞배지붕으로 화려한 다포계 공포가 지붕을 떠 받치고 있다. 청색 바탕에 화려한 금색으로 쓴 현판이 인상적이다. 현재의 건물은 19세기 초에 새로 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