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월:] 2023년 10월

  • 백자 청화철화 ‘시’ 명나비문 팔각연적(보물)

    서울 관악구 호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철화 ‘시’ 명나비문 팔각연적 (白磁 靑畵鐵畵‘詩’銘蝶文 八角硯滴, 보물)”이다. 조선후기 18세기에 만들어진 팔각 기동 모양의 백자 연적이다. 윗면 가운데 구멍을 뚫었으며 옆면 모서리에 주구(注口)를 붙였다. 윗편에는 청화와 철화기법을 사용하여 나비를 그렸으며 옆면에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적었다. 칠언절구의 시가 문양, 형태와 잘 어루러져 조형미를 만들어 내고 있다. <백자청화철화 시명 나비문 팔각연적, 조선 18세기,…

  •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보상당초문 항아리 (白磁 靑畵寶相唐草文 壺, 보물)”이다. 어깨가 넓고 아래로 내려가면서 좁아지는 조선 전기 백자 항아리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청화발색은 고르지 않으나, 몸통에는 보상당초문이 힘차고 운동감 있게 그려졌다. 명나라 청화백자의 문양과 구성을 따르고 있으나 역동감 있는 문양배치 등은 조선만의 표현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백자청화 보상화당초문 호, 조선 16세기, 개인 소장,…

  •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잉어문 항아리 (白磁 靑畵鯉魚文 立壺, 보물)”이다. 높이 24.7cm의 청화백자 항아리이다. 조선전기 백자 항아리의 일반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몸통에는 꽃으로 마름모꼴 둘레를 만들고 그 안에 물고기를 그려 넣었다. 청화안료의 농담을 적절히 조절하여 회화적인 느낌을 더해주고 있다. 경기도 광주 일대 가마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백자청화 군어문 호, 조선 15세기, 개인…

  •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白磁 靑畵 ‘忘憂臺‘銘 草蟲文 楪匙, 보물)”이다. 높이 1.9cm, 아가리 지름 16cm의 청화백자 전접시이다. 가운데에 작은 원이 얕게 패여 있으며 ‘망우대(忘憂臺)’라는 글씨가 적혀 있다. 그 둘레에는 들국화 2송이와 날아드는 벌을 그려 놓았다. 순백색의 백토에 담청색을 머금은 백자유가 고르게 시유되어 있다. 이 전접시와 함께 백자 잔이…

  •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 (白磁 靑畵草花文 筆筒, 보물)”이다. 높이 16cm의 청화백자 필통이다. 입부분과 바닥부분이 약간 벌어진 원통형 몸체를 가진 필통으로 종이를 담아두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몸통에는 세곳에 활짝 핀 난초를 그려 놓았다.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주고 있는 작품으로 18세기 전반 경기도 광주지역 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백자청화 난초문 필통, 조선 18세기,…

  •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국보)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立壺, 국보)”이다. 높이 41cm의 청화백자 항아리이다. 몸통 윗부분은 볼록하고 아랫부분 잘록하게 좁아졌다가 살짝 벌어진 형태이다. 몸통 가운데에는 매화와 대나무가 그려졌다. 서로 교차하는 매화가지와 대나무 들 세밀하고 사실적으로 그렸다. 청화안료로 농담을 조절하면서 그렸는데 회화적으로도 매우 뛰어나다. 표현기법과 색, 형태면에서 아름다운 항아리로 중국 명나라 청화백자의 영향을…

  •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국보)

    서울 관악구 호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白磁 靑畵梅竹文 有蓋立壺, 국보)”이다. 높이 29.2cm 뚜껑이 있는 청화백자 항아리이다. 아가리가 밖으로 말리고 어깨에서 팽배해졌다가 서서히 좁혀져 내려가는 형태이다. 어깨와 몸통 아래부분네는 연꽃무늬 띠가 둘려져 있다. 가운데에는 매화나무와 대나무를 적적한 농담의 표현으로 그렸다. 그림의 구도와 표현이 세련되었으며 청화안료를 사용하여 농담의 변화를 주고 있어 전문화원이 제작한 참여한 것으로…

  • 백자 청화운룡문 병(1984-2, 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운룡문 병(白磁 靑畵雲龍文 甁, 1984-2, 보물)”이다. 높이 21.5cm의 백자 병이다. 조선시대 왕실 연회에 술병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구름속에서 여의주를 잡으려는 용의 살아서 움직이는 듯한 꿈틀거림과 눈에서 보이는 기운이 돋보인다. 조선초기 경기도 광주 관요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백자청화 운룡문 병, 조선 16세기, 개인 소장, 보물> <옆면> <옆면> <출처>…

  • 백자 청화운룡문 병(1984-1, 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운룡문 병(白磁 靑畵雲龍文 甁, 1984-1, 보물)”이다. 높이 25.0cm의 병으로 조선시대 궁중 연회에 술병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구름속에서 3개의 발톱을 세우고 여의주를 잡으려는 용을 그렸다. 조선후기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운용문에 비해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16세기 전반 작품으로 추정되며 광주 관요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백자청화 운룡문 병, 조선 16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