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2023년 10월 18일
-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중평마을에 있는 서벽고택(棲碧古宅)이다. 18세기에 종택에서 분가하면서 처음 지었으며 그 후 확장하였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중문칸 서쪽에 큰사랑방을, 오른쪽에 작은사랑방을 두고 있다. 뒷편에 서당과 영모각이 있다.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큰사랑방> <작은사랑방> <옆쪽에서 본 모습> <서당 건물> <영모각> <서당건물 앞 초가> <큰길에서 보이는 모습> 서벽고택(棲碧古宅) 이 고택은 평산…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흑백상감기법으로 앞.뒷면 매와와 대나무를 큼직하게 배치고 그 사이 새와 학, 풀을 표현하고 있다. 붓으로 그린듯한 회화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매화.대나무.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서정적이고 우아한 분위기가 돋보인다. 여유로운 공간…
-
청자 상감당초문 완(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당초문 완'(국보)이다. 굽부분이 좁고 아가리가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는데 굽에서 아가리까지 완만한 선을 이루고 있다. 대접 안쪽에는 꽃무늬를 새겼는데 바탕에 백토를 상감하는 역상감기법을 쓰고 있다. 바깥면에는 5곳에 국화를 한송이씩 두고 있다. 경기도 개풍군에서 무덤에서 조성연대(1159년)가 적힌 묘지(墓誌)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연대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대접은 12세기…
-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이다. 고려 인종의 능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한 참외모양을 하고 있는 꽃병이다. 긴목의 아가리가 벌어진 것은 참외꽃 모양이고, 몸통은 참외모양을 하고 있다. 이런 형태의 병은 중국 당나라에서 만들어졌으며, 고려에 전해지면서 한국적인 형태로 바뀌었다. 몸통 중간에는 모란무늬와 국화무늬를 번갈아 가며 1개씩 장식하고 있으며 아래에는 연꽃무늬가 있다. 고려시대 12~13세기에 만들어졌다. 몸통은 세로…
-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문화재인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靑磁 象嵌牡丹文 瓢形 注子, 국보)”이다. 표주박 모양을 하고 있은 주전자로 물을 따르는 부리와 손잡이를 갖추고 있다. 세련된 유선형에 완벽한 비례를 갖춘 뛰어난 조형미를 자랑하는 고려청자의 걸작이다. 목의 윗부분에는 흑백상감으로 구름과 학무늬를 그려 넣었으며, 몸통에는 모란으로 전체를 장식하고 있다. 모란장식은 꽃과 잎들을 제외한 바탕을 백토로 메우고, 원래의 태토가…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크기는 작은편이지만 각부분의 비례가 적절하고 안정적인 조형미가 돋보인다. 간결한 흑백상강기법으로 구름 사이로 나르는 학을 표현하고 이다. 고려시대 12~13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유려한 곡선미와 비색 하늘을 배경으로 무늬들이 베풀어졌다. 고려청자에…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93)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바람에 흔들리는 매화와 대나무, 그 사이에 3마리의 학들을 그렸다. 흑백상감기법으로 대상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매화.대나무.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경남 하동군 출토, 보물 추위를 견뎌내고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매화와 사계절…
-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보물)이다. 상감기법으로 위쪽에 보자기무늬가 새겨져 있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아가리 주위로 정사각형 보자기를 엎어두고 있는 것처럼 상감양식으로 보자지무늬를 장식하고 있다. 몸통에은 4면에 모란꽃과 모란잎, 구름무늬를 음각으로 새겨 놓고 있다. 비교적 고른 태토에 청회색계통의 유약을 입혔는데, 전북 부안군 가마터에서…
-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국보)이다. 긴 통모양의 병 앞 뒤에 한 그루씩 버드나무를 붉은 흙으로 그려 넣은 소박한 병이다. 병은 전제적으로 직선적인 단순한 원통 모양을 하고 있다. 몸통에 그려넣은 버드나무 2그루를 제외하고는 특별한 장식은 없는데 단순하면서도 품위있는 분위기를 주고 있다. 버드나무는 현대 회화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그림처럼 버드나무의 특징을 잘 파악하여 단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