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특별전, 옛 중국인의 생활과 공예품] 여인들의 생활

중국은 당나라 때 서역의 영향을 받아 화려하면서도 다양한 금속제 그릇과 생활용품 등이 수입되거나 직접 만들어 사용하였다. 지금도 남아 있는 당나라 유물들 중에는 수준높은 공예품들이 있으며, 이는 한반도에도 전해져 삼국과 통일신라 무덤에서는 당시 수입되거나 만들어진 유리나 금속공예품들이 출토되고 있어 당시의 문화교류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전해전 공예품의 형태는 중국 문화와 융합되어 도자기 등으로 만들어졌다.

<당나라 궁정 여인들의 생활모습을 그린 그림.>

<꽃무늬 금도금 은합, 당>

<원앙무늬 은합, 당>

<손잡이 달린 은잔, 당>

<사자.꽃무늬 금도금 은접시, 당>


<포도넝쿨.동물무늬 은병, 당. 고려시대 청자나 은으로 만든 정병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다.>

<넝쿨.새무늬가 새겨진 굽다리 은잔, 당>

당대에는 실크로드를 통해 접하게 된 서아시아 문화의 영향으로 다양한 형태와 기법의 금은제 그릇들이 제작되었다. 몸체 가운데가 홀쭉하고 아래에 각이 지고 위는 벌어진 형태에 원형의 손잡이가 달린 잔은 소그드지역의 은잔을 본뜬 것이다. 당대에 소그드 상인들이 활발한 상업활동을 하면서 서아시아의 다양한 그릇들이 당으로 수입되었다. 당나라 사람들 사이에서 이국풍이 선풍을 일으키면서 서아시아풍의 그릇도 제작, 사용하였다. 은이나 은에 금도금을 한 손잡이잔, 굽다리잔, 꽃모양 접시 등은 서아시아 그릇에서 영향을 받아 제작된 것들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

<여인이 거울을 보며 화장하는 모습, 고개지, 여사잠도, 동진, 영국박물관>

<9개의 소합을 담은 화장렴, 전한, 마왕퇴 1호묘>

<금.은으로 장식한 화장품 칠그릇, 동한>

. 큰 합 속에 다양한 내용물이 들어있는 작은 그릇들이 보관되고 있다.

<화장품 그릇을 담았던 용기 뚜껑>

. 몸체에 동물과 인물 등 다양한 무늬를 얇은 금박과 은박을 붙여서 장식하고 있다.

<화장품 그릇을 담았던 용기.>

<길게 생긴 화장품 그릇. 동물무늬 등으로 장식하고 있다.>

<작은 크기의 그릇>

<작은 크기의 그릇>

<작은 크기의 화장품 그릇.>

한대의 화장품그릇 중 고급품은 대개 칠기 위에 채색을 칠하고 금은으로 화려하고 정교하게 장식을 하였다. 칠기는 삼베와 같은 직물을 심으로 하여 그 위에 여러 번 칠하여 만든 건칠 기법으로 제작되어 가볍고 단단하다. 칠기의 표면에는 광물성 적색 안료인 진사로 유려한 구름무늬를 그렸고 광물성 황색 안료인 석황으로 강조하는 부분을 칠했다. 그리고 몸체에는 상중하 3단으로 은띠를 붙이고 동물과 인물, 마름모 모양의 무늬는 얇은 금박과 은박으로 붙여서, 까만 칠을 바탕으로 무늬가 하얗고 노랗게 반짝이도록 하였다. 장식 무늬는 동물을 사냥하는 수렵문인데, 다양한 동물과 사수, 선인이 등장해서 흥미롭다. 코끼리, 낙타, 호랑이, 사슴, 승냥이 등이 활보하고 말을 타고 활시위를 겨누는 사수, 그리고 긴 머리를 날리며 걷는 선인을 묘사했다. 이처럼 고대인이 상상했던 선계의 모습으로 무늬를 장식한 예는 한대의 칠기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

<은으로 장식한 화장품 칠그릇, 동한>

<화장품 그릇>

<나무빗>

<발이 굵은 나무빗, 발이 가는 나무빗>

<구리거울>

고대 사회에서 제사장의 권위를 보여주는 예기였던 거울이 전국시대를 지나면서 화장용구로 바뀌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글씨를 새긴 한나라의 거울이다. 거울의 꼭지를 둘러싸며 다음과 같은 내용의 26자를 새겼다. 구리로 거울을 만들어 옷차림을 밝게 비추고 용모를 단정히 한다는 내용이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

<쇠가위, 쇠족집게>

여인들의 생활: 화장용구
여인들의 화장 문화는 선진(先秦)시대부터 발달하였다. 한대에는 서역에서 전해진 호분(胡粉)과 연지를 포함한 다양한 화장법이 유행하였다. 화려하고 섬세한 화장용구들이 지금까지 전해진다. 여러 개의 작은 화장용품을 넣은 그릇을 화장렴이라 하며, 보통 칠기에 색을 칠하고 금속으로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내부는 상하층으로 나누어 아래에는 화장 재료와 족집게, 빗, 작은 가위 등을 담았고 위에는 거울을 얹었다. 큰 화장렴에는 다양한 도구와 재료를 구분해 담을 수 있는 여러 개의 작은 합을 오밀조밀하게 갖추어 넣었다. 한대 마왕퇴 1호묘에서는 작은 합이 각각 5개, 9개 들어 있는 화장렴이 출토되었다. 9자렴에는 타원형의 작은 합 2개에 백색 화장분이, 원형의 작은 합 4개에는 연지와 분첩, 화장분과 가발이 담겨 있다. 말굽형 소합 1개에는 발이 가는 빗과 굵은 빗이, 장방형 소합 2개에는 화장용 기름과 바르는 도구가 담겨져 있었다. 이러한 화장도구는 이미 한나라 때 화장 문화가 상당히 발달되어 있었음을 보여준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

<2016년 겨울 열렸던 “옛 중국인의 생활과 공예품”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대 중국사회를 보여주는 유물들을 모아 기획한 작은 전시회였다.

<유물이 전시된 전시공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