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금속공예

  • [청주박물관] 일상생활 속 금속공예

    고려시대 일상생활 속 금속공예는 왕실·귀족의 사치품부터 서민들이 쓰던 실용품까지 폭넓게 제작되었고, 종교·생활·예술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불교의 융성과 함께 사찰 의식구, 불구 제작이 활발했으며 고려청자와 함께 고급 공예품에 수요와 문화가 발전했다. 기술적으로 금.은.동 등 귀금속의 가공기술이 발달했다. 섬세한 세공, 화려한 장식, 복합재료의 사용이 주요 특징이다. 청동거울은 청동기시대부터 사용되어온 것으로 전국의 주요 박물관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전시되어…

  • [청주박물관] 불교공예, 금속으로 삶과 불교를 꽃피우다.

    불교공예는 부처의 장엄, 공양, 의식에 사용되는 도구를 가리킨다. 불교공예는 그 쓰임새에 따라 범음구, 공양구, 장엄구, 밀교법구 등이 있다. 공양구는 공양을 올릴 때 사용되는 도구를 만한다. 공양물로는 향, 등(燈), 꽃, 음식 등이 있으며, 공양구로는 촛대, 향로, 정병 등이 있다. 범음구는 소리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물들을말한다. 종, 금고, 경자 등 소리를 내어 시간을 알려주거나 의식의 진행을 도와주는…

  • 청동은입사 용문 향완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청동은입사 용문 향완>이다. 불교 의식에 사용되던 향완(香垸)으로 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은입사기법을 사용하여 문양을 새겨 놓고 있다. 전면 중앙 둥근 원안에 글자가 있으며 주변에 연꽃과 당초문먕으로 장식하고 있다. 받침 부분에는용무늬가 정교하게 새겨져 있다. 청동은입사 용문 향완, 고려, 14세기향완은 고려시대에 발전한 우리나라 특유의 불교 공양구입니다. 향을 살라 불전에 공양을 올리고…

  • 고려 금동탑(국보), 현존하는 최대 규모 금동탑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금동탑>(국보)이다. 높이 155cm로 고려시대에 제작된 현존 최대 규모의 금동탑입니다. 원래 7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는 5층까지만 남아 있다. 기단부, 5층 탑신, 상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형적인 오층석탑을 모망한 형태이다. 탑신 각 층에 불상이 부조로 표현되어 있으며, 상륜부의 장식도 풍부하다. 전제적으로 안정된 비례를 보여주고 있으며 탑신 지붕은 경태한 느낌을 주고 있어 조형미가…

  • 금동 자물쇠(보물), 통일신라 때 사용되었던 유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금동 자물쇠>(보물)이다.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금동 빗장 1점과, 금동 문고리 1점, 금동 못 2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동 빗장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도금도 잘 남아있다. 통일신라 석탑과 부도 등에서 볼 수 있는 문짝 장식의 실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문고리 전면에 장식된 무늬는 매우 섬세하여 뛰어난 통일신라의 공예 기술을 보여 주고…

  • [도쿄국립박물관, 호류지 보물관] 금속공예

    불교공예는 부처의 장엄, 공양, 의식에 사용되는 도구를 가리킨다. 불교공예는 그 쓰임새에 따라 범음구, 공양구, 장엄구, 밀교법구 등이 있다. 공양은 불(佛).법(法).승(僧)과 부모, 죽은자의 영혼에게 공물을 바치는 것을 의미하며, 공양구(供養具)는 공양을 올릴 때 사용되는 도구를 만한다. 공양물로는 향, 등(燈), 꽃, 음식 등이 있으며, 공양구로는 촛대, 향로, 정병 등이 있다. 일본에서 사용되었던 불교공예품은 한반도에서 사용되었던 것들과 큰 차이는…

  • [도쿄국립박물관, 호류지 보물관] 관정번灌頂幡

    도쿄국립박물관 호류지관을 대표하는 유물인 금동 관정번灌頂幡(국보)이다. 번幡은 불교 건축물을 꾸미거나 의식을 진행할 때 사용하던 깃발이다. 지금도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배너banner’와 그 유래와 음이 거의 비슷하다. 번은 고대에는 전투에서 승리의 표시로, 황제의 행차 때 의례용으로 사용되었는 불교에서 이 관념을 흡수하여 사용하고 있다. 보통 천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관정번 동제 투조 도금 방식을 사용하여 깃발의 내용을…

  • 합전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보물)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합전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보물)이다. 대가야 지배층 무덤인 합천 옥전고분군(사적) M28호 무덤에서 출토된 한쌍의 금귀걸이다. 가야의 긴 사슬장식 금귀걸이 중 화려하고 보존상태과 양호하다. 5세기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로 당시의 금속공예 수준을 잘 보여주고 있다. <출처>

  • 전 낙수정 동동 (보물)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전 낙수정 동종(보물)’이다. 일본인 소장하고 있다가 1999년 기증하면서 반환된 문화재이다. 네 명의 비천상이 구름 위에 꿇어 앉아 두손을 모아 합장하는 모습이 조각되어있다. 종에 새겨진 기록이 없어 제작 내력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 전승기 범종양식을 계승한 고려초에 제작돤 것으로 추정된다. 전 낙수정 동동, 고려 10~11세기, 보물불교에서 범종 소리는 ‘부처님의 소리’를 의미합니다. 지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