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움미술관
- [리움미술관특별전, 조선의 백자] 철화백자, 동화백자
- [리움미술관특별전, 조선의 백자] 청화백자
- [리움미술관특별전, 조선의 백자] 절정, 조선백자
강화역사박물관 (인천 강화)
- [강화역사박물관] 선사시대
- [강화역사박물관] 강화도의 고인돌
- [강화역사박물관] 공예미술품
- [강화역사박물관] 강화 바닷길과 고려시대 강화
- [강화역사박물관] 조선시대의 강화
- [강화역사박물관] 개항기의 강화
- [강화역사박물관] 강화의 민속
수원화성박물관 (경기 수원)
- [수원화성박물관] 수원화성을 건설한 사람들
- [수원화성박물관] 화성의 축성과 도시의 건설
- [수원화성박물관] 정조의 화성행차
- [수원화성박물관] 장용영(壯勇營), 정조의 직할부대
전곡리 선사박물관(경기 연천)
- 토층전시관
- 선사시대
- 구석기시대유물
충현박물관 (경기 광명)
- 오리 이원익 유품
- 이원익 종가 살림
강릉시립박물관(강원 강릉)
- [강릉시립박물관] 향토민속관
- [강릉시립박물관] 야외전시실, 석조유물
천안박물관(충남 천안)
- [천안박물관] 천안의 읍지
- [천안박물관] 천안의 불교문화
- [천안박물관] 삼국시대 천안
- [천안박물관] 선사시대 천안지역
석장리 유물전시관(충남 공주)
- 후기 구석기 집터와 발굴과정
- 석장리 유적 출토 유물
- 구석기 유물
단양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충북 단양)
- [단양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 구석기시대 개관과 단양의 선사유적
- [단양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 수양개 구석기유적 출토 유물
- [단양 수양개선사유물전시관] 수양개 원삼국시대 유적
상주박물관(경북 상주)
- [상주박물관] 상주의 근대
- [상주박물관] 상주의 유학
- [상주박물관] 조선시대 지방통치
- [상주박물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 [상주박물관] 사벌국과 신라
- [상주박물관] 선사시대의 상주
충재박물관(경북 봉화)
- [충재박물관] 유물로 본 당시 사회상
- [충재박물관] 당대 문인들과 교류 – 근사록(보물), 권벌 종가 전적(보물), 권벌 종가 유묵(보물)
- [충재박물관] 충재 권벌의 생애 – 충재일기(보물), 권벌 종가 고문서(보물) 외
하회마을 영모각(경북 안동)
- 임진왜란 극복과정을 기록한 징비록(국보)
- 서애 류성룡 종가 유물(보물)
창녕박물관(경남 창녕)
- 비화가야 출토유물
- 비화가야 토기
- 철제무기
- 생활도구
- 창녕지역 양반문화
- 보부상유품
송광사박물관(전남 순천)
- [송광사박물관] 십육조사 진영 (보물)
- [송광사박물관] 복장유물, 불구, 불화
- [송광사박물관] 불교 경전
- [송광사박물관] 승보사찰 송광사
필암서원 전시관(전남 장성)
- 하서 김인후
- 소장 전적
서울지역 박물관/미술관
- 성북동 간송미술관
- 부암동 서울미술관
- 연세대 언더우드기념관
- 태릉 조선왕릉전시관
- 암사동 선사유적 유물전시관
- 겸재정선기념관
경기/인천지역 박물관/미술관
- 인천 공화춘, 화교의 역사를 보여주는 짜장면박물관
- 인천 화도진전시관, 구한말 개항 과정을 보여주는 전시관
- 파주 오두산통일전망대와 북한전시관
- 광명 오리이원익기념관
강원지역 박물관/미술관
-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충청지역 박물관/미술관
- 부여 정림사지박물관, 백제 불교에 대해 잘 설명해 놓은 박물관
- 공주 송산리고분군 모형전시관
- 홍성 백야 김좌진 장군 기념관
대구/경북지역 박물관/미술관
- 안동 학봉기념관, 학봉종택에서 소장한 김성일의 유품을 볼 수 있는 곳
- 영주 무섬마을, 무섬자료전시관
- 대구근대역사관, 구한말 이후 대구의 변화를 보여주는 전시관
부산/경남지역 박물관/미술관
- 부산근대역사관, 일제강점기 동양척식회사 건물
- 울산 대곡박물관
- 통영 충렬사 전시관, 명황제가 충무공에 내려준 수군도독인과 팔사품
- 진해박물관
호남지역 박물관/미술관
- 익산 미륵사지 박물관
- 강진 전라병영성 하멜기념관
- 보성 조정래 태백산맥 문학관
- 여수 진남관 임란유물전시관
‘영남 북부의 불교문화’, 2022년 가을, 불교박물관
- [불교중앙박물관 특별전] 영남 북부의 불교문화
- [불교중앙박물관 특별전] 등운산 고운사
‘오래된 이웃, 화교’, 2014년 겨울, 인천시립박물관
- [인천시립박물관 특별전] 오래된 이웃 화교
‘청관, 그 기억을 거닐다’, 2013년 겨울, 인천 짜장면박물관
- 청관, 그 기억을 거닐다.
‘신비의 파라오 투탕카멘’, 2012년 봄, 국립과천과학관
- 신비의 파라오 투탕카멘
- 많은 보물이 보관되어 있던 무덤의 방들
- 미이라가 있던 현실
- 석관을 보관하는 바깥 사당
- 미이라를 안치하는 3개의 관
- 불멸의 황금마스크
- 장신구와 호신용 부적
- 장기를 보관하는 카노포스 단지
- 사후세계를 묘사한 ‘사자의 서’
- 파라오의 전차
- 장례용 조각상
- 화장품과 연고보관 돌그릇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2011년 겨울, 예술의 전당
-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선주민 킴메르와 최초의 유목민 스키타이
-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각배(Rhyton)와 그리핀(Griffin)
-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시베리아 샤먼의 도구인 청동방울
- [실크로드 황금문명전] 스키타이 복식과 장신구
-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동물문양 금속장식과 무기
-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사르마트(Sarmat)의 금속장식
-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흑해 북안의 그리스계 국가들
-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중세 초원의 유목민족들
-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슬라브민족과 키에프 루스
- [스키타이 황금문명전] 우크라이나의 장식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