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석탑
-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직지사 대웅전 앞으로 옮겨온 두개의 탑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대웅전 경내 서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문경시 산북면 웅창마을 도천사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비로전 앞 삼층석탑과 함께 3기의 석탑이 모두 같은 양식을 하고 있다. 기단을 받치는 넓직한 바닥돌이 기단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단과 탑신 1층 몸돌을 높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
문경 도천사지 삼층석탑(보물), 직지사로 옮겨온 통일신라 삼층석탑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비로전 앞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문경시 산북면 웅창마을 도천사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을 받치는 넓직한 바닥돌이 기단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단과 탑신 1층 몸돌을 높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경쾌한 느낌을 주고 있다. 상륜부는 직지사로 옮겨올 때 옛 모습을 추정하여…
-
(전) 구미 강락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삼층석탑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경내에 있는 강락사지 삼층석탑(보물)이다. 이 석탑은 구미시 선산읍 낙동강변 강락사 절터에 남아 있던 것으로 현재의 위치로 옮겨 놓은 것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과 탑신에 기둥장식 외 특별한 장식은 없다. 일제강점기에 도굴되면서 무너져 있던 것을 수리하여 다시 세웠으며 상륜부는 옛 모습을 추정하여 복원하였다. 불국사 삼층석탑과는…
-
장성 진원리 오층석탑
장성군 진원면 진원리에 있는 오층석탑이다. 규모도 크지 않은 편이며 조각수법도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 석탑 기단부는 2층으로 쌓아야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을 하는데, 이 석탑은 기단을 1층으로 쌓고 있으며, 기단부와 몸돌에 안상이나 불상 등을 전혀 새겨 놓지 않고 있다. 형식적이고 정형화된 고려시대 석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장성 진원리 오층석탑> 전남 장성군 진원면 진원리 마을 입구에 남아 있는…
-
담양 남산리 오층석탑(보물), 정림사지 오층석탑을 모방해 만든 고려시대 석탑
전남 담양군 담양읍 남산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부여 정림사지오층석탑으로 모방해서 만든 것으로 보이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1층의 기단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려 놓고 있으며, 머리장식은 남아 있지 않다. 기단이 1층이기는 하지만 탑신과 기단의 비례가 적절하여 안정적인 느낌을 주고 있다. 통일신라 이후 석탑은 석탑자체의 독특한 조형미를 가지는데 비해 이 석탑은 석재를 이용하여 목탑처럼 쌓았다. <담양…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효소왕이 아버지 신문왕을 위해 세운 석탑
경북 경주시 구황동 낭산 북쪽 끝자락에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국보)이다. 높이 7.3m로 이층으로 쌓은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쌓아 올렸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붕돌 밑면에 5단의 받침을 새겨놓고 있다. 통일신라 전기에 세워진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이나 고선사지 삼층석탑에 비해서 그 규모가 작아지고, 형태도 단순해졌다. 전체적인 조형미나 조각수법 등의 우수하며,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
경주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보물), 다른 형식을 하고 있는 2개의 탑
경북 경주시 남산동 옛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 석탑(보물)이다. 절터는 감은사지 이후 통일신라 사찰의 전형적인 가람배치였던 2탑 1금당식 가람배치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절터에는 형식이 다른 2개의 탑이 세워져 있는데 불국사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형식이다. 통일신라 전성기가 끝나가는 9세경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데, 동탑은 모전석탑 형식이 남아 있는 특이한 형태이며, 서탑은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
경주 남산 승소골 삼층석탑
경주 남산 승소골 절터에 남아 있던 삼층석탑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정형화된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탑신 1층에 사천왕상을 새겨 놓은 독특한 형태의 석탑이다. 경북지역과 강원도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사천왕상이나 팔부중상이 새겨진 형태의 삼층석탑이지만, 1층 탑신 몸돌에만 사천왕상을 새겨놓은 점이 독특하다. 전체적인 비례나 조각수법은 양호한 편이지만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승소골은…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경주 남산을 대표하는 장면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경주 남산 용장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경주 남산을 대표하는 장면으로 손꼽히는 석탑이다. 바위를 1층 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2층기단과 탑신을 올려놓은 특이한 삼층석탑이다. 전체적으로 통일신라 후기의 정형화된 삼층석탑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주위의 자연환경이나 경치와 함께 아름다운 조형미를 만들어 내고 있다. 쓰러져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다시 세웠다고 하며, 사리장치는 남아 있지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