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석탑
-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보물), 정형화된 형식을 보여주는 통일신라 말기 석탑
전남 구례군 토지면 연곡사(鷰谷寺)에 위치한 삼층석탑(보물)이다.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3단의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탑은 기단을 넓게 하고, 탑신을 작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간결하면서도 안정감을 주고 있다. 특별한 장식은 없고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은 원래의 것이 아니고 새로 만들어 올렸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윗층 기단에서 여래입상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전체적인 형태나…
-
남원 실상사 동.서삼층석탑(보물), 상륜부가 온전히 남아 있는 통일신라 석탑
전남 남원시 산내면 실상사 주불전인 보광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감은사나 불국사처럼 2개의 탑이 배치된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석탑이다. 탑은 2층으로 된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리고 있다. 탑의 구성이 불국사 삼층석탑과 거의 비슷하며, 2개의 탑 모두 상륜부 장식이 거의 온전하게 남아 있다. 1973년 불국사 삼층석탑을 수리할 때 이 석탑을 모방해서 상륜부를 만들어 올렸다고 한다. 지금도…
-
경주 기림사삼층석탑, 정형화된 통일신라 후기 삼층석탑
경북 경주시 양북면 기림로 기림사 경내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다. 위층 기단 몸돌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 몸몰에는 각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은 낡았지만 머리장식받침과 그릇모양의 복발, 연꽃모양의 장식이 남아 있다. 통일신라 삼층석탑 양식을 하고 있지만 석탑의 크기도 작고 조각수법도 약간 떨어지는…
-
영천 거조사 삼층석탑
경북 영천시 청통면 거조길 거조사 영산전 앞 마당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정형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통일신라말 또는 고려초에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석탑은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과 머리장식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과 탑신의 비례의 조형미는 양호하나 정형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탑신은 몸돌과 머리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은 거의 남아…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대구광역시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이다. 동화사 부속 암자인 비로암 대적광전 앞에 세워져 있다.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으로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았다. 기단부 각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조각해 놓고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에는 기동모양을 새겨놓았다. 꼭대기 머리장식으로 노반(머리장식받침), 복발(그릇을 엎어놓은 모양의 장식), 보주(연꽃봉우리모양)의 장식이 올려져 있다. 석탑을 구성하고 있는…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국보), 고려시대 모전석탑
강원도 정선군 고한읍 고한리 함백산 정암사에 있는 수마노탑(국보)이다. 전탑을 모방해서 돌을 벽돌처럼 깎아서 쌓아 올린 7층 모전석탑이다. 화강암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탑신을 받치기 위 받침을 올려 놓았다. 탑신은 석회암을 깎아 벽돌처럼 만들어 쌓아 올렸다. 탑신 1층 몸돌에는 불상을 안치하는 감실을 두고 있다. 탑 앞에 있는 연꽃무늬, 안상(眼象) 등이 새겨진 배례석 등을 고려할 때 고려시대에…
-
춘천 청평사 삼층석탑, 공주탑 설화가 남아 있는 고려 석탑
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청평리 청평사를 들어가는 고갯길에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이다. 탑은 통일신라때가지는 신앙의 중심이 되었던 대상으로 주로 사찰 경내 금당 앞에 세워졌는데, 이 탑은 계곡이 내려다 보이는 길목에 자리잡고 있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고 있다. 통일신라 석탑에 비해 조각수법은 떨어지는 편이나 전체적으로 아담하면서도 안정감이 있다. 중국 당나라(원나라?) 공주가 이곳에서 상사뱀을 떼어냈다는 설화가 남아…
-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마을에 있는 임하동동삼층석탑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쌓아 올린 전형적인 삼층석탑이다. 조각수법이 투박하며, 각부분의 비례 또한 미(美)적으로 뛰어나지는 않다. 마을 논밭 한가운데 있는 위치하고 있는데, 도굴로 기단부가 크게 파손되었던 것을 1979년에 해체.보수하였다고 한다. 불교에서 신앙 대상의 중심이 탑에서 불상으로 바뀌고, 조각수법 또한 크게 쇠퇴한 고려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안동 임하동 동삼층석탑>…
-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보물)
단양군 가곡면 남한강변 향산리마을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탑은 2층 기단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이다. 기단부는 여러장이 큰돌로 바닥돌을 놓고 그에 기단을 쌓았다. 3층으로 된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1개의 돌로 되어 있다. 이 석탑은 머리장식이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다. 석탑의 형태는 비례가 충실하며, 조각수법도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통일신라 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