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한옥

  • 안동 오류헌(安東 五柳軒), 임하댐 건설로 임동면 지례동에서 옮겨온 전통한옥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마을에 있는 고택인 오류헌(五柳軒)이다. 이집은 임동면 지례동에 있었는데 임하댐 건설로 마을이 수몰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영남 4대 길지 중 한곳인 천전마을 의성김씨 일가인 김원중이 1678년 분가할 때 세웠다고 한다. 건물은 ‘∏’자형 안채와 ‘-‘자형 사랑채가 합쳐서 전체적으로 ‘ㅁ’자를 이루고 있다. 안채는 원래의 것이나 사랑채는 1920년 개축하면서 크게 증축한 것으로 보인다. 경치가 좋았던 반변천…

  • 안동 국탄댁(菊灘宅), 임하댐으로 수몰된 지례동 마을에 있던 조선후기 고택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마을 한쪽편에 있는 고택인 국탄댁(菊灘宅)이다. 조선후기 영조대인 1757년에 지어진 집으로 원래는 임동면 지례동에 있었던 것을 임하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이 마을로 옮겨졌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합쳐져서 ‘ㅁ’자형 주택을 하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 모두 간단한 구조로 지어졌는데, 안채는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사랑채는 앞면 4칸 규모이다. 이 집을 지은 국탄은 조선중기 숙종대 문신인 김방걸의 후손이다.…

  • 안동 의성김씨 종택(보물), 영남 4대길지로 손꼽히는 천전마을 종택

    안동 임하댐 아래 천전마을(내앞마을)의 종갓집인 의성김씨종택(보물)이다. 현재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학봉 김성일(1538~1593년)이 다시 지은 것이라 한다. 이 저택은 경북지역 한옥의 ‘ㅁ’자형 주택이지만 사랑채와 안채가 붙어 있어 전체적으로 ‘巳’자 모양을 평면을 하고 있다. 이는 김성일이 사신으로 중국을 다녀오면서 중국 상류층 주택을 참고하여 지었기때문이다. 외부에서 보는 저택의 느낌과는 달리 내부는 검소하고 소박한 느낌을 주고…

  • 안동 금계리마을, 학봉 김성일 후손들이 모여사는 의성김씨 집성촌

    경북 안동시 서후면에 있는 마을 중 하나인 금계리 마을이다. 이 마을은 원주변씨, 의성김씨, 안동김씨의 집성촌으로 의성김씨의 입향조는 학봉 김성일이다. 그는 원래 임하댐 아래 천전마을에 살았는데 결혼후 처가에서 후손을 잇지 못하자 이곳으로 옮겨와 그 터전을 물려받아 자리를 잡아 살아왔다. 마을에는 학봉 김성일 종택을 비롯하여 구한말 초산도호부사를 지낸 김진형이 살았던 겸와고택을 비롯하여 소계서당(小溪書堂), 모계정사(某溪精舍) 등이 있다. 마을은…

  • 안동 겸와고택(謙窩古宅), 학봉고택과 이웃하고 있는 저택

    안동시 서후면 학봉 김성일의 후손들이 모여사는 의성김씨 집성촌인 금계리 마을에 있는 겸와고택(謙窩古宅)이다. 이 집은 조선후기 문신 김진형(1801~1965)이 처음 지었는데, 그가 초산도호부사를 지냈다고 초산댁(楚山宅)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종택인 학봉종택과 이웃에 위치하는 저택으로 종택에 비해 소박해 보인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5칸으로 안채와 사랑채로 ‘ㅁ’자형 주택 구조를 하고 있다.  대문이 없는 담장을 들어서면 중문과 사랑채가 보인다. 사랑채는 대청마루가 있는…

  • 안동 소계서당(邵溪書堂), 학봉 후손 김흥락이 후학을 양성하던 곳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학봉종택이 있는 의성김씨 집성촌에 있는 작은 서당인 소계서당(邵溪書堂)이다. 소계서당은 김성일의 후손인 서산(西山) 김흥락이 서당을 세우고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다. 1960년대 학봉고택이 원래의 위치로 옮기면서 서당으로 사용하던 사랑채를 남겨 놓았다. 원래 종택이 있던 자리에는 서당을 관리할 작은 살림집을 지어놓고 있다. 서당 건물은 앞면 3칸으로 크지 않은 규모이다.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 1827~1899년)은 김성일의 후손으로 사헌부지평, 승정원우부승지…

  • 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 조선중기 학자 김성일이 살았던 집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위치한 의성김씨 학봉종택이다. 이 집은 조선중기 문신이자 임진왜란 직전 일본으로 파견되었던 학봉 김성일이 살았던 고택이다. 김성일은 퇴계 이황의 제자로 서애 류성룡과 함께 퇴계의 학풍을 잇는 영남학파의 중심 인물이었다. 임진왜란 직전 통신사로 일본을 방문한 후 왜군의 침입이 없을 것이라는 잘못된 보고를 하였다고 하여 파직되었으나 경상우도 초유사로서 의병장 곽재우를 돕고, 각 지역의 의병을 규합하여 김시민이…

  • [한국민속촌] 중부지방 양반가, 수원화성에 있었던 99칸 대저택

    수원 화성 내에 있었던 중부지방 99칸 양반가 대저택이다. 상당히 넓은 부지위에 솟을대문, 줄행랑, 바깥사랑, 안행랑, 내당, 초당, 내별당, 큰사랑, 외별당, 사당 등의 건물을 배치하고 있다. 저택의 규모는 창덕궁 후원의 연경당과 낙선재, 경복궁 후원의 건청궁보다 넓고 건물칸수도 많아 보인다. 안채는 내사랑, 사랑채와 복도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경복궁 교태전이나 창덕궁 자경전처럼 궁궐 침전에서만 볼 수 있는 형태이다.…

  • 여주 명성황후 생가, 민유중 묘막으로 세워진 고택

    여주군 여주읍 능현리에 있는 명성황후 생가이다. 솟을대문이 있는 ‘-‘자형 행랑채, 사랑채와 중문이 있는 ‘ㄱ’자형 문간채, ‘ㄱ’자형 안채, 바깥쪽에 ‘-‘자형 별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옥의 규모가 아주 크지는 않지만 짜임새있게 꾸며진 중부지방 양반가옥의 특징을 살 보여주고 있다. 숙종의 장인이자 인현왕후 아버지 민유중의 묘막으로 지어진 이 가옥은 서울 북촌 감고당과 함께 민유중 후손들이 살아왔던 집이다. 원래 가옥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