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중앙박물관
-
청자 사자모양뚜껑 향로(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사자모양뚜껑 향로(국보)”이다. 향로는 사자모양의 뚜껑과 향을 피우는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은 대좌에 앉은 사자 형상을 하고 있는데 사자는 입을 벌린 채 한쪽 무릎을 구부린채로 앞을 보고 있는 자세를 하고 있다. 향 연기가 사자입으로 내뿜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몸체는 3개의 짐승모양 다리가 떠받치고 있다. 고려에서 만들어진 사자모양 향로는 매우 뛰어나다고…
-
청자 어룡모양주자(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어룡모양주자(국보)”이다. 용의 머리와 물고기 몸을 가진 동물 모양을 하고 있는 상형청자 주전자이다. 물을 따르는 부리는 용머리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얼굴의 털이나 지느러미 등을 매우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몸체에는 비늘이 양각되어 있으며, 앞.뒤로 갈퀴모양의 옆 지느러미가 표현되어 있다. 상상의 동물을 표현한 상형청자로 세밀한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청자 어룡모양주자(국보). 머리는…
-
청자 투각칠보무늬향로(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투각칠보무늬향로(靑磁透刻七寶文香爐, 국보)”이다. 이 향로는 고려청자 전성기를 대표하는 걸작 중 하나로 투각(透刻)기법으로 칠보문을 장식하고 있는 향로이다. 음각.양각.투각.상감.첩화 등 다양한 장식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뚜껑은 향이 피어오르도록 뚫어서 장식한 구형 부분과 받침부분으로 되어 있다. 몸체엔 꽃잎을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굽다리부분에는 향로를 등에 얹고 있는 토끼 세마리가 있다. 이 향로는 고려청자 중에서도 특이한 작품으로…
-
청자 철화버드나무무늬 통모양 병(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철화버드나무무늬 통모양 병(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국보)”이다. 긴 통모양의 병 앞 뒤에 한 그루씩 버드나무를 붉은 흙으로 그려 넣은 소박한 병이다. 병은 전제적으로 직선적인 단순한 원통 모양을 하고 있다. 몸통에 그려넣은 버드나무 2그루를 제외하고는 특별한 장식은 없는데 단순하면서도 품위있는 분위기를 주고 있다. 버드나무는 현대 회화에서 많이 볼 수 있는…
-
청자 철채퇴화인삼잎무늬 매병(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철채퇴화인삼잎무늬 매병(靑磁鐵彩堆花三葉文梅甁, 보물)”이다. 목이 짧고 각진 아가리를 가졌으며, 직선적인 느낌의 곡선미를 주고 있는 매병이다. 퇴화(堆花)기법으로 인삼잎 무늬를 그렸다. 검은색에 가까운 철채와 흰색으로 표현인 인삼잎이 대비와 조화를 이루고 있다. 철채퇴화기법으로 만든 자기는 그 수가 많지 않으나, 전남 강진에서 일부 발견되는 것으로 볼 때 그곳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퇴화청자(堆花靑磁, Celadon…
-
백자 상감모란버들 갈대무늬 매병(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13세기)에 만든 백자인 “백자 상감모란버들 갈대무늬 매병(白磁象嵌牡丹柳蘆文梅甁, 보물)”이다. 고려시대에 만든 백자 중 문화재로 지정된 흔치 않은 문화재이다. 두툼한 아가리를 하고 있으며, 팽배한 어깨부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급격 줄어든다. 몸체는 참외모양으로 6등분하였다. 각면에는 마름모 모양의 선을 상감기법으로 처리하고 그안에 청자 태토로 메우고 붉은색 자토와 흰색백토로 모란, 갈대, 버드나무 등을 상감하였다. 몸체의 기형은 중국 북송의…
-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양각연꽃모란무늬 대접(국보)”로 아가리에 은테두리가 있어 정식명칭은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靑磁 陽刻蓮花唐草象嵌牡丹文銀釦鉢)”이다. 안쪽면에는 양각기법으로 연꽃무늬를 도드라지게 찍고, 바깥면에는 상감기법으로 모란을 장식하고 있다. 안쪽에는 꽃무늬니와 넝쿨 등이 둘러져 있으며, 바깥면에는 세곳에 모란무늬가 흑백상감되어 있다. 상감청자가 유행하기전 한면에만 상감기법을 사용한 순청자와 상감청자 기법이 섞여있는 유일한 청자라고 한다. 청자 양각연꽃모란무늬 대접(국보). 바깥에는 3면에…
-
청자 상감국화넝쿨무늬 대접(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상감국화넝쿨무늬 대접(靑磁象嵌菊唐草文大楪, 국보)”이다. 굽부분이 좁고 아가리가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는데 굽에서 아가리까지 완만한 선을 이루고 있다. 대접 안쪽에는 꽃무늬를 새겼는데 바탕에 백토를 상감하는 역상감기법을 쓰고 있다. 바깥면에는 5곳에 국화를 한송이씩 두고 있다. 경기도 개풍군에서 무덤에서 조성연대(1159년)가 적힌 묘지(墓誌)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연대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중 가장 오래도니…
-
청자 상감국화모란무늬 참외모양 병(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12~13세기 고려에서 만들어진 “청자 상감국화모란무늬 참외모양 병(국보)”이다. 고려 인종의 능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한 참외모양을 하고 있는 꽃병이다. 긴목의 아가리가 벌어진 것은 참외꽃 모양이고, 몸통은 참외모양을 하고 있다. 이런 형태의 병은 중국 당나라에서 만들어졌으며, 고려에 전해지면서 한국적인 형태로 바뀌었다. 몸통 중간에는 모란무늬와 국화무늬를 번갈아 가며 1개씩 장식하고 있으며 아래에는 연꽃무늬가 있다. 고려 청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