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통일신라

  • 보은 법주사 석련지(국보), 돌로 작은 연못을 표현한 통일신라 걸작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에 있는 석연지(石蓮池, 국보)이다. 돌로 만든 작은 연못으로 천왕문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에 조성된 것으로 다른 사찰에서 없는 특이한 형태의 유물이다. 돌로 만든 작은 연못으로 연꽃을 띄어 두어 극락세계를 표한하고 있다. 연지는 팔각형 받침돌 위에 버섯모양의 사잇돌이 몸돌을 받치고 있다. 몸돌은 큼직만한 연꽃모양을 하고 있으며, 표면에는 연꽃잎을 새겨 장식하고 있다. 몸돌 윗쪽에는 낮은…

  •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보물), 사실적 표현이 돋보이는 보살상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경내에 있는 석조희견보살입상(보물)이다. 지대석 위에 큰 향로를 머리에 이고 서 있는 조각상으로 향불을 공양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받침돌, 몸체, 향로받침까지 하나의 돌로 만들었으며 그 위에 향로가 올려져 있다. 얼굴부분은 심하게 훼손되어 알아볼 수 없지만 나머지 부분은 형태가 양호하게 남아 있다. 향로를 받쳐든 팔의 모습이나 신체의 표현 등이 사실적이다. 쌍사자석등(국보 5호)와 조각수법이나…

  •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보물), 통일신라 전성기에 조성된 석등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에 있는 사천왕 석등(보물)이다. 팔각형의 받침돌 위에 화사석이 올려져 있는 전형적인 통일신라 석등의 모습을 하고있다. 받침돌은 안상이 새겨진 아래받침돌, 기둥모양의 가운데 받침돌, 연꽃모양이 조각된 윗받침돌로 되어 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8각형을 하고 있는데, 4면에 창을 두고, 4면에는 방향에 따라서 사천왕상을 새져놓고 있다. 단순하면서도 전체적인 균형미를 갖추고 있으며, 조각수법 또한 뛰어난 편이다. 8세기…

  •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국보), 통일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걸작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경내에 있는 쌍사자석등(국보)이다. 통일신라 성덕왕 때(720년)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석등으로 사자를 조각한 유물 중 가장 오래 되었다. 8각형의 바닥돌 위에 두마리의 사자가 석등을 받쳐들고 있는 형태이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8각형으로 4면에 창을 두어 불을 밝히도록 하고 있다. 석등을 받치고 있는 사자상은 몸의 형태나 근육 등을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힘이…

  • 양양 진전사지,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가 수행했던 진전사 절터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에 있는 진전사(陳田寺) 절터이다. 낙산사 북쪽 해안으로 흘러 내려오는 물치천 상류 설악산 계곡에 자리잡고 있다. 진전사는 우리나라에 선종을 들여온 도의선사가 수행했던 곳으로 통일신라시대인 8세기경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절터에는 삼층석탑(국보), 도의선사탑(보물)가 남아 있는데, 삼층석탑을 중심으로 한 아래 공간과 도의선사탑을 중심으로 한 위쪽 공간에 건물들이 배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선종계열의 사찰이어서 그런지 인상적인…

  •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보물), 우리나라 선종을 크게 일으킨 도의선사의 승탑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진전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도의선사탑(보물)이다. 이 승탑은 2층 기단 위에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부는 석탑의 기단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각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을 새겨놓고 있다. 반면에 탑신은 팔각형의 몸돌위에 기와지붕모양을 지붕돌을 얹어놓은 전형적인 승탑 형태를 하고 있다. 승탑 중에는 비교적 이른 시기인 통일신라 말(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부조가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강원도 양양군 경현면 둔전리 진전사(陳田寺)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국보)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외형을 하고 있다. 탑의 기단부 2층 몸돌에는 팔부중상을 탑신 1층 몸돌에는 여래좌상을 새겨놓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적으로 기단부와 탑신의 비례가 안정감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면에 새겨진 조각상들의 조각수법이 세련되게 잘 만들어졌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부조상이…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국보), 당대 문장가 최치원이 비문을 지은 탑비

    경북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 경내에 있는 지증대사탑비(국보)이다. 봉암사를 세운 신라말의 고승 지증대사를 기리기 위해 승탑 옆에 세워진 탑비이다. 탑비의 머릿돌과 받침돌은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으며 그 조각 역시 뛰어난 편이다. 받침돌은 머리가 용이고 몸은 거북모양으로 머리 위에는 뿔이 솟아 있고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비문위에 올려진 머릿돌에는 연꽃무늬와 8마리 용이 얽힌 형태로 장식되어 있다. <문경…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보물),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새겨진 승탑

    경북 문경시 가은읍 봉암사 경내에 있는 지증대사탑(보물)이다. 통일신라말 승려의 사리를 모신 승탑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2층 기단위에 탑신과 지붕돌을 올려 놓았다. 각부분에는 화려한 조각상을 새겨놓고 있어 통일신라시대의 뛰어난 조각기술을 잘 보여주고 있다. 2층으로 된 기단은 8각형하고 있으며 각면이 밑단에는 사자를 조각하였으며, 윗부분에는 모서리에는 전설속 동물인 가릉빈가를 새겨 놓고 있다. 가운데 받침돌에는 사리합, 공양자상과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