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중앙박물관
-
청자 상감모란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12~13세기 고려시대 문화재인 “청자 상감모란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국보)”이다. 표주박 모양을 하고 있은 주전자로 물을 따르는 부리와 손잡이를 갖추고 있다. 세련된 유선형에 완벽한 비례를 갖춘 뛰어난 조형미를 자랑하는 고려청자의 걸작이다. 목의 윗부분에는 흑백상감으로 구름과 학무늬를 그려 넣었으며, 몸통에는 모란으로 전체를 장식하고 있다. 모란장식은 꽃과 잎들을 제외한 바탕을 백토로 메우고, 원래의 태토가 문양을 만들고 있는…
-
청자 상감모란무늬 항아리(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13세기)에 만든 청자인 “청자 상감모란무늬 항아리(국보)”이다. 몸통 앞.뒤로 모란이 한 줄기씩 장식되어 있는데, 모란꽃을 아주 섬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꽃은 흰색으로, 잎은 검은색으로 상감하여 색이 대비되는 효과를 주고 있다. 손잡이는 별도로 만들어 붙이는 것으로 사자가 입을 벌려 물고 있는 형상을 묘사하고 있다. 고려청자를 대표하는 문화재 중 하나이다. 이 항아리는 사자모양 손잡이가 달린 물동이처럼…
-
청자 음각모란무늬매병(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13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음각모란무늬매병(靑磁陰刻牡丹文梅甁, 보물)”이다. 상감기법으로 위쪽에 보자기무늬가 새겨져 있어 정식명칭은 “청자 음각모란 상감보자기문 유개매병 (靑磁陰刻牡丹象嵌襆紗文有蓋梅甁)”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아가리 주위로 정사각형 보자기를 엎어두고 있는 것처럼 상감양식으로 보자지무늬를 장식하고 있다. 몸통에은 4면에 모란꽃과 모란잎, 구름무늬를 음각으로 새겨 놓고 있다. 비교적 고른…
-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매병(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매병(보물)”이다. 조선전기인 15세기에 만들어진 분청시기 매병을 고려시대에 유행했던 청자 매병을 계승하고 있다. 아가리가 도톰하여 전성기 청자와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으며, 상감기법을 사용하고 있어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옮겨가는 과도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구슬무늬, 변형된 구름, 연꽃무늬 등 분청사기에서 볼 수 있는 문양들이 표현되어 있는데, 청자에 비해서 복잡하고 전체적인 조화는 부족한 편이다.…
-
분청사기 구름 용무늬 항아리(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구름 용무늬 항아리(분청사기상감운룡문호, 국보)”이다. 조선전기에 만들어진 분청사기로 투박하면서도 서민적인 모습을 잘 보이고 있다. 높이 49.7cm의 큰 항아리로 어깨에서부터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서서히 좁아진 형태나 새겨진 무늬는 세련되지는 않지만 투박하면서 힘이 넘치는 외형을 하고 있다. 도장을 찍듯이 무늬를 새기는 인화(印花)기법과 상감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몸통에는 네발달린 용과 구름을 활달하게 표현하고 있다. 여의두, 당초, 용무늬…
-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편병(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분청사기 물고기무늬 편병(분청사기음각어문편병, 국보)”이다. 조선전기에 제작된 분청사기 편명이다. 앞.뒤면과 옆면에 서로 다른 무늬와 위를 향한 두마리 물고기를 표현하고 있다. 양옆에는 모란무늬와 파초를 새겨 넣었다. 단순화된 형태와 생동감있게 표현 등에서 현대미술 작품같은 느낌을 주고 있다. 이 작품은 조선전기 분청사기를 대표하는 작품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도자기를 대표한 작품 중 하나이다. 조화(彫花)기법은 백토로 분장한 표면에 음각으로…
-
분청사기 모란무늬 자라병(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분청사기 모란무늬자라병(분청사기 박재철채모란문 자라병국보)이다. 분청사기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로 15~16세기에 만들어졌다. 납작한 몸체에 주둥이가 달린 형태로 자라를 닮아 ‘자라병’이라 불리는 이병은 실생활에 물병이나 술병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무늬와 바탕면의 대조를 선명하게 하기 위해 바탕면에 검색 안료를 입힌 박지기법을 사용한 백자이다. 무늬의 구성이 대담하고 활발하며 무늬와 바탕면의 백토로 남겨진 부분과 세부를 표현한 기법에…
-
백자 매화 새 대나무무늬 항아리(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백자 매화 새 대나무무늬 항아리”로 정식명식은 “백자 청화매조죽문 유개항아리”이다. 조선전기를 대표하는 청화백자로 격조높은 그림이 그려져 있는 항아리이다. 몸통의 어깨는 벌어졌으며 허리는 잘록하게 만들어 바닥에서 도드라지는 느낌을 준다. 뚜껑 손잡이에 꽆잎 4장을 그리고 그 주위에 매화와 대나무를 그렸다. 몸체의 한면에는 한쌍의 새가 앉아 있는 매화와 들국화를, 다른 면에는 대나무를 그렸다. 문양의 배치나 그림…
-
백자 철화끈무늬 병(白磁鐵畵繩文甁, 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백자 철화끈무늬 병(백자철화승문병, 보물)”이다. 조선중기인 15~16세기에 만들어진 술병으로 검은색 안료를 사용하여 줄무늬를 그려 놓은 철화백자이다. 목은 잘록하며 가늘고, 몸통은 서서히 넓어져 아랫부분이 볼록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여자의 날씬한 몸매를 연상시키는 곡선미가 있다. 몸통에는 마치 넥타이를 매고 있는듯한 모습으로 끈을 그려 놓고 있다. 마치 휴대하기 편하도록 끈을 매달아 놓고 있다는 착각을 하게하는 그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