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향교

  • 아산 온양향교, 옛 온양군 중등교육기관

    충남 아산시 읍내동에 있는 조선시대 지방 중등교육기관인 온양향교이다. 온양군 읍치 관아에서 약 200 m 정도 떨어진 나즈막한 산자락 아래 양지 바른 곳에 자리잡다. 조선중기 광해군 때 현재의 위치에 자리잡은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으며, 명륜당은 앞면 5칸, 대성전은 앞면 3칸 규모를 하고 있는 평균적인 규모의 향교이다. 유생들이 기숙사로 동재만 있었는데 최근에…

  • 홍성 홍주향교, 홍주목 중등교육기관

    충남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에 있는 홍주향교이다. 홍주목 관아에서 운영했던 조선시대 중등교유기관으로 읍치였던 홍주읍성에서 북쪽으로 약 1 km 정도 떨어진 낮은 구릉에 위치하고 있다. 홍주향교는 고려말에 처음 세워졌다고 전해지며, 현재의 건물들은 구한말 구한말 목사 한응필이 읍성을 비롯하여 대대적인 수리공사를 할 때 같이 수리한 건물들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교는 대성전, 명륜당, 동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 홍성 결성향교, 결성현 중등교육기관

    충남 홍성군 결성면 읍내리에 있는 결성향교이다. 조선시대 결성현 중등교육기관으로 관아가 있던 읍치에서 북쪽편으로 500 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향교는 고려시대에 처음 세워졌으며 조선초 결성현 읍치가 현재의 위치로 옮길때 현재의 옮겨졌다고 한다. 향교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건물들은 대부분 일제 강점기에 새로 중건한 것이다. 향교에는 공자와 성현들을 모신 대성전과 강학공간인 명륜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을 규모가…

  • 익산 여산향교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여산향교이다. 옛 여산부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으로 규모는 약간 큰 편이다. 강당이 앞쪽, 대성전이 뒷쪽에 위치한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대성전, 동.서재, 명륜당, 전사청 등의 건물이 남아 있는데 그 중 대성전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대성전은 앞면3칸 규모를 하고 있으며, 강당인 명륜당은 앞면 5칸 규모이다. 유생들의 머물던 기숙사는 남아 있지 않으며, 동.서재로…

  • 장성향교, 장성도호부 공립중등교육기관

    장성군 장성읍 성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장성도호부 공립교육기관인 장성향교다. 읍소재지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장성읍 소재지가 일제강점기에 기차역과 가까운 곳으로 옮겼기 때문이다. 향교는 강학공간을 앞쪽에, 제향공간을 뒷쪽에 둔 전학후모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읍치 반경 수km 안에 호남지방을 대표하는 필암서원을 비롯하여 봉암서원 등이 있었기 때문에 조선후기에는 교육기관 역할을 하기 힘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장성향교> 장성도호부 관아에서 운영했던…

  • 담양향교, 담양도호부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조선시대 담양도호부에서 관아에서 운영하던 공립 중등교육기관인 담양향교이다. 이곳에 향교가 세워진 것은 조선이 건국되던 시기인 1938년(태조7)이라고 한다. 현재의 향교 건물들은 대체로 숙종대에 다시 지어진것을 여러차례 고쳐지으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담양군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찾는 대나무숲 죽녹원 서쪽편에 언덕에 자리잡고 있지만 찾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곳이다. 건물은 외삼문, 명륜당, 내삼문, 대성전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 전학후묘의…

  • 담양 창평향교, 창평현 관아에서 운영했던 중등교육기관

    조선시대 창평현 관아에서 운영하던 공립 중등교육기관인 창평향교다. 조선초 정종 때 처음 세워졌다고 하며, 성종 때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현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중건하였다고 하는데, 그후에도 수차례 중건이 있었다. 건물은 증암천이 흐르는 들판이 내려다 보이는 경사지에 세워졌으며, 대성전(보물), 내삼문, 명륜당(보물)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경사진 언덕에 세워져서 향교마당은 넓지 않은 편이지만 언덕에 세워져서 전망이 꽤…

  • 춘천향교, 옛 춘천도호부 중등교육기관

    춘천시 교동에 위치한 춘천향교이다. 옛 춘천도호부에서 운영하던 공립 중등교육기관이다. 이 향교가 언제 처음 세워졌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중종대(1520년)에 크게 중건하고,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594년(선조 27)에 다시 중건했다고 한다. 현재의 춘천향교 건물들은 한국전쟁때 불타버린 것을 1960년에 중건한 것이다. 제향공간인 대성전이 윗쪽에 있고, 강학공간인 명륜당이 아래에 위치한 전학후묘의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건물은 대성전과 동.서무, 명륜당과 동.서재와…

  • 강화 교동향교, 교동도호부 중등교육기관

    옛 교동도호부 읍치가 있던  강화 교동도 읍내리에 있는 교동향교(喬桐鄕校)이다. 고려시대 안향(安享)이 원나라에서 공자의 초상화를 가져와 모셨던 유서깊은 향교이다. 원래 한강이 보이는 화개산 북쪽 기슭에 있었는데 조선 영조때 읍치와 가까운 이곳으로 옮겼다. 강학공간을 앞에, 제향공간을 뒤에 둔 후묘전학의 건물배치를 하고 있다. 건물은 공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동.서무, 유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과 동.서재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다. <강화 교동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