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고려시대

  • 남원 만복사지(사적), 김시습 소설 금오신화의 무대였던 절터

    전북 남원시 왕정동 남원읍성 서북쪽에 위치한 고려시대 절터인 만복사지(사적)이다. 고려 초에 처음 세워진 만복사는 읍치였던 남원읍성과 가까운 곳에 위치한 전형적인 고려시대 평지 찰이다. 조선초기 생육신 중 한명으로 당대의 천재로 이름을 떨친 김시습이 지은 소설 ‘금오신화’의 다섯편 이야기 중 하나인 ‘만복사저포기’의 무대가 이 곳 만복사이다. 김시습이 소설의 무대로 만복사를 선택할 정도로 전국적으로 크게 번창했던 사찰로 보인다.…

  • 함양 승안사지, 고려시대 삼층석탑과 석조불상이 남아 있는 절터

    경남 함양군 수동면 남계서원 북쪽 승안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었던 승안사(昇安寺) 절터이다. 조선초 이곳에 사찰이 있었다는 사실 외에 다른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절터에는 고려초에 조성된 삼층석탑(보물)과 높이 2.8m의 거대한 고려시대 석조불상 외에는 특별한 흔적은 남아 있지 않다. 1962년 탑을 옮기는 과정에서 조선중기인 1494년에 중수했다는 내용이 적힌 문서가 발견되어 이때까지 사찰이 존재했음을 알 수…

  • 함양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

    경남 함양군 수동면 승안사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이다. 높이 2.8m 의 거대한 불상으로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마모되어 형체를 알아보기 힘든 상태이다. 불상은 머리를 크게, 신체는 작게 만들어 어색한 느낌을 주고 있다. 신체에 새겨진 옷주름 등은 간략하게 선으로 새겨놓고 있다. 불상의 조각수법이나 표현에서 예술적 감각이 떨어지는 편이다. 고려 초 지방호족들이 세력을 과시하기 위해 발원하여 조성된 거대…

  • 함양 승안사지 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고려 석탑

    경남 함양군 수동면 승안사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고려 초에 조성된 석탑으로 2층 기단에 3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에는 부처, 보살, 비천 등의 모습을 새겨 놓고 있는데, 의미를 두고 질서있게 배치한 것 같지는 않다. 1층 탑신 몸돌에는 사천왕상을 새겨놓고 있다. 머리장식으로는 받침과 복발, 연꽃모양장식이 남아 있다. 기단과 1층 몸돌에 부조상을 새겨놓고 있는 등 통일신라…

  • 남원 만복사지 오층석탑(보물), 전형적인 고려시대 다층석탑

    전북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 절터에 남아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 위에 5층 탑신을 올려 놓았는데 지금은 4층만 남아 있다. 기단부는 일부 땅에 묻혀 있으며, 탑신 1층 몸돌을 크게 만들어 기단역할을 하고 있다. 탑신 2층부턴 몸돌을 낮게 만들었다. 지붕돌은 밑변 전체가 들려 있다. 고려초에 만복사를 세울 때 조성된 것으로 그 원형이 많이 손상되어 있다. 조각수법이나 조형미도…

  • 남원 만복사지 석조대좌(보물), 거대한 금동불상이 올려졌던 대좌

    전북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대좌(보물)이다. 거대한 불상을 올려 놓는 받침으로 절터 서쪽 금당터에 위치하고 있다. 하나의 큰 돌을 조각하여 상.중.하대를 표현하고 있다. 하대 옆면에는 안상과 꽃을, 위쪽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상대에도 연꽃무늬를 새긴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위쪽에는 불상을 고정시키기 위해 파놓은 네모난 구멍이 있다. 통일신라 8각형 대좌 형식에서 벗어나 6각형으로…

  •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통일신라 불상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시대 불상

    전북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 절터에 남아있는 석조여래입상(보물)이다. 이 불상은 만복사가 창건된 고려 문종 때 같이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바위 위에 부처가 서 있는 입상 형태의 불상으로 뒷편에는 광배를 두고 있다. 온화하고 인자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부드러운 옷자락을 묘사하고 있다. 입체감있게 조각한 것이 아니라 마애불상과 조각상의 중간적인 형태를 하고 있으며, 전면부만 묘사하고 있다고 볼 수…

  • 남원 용담사지 석조여래입상(보물), 고려 초에 조성한 거대 불상

    전북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용담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입상(보물)이다. 큰 바위에 부조로 새긴 부처의 모습을 새겼다. 높이 6m에 이르는 거대한 불상이다. 얼굴은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심하게 마모되어 알아보기 힘들지만 힘차고 박력있는 표정을 느낄 수 있다. 뒷편 광배에는 알아보기 힘들지만 불꽃무늬를 조각한 흔적이 남아 있다. 대좌는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비롯하여 고려 초…

  • 남원 용담사 칠층석탑, 고려시대에 세워진 석탑

    전북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 용담사에 있는 고려시대 칠층석탑이다. 탑은 1층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올려 놓았다. 1층 몸돌은 네 개의 판돌로 크게 만들었는데 기단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층부터 탑신 몸돌의 높이를 낮게 만들어 안정감을 주려고 했으나 지붕돌을 두껍게 만들어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고려시대 지방 호족세력이 발원해서 세워진 석탑 중 하나이다. 조각수법이 투박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