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통일신라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 좌상(보물)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동화사 비로암에 있는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민애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삼층석탑을 조성한 9세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불상이다. 통일신라 불상조각의 전성기인 8세기에 비해서 조각수법이나 표현이 떨어지는 정형화된 불상의 모습을 하고 있다. 손모양으로 볼 때 비로자나불상의 모습을 하고 있다. 조각수법을 떨어지지만 대좌와 광배를 제대를 갖추고 있는 흔치 않은 통일신라시대 불상이다. 원래 위치인 대구 동화사 부속 암자인…
-
전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보물)
서울 중구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민애대왕 사리그릇(보물)이다.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기 때문에 정식명칭은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이다. 사리를 보관하는 그릇으로 납석으로 만들었다. 현재는 도굴과정에서 파손되어 4개의 조각으로 깨졌으며, 그 형태도 완전하지 않다. 항아리 표현에 검은 칠을 하고 있으며, 어깨부문에는 꽃구름무늬와 빗금꽃무늬를 새겨 둘렀다. 몸통에는 7자 38행의 글자를 음각으로 새겨 놓고 있다.…
-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
대구광역시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보물)이다. 동화사 부속 암자인 비로암 대적광전 앞에 세워져 있다.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으로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려 놓았다. 기단부 각면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조각해 놓고 있다.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에는 기동모양을 새겨놓았다. 꼭대기 머리장식으로 노반(머리장식받침), 복발(그릇을 엎어놓은 모양의 장식), 보주(연꽃봉우리모양)의 장식이 올려져 있다. 석탑을 구성하고 있는…
-
강릉 사굴산 굴산사지(사적), 통일신라 구산선문 사찰이었던 절터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 위치한 옛 절터인 굴산사지(사적)이다. 굴산사(掘山寺)는 통일신라 후기(851년)에 범일국사가 창건한 사찰로 선종을 크게 전파한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하나인 사굴산문의 중심 사찰이다. 범일국사는 당나라에서 돌아온 후 굴산사에서 40년동안 지내면서 불법을 공부하고 전파하였다. 구산선문은 기존 교종의 교리 중심에서 부처의 가르침이 주는 본래 의미를 전한다는 선종의 성격을 갖고 있다. 통일신라말기 왕실의 권위가 떨어지면서, 지방호족의 지원을 받아…
-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국보),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塼塔)
안동시 법흥동 법흥사(法興寺)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칠증전탑(국보)이다. 현존하는 가장 크고 오래된 전탑이다. 탑은 1층의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쌓아 올렸다. 높이 17m, 기단너비 7.75m의 거대한 규모에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탑의 기단부에는 화강암으로 조각된 사천왕상과 팔부중상이 새겨져 있다. 탑의 중앙에는 계단을 설치하여 1층 몸돌에 설치된 감실과 연결하고 있다. 탑의 지붕에는 기와를 얹은 흔적이 있어…
-
[중앙박물관 통일신라실] 통일신라의 대외교류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고 발해와 함께 남북국시대를 이루었던 7~10세기의 동아시아는 국제적인 성격이 강했던 강력한 당왕조를 중심으로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개방적 성격이 강했던 시기이다. 이시기 통일신라는 주로 바닷길을 이용하여 중국, 서역, 일본과 교류하였다. 당으로는 견당사와 구법승, 숙위학생을 파견하고, 신라방을 설치하는 등 밀접하게 교류하였다. 해상왕 장보고의 청해진과 최치원, 혜초 등으로 대변되는 당나라 유학생, 당나라세 소재했던 신라방 등 역사 기록에는…
-
[중앙박물관 통일신라실] 왕경인의 생활, 불교문화
신라는 7세기 중엽 당나라와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나.당전쟁을 거치면서 고구려 권역의 일부인 대동강~원산만을 연결하는 국경선 남쪽을 그 영역으로 비교적 안정된 통일국가를 형성하였으며, 그 북쪽은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가 자리를 잡았다. 이 시기는 중국의 강력한 당왕조를 중심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국제정시를 유지하였다. 통일신라는 새로운 국가를 운영하기 위하여 관료제를 정비하였다. 통일신라는 지방을 9주로 나누고 다시 5소경을 두어 지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