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가야
-
[중앙박물관특별전, 가야 본성] 대외 교류
가야는 바다에 접해 있다는 지리적인 이점과 풍부한 철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및 일본과 활발하게 교류하였다. 가야 유적지에서는 당시 교류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는데 그 중 지리적,정치적으로 가까웠던 일본과의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들이 가장 많이 출토되고 있으며, 중국 북조와 남조를 비롯하여 멀리 서역에서 가져온 것으로 보이는 유리잔도 보인다. 청동솥, 거울, 방패꾸미개, 적갈색토기 등은 가야와 주변국가와의 국제적인 교류가…
-
[중앙박물관특별전, 가야 본성] 가야의 토기
가야 토기는 같은 시기 한반도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는 어떤 토기보다 단단하며 형태적으로도 아름답다.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높은 온도의 밀폐가마, 고속 회전 물레 등 발달된 토기 제작기술을 가졌던 것으로 보이며 회청색의 아주 단단한 토기를 만들었다. 가야의 토기는 곡선적인 다리를 가진 굽다리접시, 짧은 목항아리, 다양한 형태의 그릇받침이 특징적인데 연맹체 국가답게 지역별로 다양한 특징을 보여준다. 높은 기술수준과 조형미를 갖추고 있으며…
-
[중앙박물관특별전, 가야본성] 가야 사람
2019년 겨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국립김해박물관과 공동으로 <가야본성(伽倻本性), 칼(劍)과 현(絃), 2019.12.3 ~ 2020.3.1> 특별전을 개최하였다. 삼국시대 통일된 국가였던 고구려, 백제, 신라와 함께 오랜 기간 존재했던 가야(伽倻) 연맹체에 대해서 다시 한번 살펴볼 수 있는 내용이었다. 가야연맹은 발전된 철기문화와 한,중,일 연안 해상무역로를 바탕으로 번성했다. 진한(辰韓)을 계승한 신라와는 오랜 세월 경쟁관계였으며, 왜(倭)와는 동맹관계에 가까웠다. 가야를 대표하는 유물로는 뛰어난 금속가공기술을 보여주는 철제…
-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보물) – 2012년
경남 김해시 김해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보물)이다. 삼국시대 가야 무덤인 부산 복천동고분군(사적) 11호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이다. 깨지거나 훼손된 부분이 없이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통형 그릇받침 위에 목이 낮은 도기 항아리가 놓여져 있다. 그릇받침과 항아리의 규모가 크고 조형미를 갖추고 있으며, 그릇받침 표면에 유약이 발라져 있다. 그릇받침은 11단으로 나누어 투창을 새겨 놓고 있으며 가운데…
-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가야시대 지방세력 무덤들
부산시 동래구 복천동 일대에 있는 복천동 고분군(사적)이다. 동래읍성 북문 안쪽 구릉에 위치하고 가야시대 무덤들이다. 1969년 주택공사 중 우연히 무덤이 확인되어 여러차례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200여기의 무덤이 확인되었다. 무덤의 형태는 땅을 파서 방을 만들고 나무관을 넣은 덧널무덤, 땅속에 돌로 벽을 쌓고 천장을 덮어 만든 구덩이식 돌방무덤, 땅속에 시신을 바로 묻는 널무덤 등 여러 시기에 걸친 다양한 형식의…
-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국보), 2020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국보)이다. 높이 23.2 cm 크기의 인물형 도기로 나팔모양의 받침 위에 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말을 탄 무사의 형상을 올려놓고 있다. 표현방법이 매우 사실적이어서 가야무사의 복식과 무기 등을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무사는 머리에 투구를 쓰고 오른손에는 창을, 왼손에는 방패를 들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뒤쪽에는 중앙아시아 유목민들과의 교류관계를 보여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