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불전

  • 영주 부석사 조사당(국보), 고려 이전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는 전각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부석사 경내에 있는 조사당(국보)이다.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대사 초상을 모시는 건물로 무량수전 뒷편 언덕 숲길을 따라서 조금 걸어가면 볼 수 있다. 조사당 앞에는 의상대사 지팡이를 꽂은 것이라 전해지는 어사화가 있고, 동쪽에는 사명대사가 수도했다고 전해지는 취현암이 자리잡고 있다. 건물 내부에는 사천왕상 등이 그려진 고려시대 벽화(국보)가 있다. 조사당은 고려 말 (1377년)에 세워졌으며, 여러차례 수리를…

  •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국보),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지은 전각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에 있는 해인사 장경판전(藏經板殿, 국보)이다. 고려 팔만대장경(국보)를 비롯한 불경 목판을 보관하고 있는 전각으로 해인사에서도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 많은 불경 목판을 보관하고 있어 해인사를 법보사찰이라 불리우며 이로 인해 해인사는 전국 3대 사찰로 손꼽힌다. 장경판전은 해인사에 가장 오래된 건물로 언제 처음 지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 세조 때 크게…

  • 합천 해인사 국사단, 가람을 수호하는 국사대신을 모신 작은 전각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해인사에 국사단(局司壇)이다. 해인사 봉황문과 해탈문 사이 공간에 있는 작은 전각으로 해인사 도량을 관장하는 산신이자 토지의 신인 국사대신을 모신 곳이다. 내부에는 가야산신과 관련된 불화가 모셔져 있다. 산신각이 사찰 뒷편에 있는 다른 사찰과는 달리 가람을 수호하는 의미를 갖고 있어 사찰 입구에 배치되어 있다. 민속신앙과 불교가 융합된 독특한 전각이다. <합천 해인사 국사단> 가람을…

  • 부산 범어사 대웅전, 2011년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에 범어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을 모시고 있는 불전이다. 현재의 건물을 조선후기 숙종 때 크게 중창하였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기둥 위의 장식과 처마의 구조가 섬세하고, 화려하지 않지만 섬세한 문살을 두고 있다. 건물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화려하면서도 중후한 느낌을 주고 있다. 부산 금정산 중턱에…

  • 부산 범어사 팔상 독성 나한전, 2011년

    부산시 금정구 범어사(梵魚寺)에 있는 팔상.독성.나한전이다. 주불전인 대웅전 왼쪽편에 이 불전은 하나의 건물에 3개의 불전이 있는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18세기초에 처음 지어졌을 때는 팔상전과 나한전이 나란히 세워져 있었으며, 가운데 천태문이 있었다고 한다. 1907년 건물을 수리할 때 팔상전과 나한전은 옛 건물을 그대로 두고 가운데 독성전이 새롭게 지었다. 건물은 앞면 7칸, 옆면 3칸 규모이다. 팔상전과 나한전이 앞면…

  • 양산 통도사 대웅전(국보), 상로전 영역 주불전

    경남 양산시 영축산 통도사 경내에 있는 대웅전(국보)이다. 상로전 영역이 주불전이자, 통도사에서도 중심이 되는 공간이다. 건물 뒷편에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두고 있어 대웅전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는다. 삼국시대 신라 선덕여왕 때 처음 지어졌다고 하며, 여러차례 중수와 중건을 거듭해 왔다. 현재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조선후기 인조 때 새로 지은 것이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 양산 통도사 명부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명부전이다. 지장보살과 시왕들을 모시고 있는 불전으로 상로전 동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고려말 처음 지어졌다고 전하여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다. 현재의 건물은 19세기말에 완성된 것으로 당시의 불전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고 에 있다. 건물은 앞면 5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간략하게 만들어진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벽면에는 수궁도를 비롯하여 당시…

  • 양산 통도사 응진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응진전이다. 석가모니와 제자들을 모시는 불전으로 상로전 서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의 내력에 대해서 기록은 많지 않으나 조선후기 숙종 때 처음 창건된 이후 여러차례 수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앞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데, 규모가 약간 큰 편이다. 내부와 외부 벽면에 많은 벽화들이 그려져 있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 양산 통도사 대광명전(보물), 중로전 영역 중심 불전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경내에 있는 대광명전이다. 비로자나여래를 모시는 불전으로 중로전 영역에 있는 3개의 불전 중 뒷편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조선후기 영조 때 중건한 것으로 앞면 5칸 규모,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상당히 큰 규모이다. 가운데 출입문은 3분합문이며, 나머지는 2분합문이다. 또한 가운데 기둥에서 용머리를 조각해 놓았다. 내부에는 비로자나여래상이 단독으로 모셔져 있으며 그 뒷편에 비로자나여래, 노사나여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