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정자

  • 화순 영벽정, 능주목 관아에서 세운 정자.

    전남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지석천변에 세워진 정자인 영벽정(映碧亭)이다. 능주목 관아에서 설치한 정자로 읍치에서 멀지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양팽손과 김종직의 시에 영벽정이 언급되어 있어 그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정자는 구한말 고종 때인 1873년에 새로 고쳐 지은 것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2층 누각형 건물이다. 영산강 지류인 지석천 강물의 경치가…

  • 장성 요월정원림, 배롱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는 정자와 정원

    전남 장성군 황룡면 황룡리에 위치한 요월정원림(邀月亭園林)이다. 영산강으로 흘러드는 지류인 황룡강이 내려다 보이는 작은 동산에 자리잡고 있다. 비교적 이른 시기인 조선중기 명종 때 공조좌랑을 역임한 김경우가 처음 세웠으며, 당대의 뛰어난 학자인 김인후, 기대승 등과 함께 시를 읊으며 풍류를 즐겼던 유서깊은 장소이다. 현재의 건물은 일제강점기에 중건한 것으로 앞면 3칸, 옆면 3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정자와는 달리…

  • 담양 척서정, 집성촌 마을 입구에 세워진 정자.

    전남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에 위치한 척서정(滌暑亭)이다. 영천이씨 집성촌인 대치리 마을 입구에 재실로 보이는 건물, 정자나무와 함께 광장 역할을 하는 장소에 세워져 있다. 정자는 경치좋은 강변이나 전망이 좋은 언덕에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 정자는 마을입구에 세워져 있는 것이 특이하다. 마을회의나 크고 작은 행사를 하기 위해 세운 정자로 보인다. <담양 척서정>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에 팔작지붕을…

  • 담양 송강정, 송강 정철이 고향으로 낙향하여 세운 작은 정자

    전남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에 위치한 송강정(松江亭)이다. 가사문학의 산실로 잘알려진 식영정과 소쇄원 등이 무등산 북쪽 자락 가까운 물맑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면, 송강정은 면앙정과 함께 영산강 주변의 넓은 농토가 내려다 보이는 작은 동산위에 세워졌다. 송강 정철이 유배생활을 끝내고 낙향하면서 지은 정자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사미인곡’과 ‘속사미인곡’을 지은 곳이다. 무등산에서 발원한 지천인 증암천이 영산강 본류와 합류하는 지점과 가까운…

  • 담양 면앙정, 조선중기 학자 송순이 세운 작은 정자

    전남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에 위치한 작은 정자인 면앙정(免仰亭)이다. 조선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송순(1493~1583년)이 1533년에 처음 건립한 이 정자는 소쇄원, 식영정 등 담양, 창평 일대에 선비들이 세운 여러 정자 중 비교적 이른 시기에 세워진 것으로 가사문학으로 대표되는 이 지역 양반문화를 선도했던 곳이다. 담양읍을 지나 장성군으로 흘러드는 영산강 옆 작은 동산에 정자가 세워졌다. 정자 마루에 걸터 앉으면 영산강과…

  • 담양 독수정 원림, 고려말에 조성된 정원

    전남 담양군 남면 연천리에 위치한 독수정 원림(獨守亭園林)이다. 고려때 벼슬을 지낸 전신민이 고려 멸망 후 은거하면서 독수정을 처음 세웠다고 한다. ‘독수(獨守)’는 이백의 시에서 따온 것으로 백이.숙제의 절개를 표현한 것이다. 인근에 세워진 여러 정자 중에서도 제일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그 내력 또한 가장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정자는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가운데 1칸 온돌방을 두고 있으며 3면이…

  • 담양 식영정 일원(명승), 송강 정철의 가사문학 산실로 여겨졌던 곳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에 있는 식영정(息影亭, 명승)이다. 무등산에서 발원하여 영산강에 합류하는 증암천과 광주호가 내려다 보이는 경치좋은 곳에 언덕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정자이다. 16세기 서하당 김성원이 장인인 석천 임억령을 위해 지은 정자로 조선중기 가사문학을 대표하는 송강 정철이 이 일대 경관을 노래한 ‘성산별곡’을 지었다. 임억령은 경치좋은 20곳을 골라 경치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식영정 20영’을 지었으며, 김성원, 정철, 고경명…

  • 담양 명옥헌 원림(명승), 소쇄원과 함께 담양을 대표하는 정자와 정원

    전남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에 위치한 전통 정자와 정원인 명옥헌 원림(鳴玉軒 苑林, 명승). 경관이 좋은 곳에 정자를 짓고 연못을 파서 인공적으로 조성된 정원으로 인근 소쇄원(명승)과 함께 담양에서도 가장 빼어난 정원으로 알려져 있다. 정자는 조선중기 마을에 정착한 오희도의 아들 오이정이 자연경관이 좋은 도장곡에 정자를 짓고 숲을 가꾸었는데 이 정자가 바로 명옥헌이고 정원이 명옥헌 원림이다. <담양 명옥헌 원림(명승)>…

  • 광주 취가정, 임진왜란 의병장 김덕령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광주시 북구 충효동 마을 뒷동산에 위치한 작은 정자인 취가정(醉歌亭)이다. 이 정자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김덕령의 후손들이 그를 기리기 위해 구한말에 세운 재실 성격의 정자이다. 마을을 대표하는 정자인 환벽당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경치가 좋은 증암천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을 들판을 내려다 보고 있다. 건물은 앞면 3칸규모로 가운데 작은 온돌방을 두고 있다. <광주 취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