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등 흥국사에 있는 목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이다. 사찰 주불전인 대웅전에 모셔진 삼존불상으로 석가여래를 주존으로,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을 협시보살로 두고 있다. 17세기에 조성된 목조불상으로 조각수법이 뛰어나고 양감이 잘 표현되어 있다. 조선후기 불상 중 드물게 보살상을 협시로 두고 있으며, 조각수법이나 양식 등에서도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불상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흥국사 대웅전에 모셔진 석가여래삼존상(보물)> 조선후기 불상 중 드물게 협시보살을 두고…
-
여수 흥국사 대웅전 후불탱(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등 흥국사 대웅전에 모셔진 후불탱이다. 석가모니가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영산회상도로 대웅전 석가삼존불의배경으로 걸려 있다. 그림은 비단바탕에 채색하여 그려졌는데 가로 4.2 m, 세로 5.07 m 이다. 채색은 붉은색과 녹색으로 이루어 졌으며, 꽃무늬나 옷주름 등에 금색을 사용하고 있다. 조선후기 17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흥국사 대웅전 석가삼존불 뒷편에 걸려 있는 후불탱(보물)> 흥국사…
-
여수 흥국사 대웅전(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에 있는 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이 사찰의 주불전으로 석가삼존불을 모시고 있다. 조선중기 인조 2년 흥국사가 중건될 때 새로 지어졌는데 동시대를 대표하는 불전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앞면 3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내부는 우물천장을 하고 있으며 불상을 모신 자리에는 닫집을 만들어 놓았다.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화려하면서도 장엄한 분위기를…
-
여수 흥국사 홍교(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등 흥국사에 있는 홍교(보물)이다. 영취산 흥국사 입구 계곡에 놓여진 아치형 돌다리인 홍교로 아치의 높이가 가장 가장 높고 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진왜란 이후인 인조 17년(1639) 흥국사를 중건할 때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산중 사찰 입구 계곡에 홍교를 세운것은 바깥세상과는 공간을 분리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계곡 양쪽 바위에 기대어 잘 다듬은 화강석으로…
-
보성 벌교 홍교(보물), 큰 규모의 조선시대 홍예교
전남 보성군 벌교읍 벌교리에 남아 있는 벌교 홍교(보물)이다. 잘다듬은 석재로 아치모양으로 쌓은 홍예교이다 규모는 폭 4 m, 길이 80 m로 현재 남아 있는 홍예교 중 가장 큰 규모이다. 현재는 길이 약 27 m 정도로 높이 3 m의 홍예 3개가 남아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최근 옛모습을 복원해 놓고 있다. 홍예 밑 천장에는 용머리를 조각한 돌이 돌출되어…
-
순천 송광사 고려고문서(보물)
순천 송광사 박물관에 소장.전시 중인 고려고문서(보물) 2점이다. 송광사의 옛이름인 수선사의 창건연혁 등을 기록한 형지기와 수선사에 딸린 노비를 기록한 노비문서이다. 흔치 않은 고려시대 작성된 고문서이다. 종이에 붓으로 글을 쓴 문서로 당시의 문서양식과 필법 등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수선사형지기(순천 송광사 고려고문서), 고려, 보물> 수선사형지기는 사천대(고려시대 관청의 하나)의 관리가 기록한 문서로 수선사의 창건연혁 및 가람이 배치상황,…
-
순천 송광사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보물)
순천 송광사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보물)이다. 법화경이라고도 불리는 묘법연화경은 천태종의 근본경전으로 화엄종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에 큰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이 책은 법화경 중 제25품인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송나라 시효가 풀이해서 쓴 것으로 관세음보살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고려시대 의천이 간행한 교장의 하나로 조선초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다시 목판을 새겨 간행한 것이다.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 보물, 조선 1461년> 묘법연화경은 줄여서 ‘법화경’이라고…
-
순천 송광사 대반열반경소(보물), 2018년
순천 송광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대반열반경소(보물)이다. 대반열반경은 열반을 종교적.철학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해 만든 경전이며, 이 책은 당나라 법보가 주석을 붙인 것이다. 고려시대 의천에 간행한 교장(敎藏) 중 하나로 조선초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다시 목판을 새겨 간행한 것이다. <대반열반경소, 보물, 조선 1461년> 『대반열반경』은 부처님의 열반을 다루고 있는 경전으로, 중생들에게 열반을 종교적.철학적으로 같이 이해시키기 위해 만든 것이다. 고려 숙종 4년(1099)에…
-
순천 송광사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보물)
순천 송광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보물)이다. 이비달마집론는 부처님의 열반에 관해 설명한 것으로 당나라 현장법사가 한문으로 번역한 것으로 불경 중 연구서라 할 수 있는 논(論)에 해당한다. 이 책은 아비달마잡집론에 신라의 현범이 다시 해설을 붙인 것으로 고려 초(1093)에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책은 조선초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다시 목판으로 새긴 것을 찍어낸 것이다.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 보물, 조선 1461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