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조선시대
-
부여 무량사 극락전(보물), 삼국시대 금당을 연상시키는 2층 불전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 주불전인 극락전(보물)이다. 삼국시대 경주 황룡사나 익산 미륵사 등에 있었던 금당과 비슷하게 2층으로 지어진 불전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이며 기단은 그리 높지 않다. 지붕을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1층과 2층에 화려한 공포로 장식하고 있는 다포계 건축물이다.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대웅전 등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건물 또한 비슷한 시기에 세워졌다.…
-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지(사적)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절터 뒷편 강당터 옆에 세워져 있다. 불상은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고, 코을 비롯한 얼굴부분은 특히 심하게 훼손되어 일부는 시멘트로 메꾸어 놓고 있다.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불상은 처음부터 잘 만들어진 것은 아니고, 어떤 연유로 인해 효험이 좋다는 미신이 있었는지 알 수 없지만 다른 석조불상에 비해 얼굴 부분 훼손이 심하며, 시멘트로…
-
전라도 여산도호부 관아, 여산 동헌
전북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옛 여산도호부 관아 건물터이다. 다른 지방의 옛 관아터와 마찬가지로 시골마을 면소재지에 자리하고 있다. 관아건물 중에는 고을 수령이 근무하던 동헌 건물과 수령이 수백년이 지난 느티나무들이 이곳에 관아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헌건물은 계단식으로 조성된 건물터에 자리잡고 있는데 구한말에 중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헌 옆에는 객사가 있었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에 초등학교 건물이 들어서 있다.…
-
곡성 태안사 일주문
전남 곡성군 태안사 입구에 세워져 있는 일주문이다. 사찰 출입문을 대표하는 형식으로 지금은 대부분의 사찰에서 일주문을 두고 있지만 오래된 건물은 많지 않은 편이다. 태안사 일주문은 원래부터 있었다고 하지만 조선후기 숙종 때 고쳐지으면서 오늘날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앞면 1칸의 2개의 기둥에 맞배지붕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형태를 하고 있다. 태안사(泰安寺)는 곡성군 동리산(桐裏山)에 있는 사찰로 통일신라 때…
-
순천 선암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다포계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불전
전남 순천시 선암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석가여래를 모신 불전으로 강당건물인 만세루와 마주보고 있다. 대웅전 앞 마당에는 통일신라 때 조성된 동.서삼층석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건물은 정유재란을 비롯하여 여러차례 전란과 화재 등으로 불타버린 것으로 19세기에 새로 지은 것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공포를 만드는 수법이 섬세하면서도 화려하며 장식성이 돋보이는 건축물이다.…
-
순천 선암사 일주문(보물), 조선후기에 세워진 출입문
전남 순천시 선암사 출입문인 일주문(보물)이다.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사찰 일주문 중에서는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건물 앞면 1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다른 사찰 일주문과는 달리 양쪽에 담장이 설치되어 있다. 상량문에 따르면 병자호란 이후에 다시 세워진 것이라 한다. 전체적으로 조선후기 건축양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선암사(仙巖寺, 사적)는 조계산 동쪽 기슭에…
-
순천 선암사 승선교(보물), 계곡에 놓여 있는 아름다운 돌다리
전남 순천시 선암사 계곡에 놓여진 돌다리인 승선교(보물)이다. 조선후기에 만들어진 다리로 잘 다듬은 돌로 아치형 홍예를 쌓은 돌다리이다.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아 거의 반원에 가깝게 홍예를 쌓은 것으로 조선시대에 쌓은 아치형 돌다리 중에서는 가장 우수한 편이다. 다리를 중심으로 개울 양쪽으로 석축을 쌓아 전체적으로 하나의 공간을 만들고 있다. 이 다리는 임진왜란 이후 승병으로 성곽을 쌓는 큰 역할을 했던…
-
화순 학포당, 조선중기 문신 양팽손이 머물렀던 서재
전남 화순군 이양면 쌍봉리에 있는 정자인 학포당이다. 이곳은 조선중기 중종때 활동한 문신이자 서화가인 양팽손이 서재로 사용했던 건물이다. 그는 기묘사화로 관직을 잃고 이곳에서 제자를 가르치며 지냈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이며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건물 앞 마당에는 원래 건물을 지을 때 심은 것으로 보이는 오래된 은행나무가 남아 있다. 현재의 건물은 원래 있던 것은 아니고 1920년대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