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보물

  • 순천 송광사 경패(보물)

    순천 송광사에 전해 내려오는 경패(보물)이다. 불경을 넣은 나무상자에 달아서 사용했던 일종의 꼬리표이다. 상아패 43점, 목제패 33점으로 총 43점이 남아 있다. 표면에는 불경의 명칭과 번호를 새겼으며,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하고 있다. 조각수법 등으로 볼 때 고려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송광사 경패, 보물, 고려> <상아로 만든 경패> 불상 등을 돋을새김으로 섬세하게 조각해 놓았다. <나무로 만든 경패>…

  • 순천 송광사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보물)

    순천 송광사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보물)이다. 조선중기 1634 ~ 1635년에 간행된 것으로 100매 정도가 없어졌으나 2,347매가 큰 손상없이 남아 있다. 팔만대장경을 제외하고는 현존하는 불서 목판 중 그 규모가 가장 방대하다. 대방광불화엄경소는 『화엄경』에 해석을 달아 놓은 교장류의 일종이다. 고려 대각국사 의천의 요청으로 판본이 처음 수입된 이후 여러차례 간행되었다. <순천 송광사 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보물)> 『대방광불화엄경소』는 대승경전의 하나인 『화엄경』을…

  • 순천 송광사 인천안목 목판(보물)

    순천 송광사 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인천안목 목판(보물)>이다. 간행 기록에 따르면 조선중기 1529년(중종 24)에 간행되었다. 전체 42매로 일부 손상되기는 했으나 전체 목판이 완전하게 남아 있다. <인천안목>은 중국 남송 때 승려 지소(智昭)가 당시 불교 5개 종파의 기본사상과 창시자들의 행적을 요약하여 정리한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고려 때(1357년) 처음 간행되었으며 여러 차례 중수본이 간행되었다. 인쇄본은 여러 점이 전해지고…

  •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 복장유물(보물)

    순천 송광사 사천왕문 을 지키는 사천왕상에서 출토된 복장유물(보물)이다. 사천왕상을 해체.보수하는 과정에서 복장전적, 다라니경, 후령통 등이 발견되었다. 그 중 복장전적은 고려시대 교장(敎藏)의 성격을 잘 보여주는 유물로 평가받고 있다. 교장(敎藏)은 대각국사 의천이 신라 고승의 저술과 송, 거란, 일본 등에서 수집하여 간행한 대장경에 대한 연구 해석서이다. 고려 때 때 교장도감에 간행된 것이 3종 남아 있으며, 조선 세조 때…

  •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보물), 원나라 세조 쿠빌라이로부터 받은 문서

    순천 송광사에 전해내려오는 고문서인 티베트문 법지(보물)이다. 송광사 원감국사가 원나라 세조 쿠빌리이로부터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내용은 문서 소지자에 대한 신분과 신분보장, 신분을 보장해줄 자들에 대한 명시와 협조요청, 문서발급자의 증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영인본)> <원본 사진(아랫부분)> <제6세 원감국사 충지(1226 ~ 1293)> 송광사 16국사 중 제6대인 원감국사가 고려 충렬왕의 명을 받고 원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 [송광사박물관] 십육조사 진영 (보물)

    승보사찰로 불리는 송광사는 한국을 대표하는 수행도량으로 사찰 가람배치와 유물 등에서도 그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런 특징을 잘 보여주는 전각으로 전각으로 16국사를 모신 국사전(국보)와 작은 요사채인 하사당(보물)이 있으며, 유물로는 제2세 진각국사에게 내려진 공문서인 혜심고신재서(국보), 국사전에 모셔졌던 16국사 진영(보물 ) 등이 있다. 16국사는 고려중기 불교개혁운동인 정혜결사를 이끌었던 보조국사 지눌을 비롯하여 고려말까지 국사를 지낸 16명의 승려를 말한다.…

  • 순천 송광사 하사당(보물), 조선전기 승방의 모습이 남아 있는 건물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 요사채 건물인 하사당(보물)이다. 승려들이 머물면서 수행하는 공간으로 승보사찰로 불리는 송광사의 많은 요사채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에 맞배지븡을 하고 있는데, 부엌 위에 환기구를 두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국사당과 함께 조선초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당시 승려들이 수행했던 공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건물이다. <송광사 하사당(보물)> 수행을 중시했던 승보사찰 송광사의 여러 요사채…

  • 순천 송광사 영산전 (보물)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 불전인 영산전(보물)이다. 석가모니의 일생을 그린 팔상도와 영산대회 그림(보물)를 모신 불전이다. 송광사 기록에 따르면 조선 중기 인조 때(1639년)에 지어졌으며 그후 여러차례 수리가 있었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이지만 그 규모는 작은 편이다. 지붕을 팔작지붕이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기법이 간결하면서 단정한 느낌을 주고 있다. 대웅전이 있는 사찰 경내 한쪽편에 약사전과…

  • 순천 송광사 약사전(보물), 앞면 1칸 규모 작은 불전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에 있는 약사전(보물)이다. 앞면과 옆면이 각 1칸씩으로 현존하는 불전 중 가장 작은 규모로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 형태 등으로 볼 때 17세기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웅전이 있는 경내 한쪽편에 영산전과 함께 나란히 세워져 있는데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송광사 약사전(보물)>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