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백제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능묘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의 왕릉과 지배층의 무덤으로는 한성백제기의 돌무지무덤인 석촌동 고분(사적), 웅진기의 송산리고분군(사적), 사비기의 능산리 고분군(사적)와 익산 쌍릉(사적)가 있다. 그 중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곳으로는 공주 무령왕릉이 있다. 백제의 무덤 형식은 초기에는 고구려 돌무지무덤이었지만 이후 중국 북조와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돌방무덤이 주로 사용되었다. 중국 남조와…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사찰과 불교문화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 불교는 4세기 중국 남조 동진으로부터 인도 승려 마라난타에 의해 전래되면서 시작하였다. 웅진기 백제 때에는 서산 용현리 마애삼존상(국보),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상(국보)같은 불교 유적이 남아 있지만 공주에는 큰 사찰의 흔적이 남아 있지는 않다. 백제 불교는 성왕이 도읍을 옮기면서 정림사를 세우면서 부여지역을 중심으로 불교문화가 크게 융성했다.…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인의 일상생활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가 한강 이남으로 물러난 웅진기, 사비기의 백제 사람들이 살았던 모습들은 당시 도읍이었던 공주 공산성, 부여 도성, 익산 왕궁리에 조성했던 궁궐터 등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에서 살펴볼 수 있다. 부여 부소산성 아래 궁궐터 주변과 익산 왕궁리에서는 화려한 공예품들을 만들어 지배계층에 공급했던 공방터를 비롯하여, 제기 등을 보관했던 창고,…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무기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는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되면서 멸망하였다. 백제가 마지막으로 저항했던 부여 부소산성과 공주 공산성에서는 당시 백제의 무기들이 다수 출토되고 있다. 백제의 무기로는 활과 대도, 환두대도, 쇠낫, 쇠갈고리창, 쇠창 등이 있다. 출토된 무기들은 고구려나 신라의 무기류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공주 공산성 저수시설에서…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건축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는 웅진기때부터 중국 남조의 남조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 들였으며, 건축분야에서도 중국의 영향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백제의 건축의 흔적은 마지막 수도였던 부여와 익산에 남아 있는 궁궐 건물터, 도성 안팎의 여러 절터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미륵사지 석탑은 당시 목조건축물의 모습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도성과 행정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는 기원 전후 무렵 한강유역에서 출발하여 성장했으며, 웅진기를 거쳐 성왕때인 538년에 사비로 도읍을 옮겨 새로운 중흥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한성과 웅진기 도성과 관련된 유적과 유물은 많지 않으나, 부여에서는 관북리 옛 왕궁터를 중심으로 여려 유물들이 출토되어 도성과 행정제도에 대한…

  • 부여 왕흥사지 사리장엄구(국보), 가장 오래된 사리장엄구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 왕흥사지(사적) 절터 목탑지 심초석 사리공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이다. 바깥쪽에 청동으로 만든 원통형 사리합을 두고 그 안에 은제 사리합, 금제 사리병이 있다. 동, 은, 금으로 만든 용기에 사리를 모시는 백제 사리장엄구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유물이다. 원통형으로 만들어진 사리합 바깥에는 6행 29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사찰의 건립시기와 배경, 사리장엄구의 제작시기 등을 알려주고 있다.…

  • 익산 왕궁리오층석탑 사리장엄구(국보)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오층석탑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국보)이다. 1966년 석탑 수리과정에서 출토된 것으로 유리로 만든 사리병, 내함, 외함, 금동불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토된 불상의 연대에 따라 통일신라말 또는 고려초에 석탑과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인근 미륵사지에서 백제 때 조성한 사리구가 발견되면서 백제가 처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리를 보관했던 유리병은 연꽃모양의 대좌 위에 올려져 있는데 완전한 형태를…

  •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국보)

    익산 미륵사지 서탑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국보)이다. 2009년 석탑 해체.수리 과정에서 심주 중앙 사리공에서 출토되었다. 사리호는 금동제 외호, 금제 내호, 유리병으로 구성되어 있다. 리를 보관하는 사리호, 금제사리봉영기, 청동합과 내부공양품, 진단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동으로 만들어진 외호는 부여 왕흥사지에서 출토된 사리호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금제 내호는 뚜껑과 항아리가 붙은 일체형이다. 사리병은 가장 오래된 유리병이지만 파손된 상태로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