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백제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능묘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의 왕릉과 지배층의 무덤으로는 한성백제기의 돌무지무덤인 석촌동 고분(사적), 웅진기의 송산리고분군(사적), 사비기의 능산리 고분군(사적)와 익산 쌍릉(사적)가 있다. 그 중 무덤의 주인을 알 수 있는 곳으로는 공주 무령왕릉이 있다. 백제의 무덤 형식은 초기에는 고구려 돌무지무덤이었지만 이후 중국 북조와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돌방무덤이 주로 사용되었다. 중국 남조와…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사찰과 불교문화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 불교는 4세기 중국 남조 동진으로부터 인도 승려 마라난타에 의해 전래되면서 시작하였다. 웅진기 백제 때에는 서산 용현리 마애삼존상(국보),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상(국보)같은 불교 유적이 남아 있지만 공주에는 큰 사찰의 흔적이 남아 있지는 않다. 백제 불교는 성왕이 도읍을 옮기면서 정림사를 세우면서 부여지역을 중심으로 불교문화가 크게 융성했다.…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인의 일상생활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가 한강 이남으로 물러난 웅진기, 사비기의 백제 사람들이 살았던 모습들은 당시 도읍이었던 공주 공산성, 부여 도성, 익산 왕궁리에 조성했던 궁궐터 등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에서 살펴볼 수 있다. 부여 부소산성 아래 궁궐터 주변과 익산 왕궁리에서는 화려한 공예품들을 만들어 지배계층에 공급했던 공방터를 비롯하여, 제기 등을 보관했던 창고,…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무기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는 660년 나당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되면서 멸망하였다. 백제가 마지막으로 저항했던 부여 부소산성과 공주 공산성에서는 당시 백제의 무기들이 다수 출토되고 있다. 백제의 무기로는 활과 대도, 환두대도, 쇠낫, 쇠갈고리창, 쇠창 등이 있다. 출토된 무기들은 고구려나 신라의 무기류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공주 공산성 저수시설에서…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건축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는 웅진기때부터 중국 남조의 남조의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 들였으며, 건축분야에서도 중국의 영향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백제의 건축의 흔적은 마지막 수도였던 부여와 익산에 남아 있는 궁궐 건물터, 도성 안팎의 여러 절터 등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미륵사지 석탑은 당시 목조건축물의 모습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
[중앙박물관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백제의 도성과 행정
1. 도성과 행정, 2. 건축, 3. 무기와 전쟁, 4. 일상생활, 5. 사찰과 불교문화, 6. 능묘, 7.국제교류, 8. 지방통치 백제는 기원 전후 무렵 한강유역에서 출발하여 성장했으며, 웅진기를 거쳐 성왕때인 538년에 사비로 도읍을 옮겨 새로운 중흥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한성과 웅진기 도성과 관련된 유적과 유물은 많지 않으나, 부여에서는 관북리 옛 왕궁터를 중심으로 여려 유물들이 출토되어 도성과 행정제도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