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사찰
-
공주 태화산 마곡사, 충남지역 중심 사찰
충남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에 있는 사찰인 마곡사(麻谷寺)이다. 신라 선덕여왕때 자장율사가 창건했으며, 고려중기 보조국사가 크게 중건했다고 한다. 국사당에는 통일신라 구산선문 중 사굴산문을 열었던 승려 범일을 모시고 있어 선종 사찰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세조가 이곳을 다녀가 ‘영산전’ 현판 글씨를 남겼으며, 임진왜란 이후 공주 충청감영의 지원을 받아 크게 중건하였다. 오늘날 수덕사와 함께 충남지역을 대표하는…
-
공주 마곡사 심검당 및 고방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심검당(尋劍堂)과 고방(庫房)이다. 심검당은 대광보전 앞 마당 동쪽편에 있는 ‘ㄷ’자 모양을 하고 있는 건물로 조선후기 상류층이 살았던 살림집을 연상시킨다. 마당을 향하고 있는 본채는 앞면 5칸 규모이며 양쪽에 온돌방들이 있는 날개채가 달려 있다. 조선후기 정조 때 수리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건물 형태로 볼 때 거의 다시 지은 것으로 보인다. 건물 규모는 상당히 큰…
-
당진 신암사(申庵寺)
충남 당진시 송악읍에 있는 사찰인 신암사(申庵寺)이다. 고려후기 능성구씨 4대손인 구예의 명복을 빌기 위해 가족들이 부인 아주신씨가 창건한 사찰이다. 신씨가 세운 암자라 하여 신암사라 불렀으며 그 이후 내력에 대해서 알려진 바는 없다. 창건 당시인 14세기에 조성된 금동여래좌상(보물)이 모셔져 있어 사찰이 내력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당진 신암사> <극락전>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보물)>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신암사에 모신 불상으로…
-
당진 영탑사, 옛 면천군 읍치 가까운 곳에 위치한 사찰
충남 당진시 면천면에 있는 영탑사(靈塔寺)이다. 통일신라 때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고려중기에 보조국사가 5층석탑을 세운 뒤 영탑사라 불렀다고 한다. 고려말 무학대사가 유광전 내부 바위에 불상을 조각하게 하면서 절을 중건하고 5층석탑을 뒷편으로 옮겼다고 한다. 그뒤 여러차례 중건을 거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옛 면천군 읍치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역 중심사찰로 호국사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사찰의 규모는…
-
예천 용문산 용문사
경북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에 있는 용문사(龍門寺)이다. 통일신라 경문왕 때(870년) 승려 두운이 창건한 사찰로 절을 창건할 때 용이 영접하였가고 하여 용문사(龍門寺)라 하였다. 고려 중기 의종 때(1165년) 승려 조응이 크게 중건하였다고 하며 윤장대가 있는 대장전(국보)는 이때 처음 조성되었다고 한다. 티벳불교에 볼 수 있는 마니차(摩尼車)와 같은 형태인 윤장대가 있는 것으로 볼 때 원나라 불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문경 사불산 대승사
경북 문경시 산북면 사불산(四佛算)에 있는 사찰인 대승사(大乘寺)이다. 삼국시대 신라 진평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진 문경에서는 가장 오래된 사찰이다. <삼국유사> 따르면 진평왕 때 하늘에서 사면에 불상이 새겨진 큰 돌이 떨어져 그곳에 절을 세우고 ‘대승사(大乘寺)’라 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전각들이 소실된 것을 중건하였다. 그후에도 여러차례 화재로 전각들이 소실되었으며 현재은 건물들은 1966년에 중건한 것이다. 소장 유물로는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국보)>과 관계문서(보물)>, 금동관음보살좌상(보물),…
-
봉화 청량산 청량사
경북 봉화군 청량산에 있는 사찰인 청량사(淸凉寺)이다. 삼국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며 창건이후 오랜세월 동안 내력은 전해지지 않으며 고려말 송광사 16국사 중 한명인 고봉선사가 중건했다. 창건 당시에는 많은 부속건물들이 있는 큰 사찰이었다고 한다. 연화봉 아래 주불전인 유리보전과 요사채들이 있으며, 금탑봉 아래에는 웅진전이 별도로 떨어져 있다. 경사진 지형에 축대를 쌓고 사찰을 조성했는데 규모는 크지 않다. 유리보전 앞 전망좋은…
-
철원 화개산 도피안사(到彼岸寺)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화개산(花開山)에 있는 도피안사(到彼岸寺)이다. 도피안사는 ‘깨달음의 언덕으로 건너간다.’라는 뜻이다. 기록에 따르면 통일신라말 도선국사가 철원지역 호족들과 함께 이 절을 창건하면서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과 삼층석탑(보물)을 조성하였다고 한다. 도선은 이절을 비보국찰(裨補國刹)로 삼았으며 오랜세월 그 명맥을 이어왔다. 구한말 화재로 소실된 것을 중건하였으나 한국전쟁 때 소실된후 1959년 육군 15사단에서 절은 중건한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 통일신라말 신흥세력으로 부상했던 지방 호족들이…
-
울진 천축산 불영사(佛影寺)
경북 울진군 금강송면 천축산(天竺山)에 자리한 불영사(佛影寺)이다. 신라 진덕여왕 때(651)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고찰로 서쪽 산 등성이에 부처님 형상을 한 바위가 절 앞 연못에 비침으로 불영사라 하였다. 임진왜란 때 영산전(현 응진전)을 제외하고 화재로 모두 불타버렸으며 그 이후에 여러차례 화재가 있었으며 화기(火氣)를 누르기 위해 큰 연못을 조성하고 대웅전 기단에는 2기의 거북상이 건물을 받치고 있다. 불영사에는 대웅보전(보물), 웅진전(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