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백제
-
익산 미륵사지 박물관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미륵사지(사적)에 있는 미륵사지박물관이다. 박물관에서는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미륵사지에서는 당시 사찰의 규모를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거대한 치미를 비롯하여 백제시대의 건축부재와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금동향로(보물)를 비롯하여 다양한 시대에 만들어진 유리, 철, 청동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최근 미륵사지석탑을 해체.복원하는 과정에서 화려한 사리장엄이 출토되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 무왕때 이곳에 있던 연못을 메우고 미륵사를 창건했다고…
-
익산 미륵사지(사적), 백제 무왕이 세운 백제 최대 규모의 사찰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미륵사지(사적)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백제 무왕 창건한 백제 최대이자 신라 황룡사와 함께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대형 사찰이다. 석탑 수리과정에서 출토된 사리봉영기에 따르면 백제 왕후가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세웠다고 한다. 지금은 석탑(국보)만 남아 있는데 석재를 이용하여 목탑 형태를 구현해 놓다. 현존하는 석탑 중 가장 크고 오래된 것이다. 통일신라 시대를 거쳐, 고려시대까지 그…
-
[익산 왕궁리유적 전시관] 고급물품을 제작하던 공방터
왕궁리 궁성 서북편에는 유리제품, 금제품, 동.청동제품같은 고급 물품을 생산하여 궁궐에 공급하기 위한 공방이 있었다. 발굴.조사결과 남북으로 긴 2동의 공방 관련 건물, 공방 관련 원료, 재료, 도구들을 버리는 폐기지가 확인되었으며, 금.유리제품 및 반제품, 금속.유리제작용 도가니, 슬래그, 송풍관, 원재료, 소토덩어리, 벽체편 등 다양한 종류의 공방 관련 유물이 다량 출토되었다. 공방터 앞쪽에는 좁은 수로를 통해 화장실 오수가 배출되는…
-
[익산 왕궁리유적 전시관] 백제 무왕이 조성한 궁성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은 백제 무왕이 조성한 왕궁지와 후대의 사찰 유적이 같이 있는 곳으로 경복궁처럼 앞쪽은 정전을 중심으로 의례적인 공간이, 뒷쪽은 업무, 생활공간이 흔적이 남아 있다. 후대에 사찰로 바뀌면서 중심부 궁성 건물은 없어졌지만 앞쪽의 정전 영역과 뒷편에는 크고 작은 건물터들이 확인되고 있다. 발굴.조사 결과 백제의 와적기단과 같은 건축양식과 기와같은 건축부재와 백제인이 사용했던 토기 등이 출토되고 있다.…
-
익산 왕궁리 유적(사적),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 확인되는 궁궐터
전북 익산시 왕궁면과 금마면에 있는 왕궁리 유적(사적)이다. 오층석탑이 남아 있던 이곳은 마한의 도읍지설 등 다양한 의견들이 있었으나 발굴.조사 결과 백제후기에서 통일신라 때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백제 무왕의 천도설이 확인되는 중요한 유적이다. 유적은 백제 무왕 때 조성은 궁성 영역과 백제말 또는 통일신라 때 조성된 사찰영역이 혼재되어 있다. 궁성은 치밀한 계획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중국의 영향을…
-
익산 제석사지(사적), 왕궁리 궁성을 수호하기 위해 세운 사찰 절터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제석사지(사적) 절터이다. 제석사는 백제 왕실의 번창과 안녕을 기원하기 위한 왕실 사찰로 왕궁리유적에서 동쪽으로 1.5 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백제 무왕이 이곳 왕궁리로 궁성에 세우면서 불교의 수호신인 제석천을 모시기 위해 세웠다. 제석사에 대한 기록은 백제 무왕 때 천도한 기록과 낙뢰로 인한 화재 기록이 있다. ‘제석사’라고 적힌 기와조각이 발견되어 이곳에 옛 절터임이…
-
익산 토성(사적), 백제 무왕이 왕궁리 궁성과 함께 세웠던 산성
전북 익산시 금마면 오금산에 있는 익산 토성(사적)이다. 해발 100 m 정도인 오금산 정상과 남쪽 계곡에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오금산성 또는 보덕성이라 불렀다. 7세기 초 백제 무왕이 익산 왕궁리에 궁성을 조성할 때 같이 쌓은 것으로 보인다. 산성은 둘레 690 m로 넓지 않은편이다. 원래 백제식 토성으로 쌓았다가 이후에 석축을 보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있었는데 백제…
-
익산 쌍릉(사적),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능으로 추정되는 곳
전북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쌍릉(사적)이다. 2기의 무덤이 남북으로 나란히 자리잡고 있어 쌍릉이라고 부른다. 쌍릉은 능산리고분군과 같은 굴식돌방무덤으로 남쪽에 있는 것을 소왕묘, 북쪽의 것을 대왕묘라 부른다. 일제강점기 이전에 도굴되어 나무로 만든 목관 외에는 유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복원된 목관의 형태나 관못, 꾸미개 등은 능산리고분에서 출토된 것과 거의 비슷하다. 무덤의 구조나 출토 유물, 주위에 있는 미륵사지나…
-
부여 능사 오층목탑, 백제문화단지에 복원해 놓은 백제 목탑
충남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화단지에 재현해 놓은 백제 목탑이다. 능산리사지의 건물터를 기준으로 원래의 사찰과 거의 1:1로 재현해 놓았다. 화강석을 짜맞추어서 만든 기단 위에 5층 건물을 올려 놓았다. 목탑의 높이는 38 m 이다. 원래 것을 그대로 재현해 놓은 것이지는 알 수 없지만, 기존에 출토된 탑이나 남아 있는 석탑, 일본 사찰에 남아 있는 백제의 건축양식을 참조하여 복원하였다, 능산리사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