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비석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보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보물)이다.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에 활동한 대경대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탑비로 양평 보리사 절터에서 발견되어 경북궁으로 옮겨졌다가 현재는 중앙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탑비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거북받침돌과 비몸, 머리돌로 이루어져 있다. 머릿돌에 새겨진 용무늬 장식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매우 힘차게 조각되어 있다. 거북받침돌은 비몸에 비해 작아 약간 불안정해…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보물)

    강원도 원주시 부론명 정산리 거돈사지(사적) 절터에 남아 있는 원공국사탑비(보물)이다. 거북받침돌, 비몸, 머릿돌로 구성된 전형적인 탑비의 형태를 하고 있다. 거북받침돌 머리는 험한 인상의 용의 얼굴을 하고 있다. 등에는 육각형 무늬로 거북등껍질을 표현하고 하고 있는데 그 안에 卍자와 연꽃무늬를 새겼다. 머릿돌에는 구름속에서 두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다투는 모습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거북받침돌은 작고, 머릿돌은 크게 만들어 약간…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보물), 당태종의 글씨를 모아서 새긴 집자비석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흥법사 절터에 남아 있는 진공대사탑비(보물)이다. 절터에는 비석을 받쳤던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고 비몸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다. 거북받침돌은 짧은목에 비늘을 새긴 용의 얼굴을 하고 있으며, 거북 등에는 卍자와 연꽃무늬가 겨져 있다. 머릿돌에는 구름무늬속에 얽혀있는 두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으며, 중앙에는 전서체로 ‘진공대사’라고 적혀 있다. 조각수법이 세밀하면서 빼어난 작품으로 통일신라 탑비에 비해 발전된 모습을…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보물), 웅장한 표현이 돋보이는 거북받침돌

    경기도 여주시 북내면 고달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원종대사 탑비(보물)이다. 고려초 활동했던 원종대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원진 탑비이다. 절터에는 글자가 기록된 비몸은 없고 거북받침돌과 머릿돌만 남아 있다. 거북받침돌의 머리는 눈을 부릅뜨고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험상궂으며, 땅을 딛고 일어서려는 다리와 땅을 누르는 발톱 등 사실적이며 생동감이 넘치는 표현이 돋보인다. 머릿돌에는 구름과 용무늬를 생동감있게 조각해 놓았다. 통일신라 조각…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보물)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 경내에 있는 보조선사탑비(보물)이다. 통일신라 승려 체징의 업적을 기리는 내용을 적은 비석으로 보조선사탑(보물) 아래에 세워져 있다. 비석은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인데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거북받침돌 머리는 용의 얼굴을 하고 있는데 생동감있게 표현하고 있다. 머릿돌에는 구름과 연꽃을 새겼다. 몸돌에는 보조선사의 업적아 적혀 있다. 승려 체징(體澄, 804∼880년)은 통일신라 말 선종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보물)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태고사에 있는 원증국사탑비(보물)이다. 승탑과는 달리 대웅전 뒷편에 세워져 있다.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과 머리돌을 세운 전형적인 탑비의 형태를 하고 있다. 통일신라나 고려초에 조성된 다른 비석과는 거북받침돌과 머릿돌의 표현이 사실적이지 않고 조각수법도 많은 떨어진다. 고려말 불교에 큰 영향력을 미쳤던 원증국사의 탑비라는 점과 당대 문장가이자 유학자인 이색이 글을 짓고, 명필이었던 권주가 글씨를 썼기때문에 높은 평가를…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보물)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사 경내에 있는 징효대사탑비(보물)이다. 통일신라말 선종 구산선문 중 한곳인 흥녕사를 크게 발전시킨 징효대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탑비이다. 거북받침돌에 비몸을 올려놓고 그 위에 머릿돌을 얹은 전형적인 당나라 비석 양식을 하고 있다. 거북받침돌의 머리는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발을 사실적으로 섬세하고 조각하고 있다. 반면에 거북등에 새겨진 껍질은 형식적인 면을 보여주고…

  • 중국 베이징 명십삼릉 정릉, 만력제 신도비로 보이는 비석

    베이징 명십삼릉 정릉(Dingling, 定陵) 입구 광장에 세워져 있는 비석이다. 명나라 13대 신종 만력제의 신도비로 보이는 비석으로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올려놓은 전형적인 당나라 비석 양식을 하고 있다. 화강석을 많이 사용하는 우리나라 비석과는 달리 대리석을 조각해 만들었다. 거북받침돌에 비해 글자를 새겨놓은 비몸이 상대적으로 크고 웅장하게 만들었다. 중국 비석의 특징인 것으로 보인다. 거북받침돌은 크고 웅장하기는 하지만 형식적이고 정형화된…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보물)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칠장사 경내에 있는 혜소국사비(보물)이다. 고려시대 승려 혜소국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서 세운 비석이다. 현재 받침돌인 귀부와 몸돌, 머릿돌이 따로 떨어져 있는 상태로 있다. 혜소국사의 행적이 새겨진 몸돌은 흑대리석으로 만들었으며, 옆면에는 길게 두마리의 용을 새겨놓고 있다. 비몸 일부가 파손되기는 했지만 글씨가 선명하게 남아 있다. 고려 문종 14년(1060)에 혜소국사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