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고택

  • 영주 무섬마을 김위진 가옥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에 있는 김위진 가옥이다. 19세기 말에 지어진 한옥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경북 북북지방 양반가옥의 평면배치를 하고 있다. 앞면 5칸, 옆면 5칸반의 비교적 큰 규모의 한옥이다. 사랑채는 앞면에 툇마루를 설치하고 난간이 있는 구한말 누마루 형식을 하고 있는데 안채에 비해 크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당시 유행했던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마굿간이…

  • 영주 무섬마을 박천립가옥, 서민들이 살았던 작은 까치구멍집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에 있는 박천립가옥이다.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이 집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작은 까치구멍집이다. 앞쪽에는 사랑방.봉당.부엌이 있고 뒷편에 윗방.마루.안방이 있다. 건물 앞면과 옆면에 출입문을 두어 개방인인 면을 보여주고 있다. 까치구멍집은 지붕 용마루 양쪽에 까치둥지처럼 둥근 구멍이 있는 작은 집을 말한다. ‘ㅁ’자형 한옥처럼 가운데 작은 안마당이 있는 구조로 맹수의 침입을 막을 수…

  • 영주 무섬마을 만죽재고택, 반남 박씨 입향조가 살았던 종택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에 있는 만죽재고택이다. 반남 박씨 입향조인 박수가 17세기에 마을로 이사오면서 처음 자리잡은 종택을 마을 중심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전형적인 경북 북부지방 양반가옥의 평면배치를 하고 있는데, 앞쪽에 사랑채는 난간이 있는 2층 누각처럼 지었다. 웅장하지는 않지만 종택답게 간결하면서도 격식을 갖추고 있는 고택이다. 영주 무섬마을은 17세기 중엽이후…

  • 영주 무섬마을 해우당 고택

    경북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에 있는 해우당고택이다. 이 가옥은 마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저택으로 마을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구한말에 지어졌는데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평면구조를 하고 있다. 사랑채는 지반을 기둥을 높게 세우고 툇마루에 난간을 둘러 누마루처럼 꾸몄다. 마당 한쪽에는 작은 규모의 작은사랑채를 두고 있다. 사랑채에는 흥선대원군이 친필로 쓴 ‘해우당’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영주 무섬마을은 17세기 중엽이후…

  • 영주 화기리 인동장씨 종택, 조선초 공신 장말손 후손들이 사는 고택

    경북 영주시 장수면 화기리에 있는 인동장씨 종택이다. 조선초 세조때 공신 장말손의 후손들이 살고 있는 고택이다. 건물은 16세기 중엽에 처음 지어졌으며, 안채와 사랑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는 앞면 4칸 규모의 건물로 난간이 있는 2층 누각처럼 지어졌다. 뒷편에는 위패를 모시는 사당을 두고 있다. 장말손초상(보물)를 비롯하여 보물로 지정된 여러점의 문화재가 고택 유물각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초 공신 장말손 후손들이…

  • 원주 김두한 가옥, 조상 묘 관리를 위해 지어진 가옥

    강원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에 있는 ‘김두한 가옥’ 이다. 260여년전 원주 목사를 지낸 김탄행의 묘를 관리하기 위해 지은 집이다. ‘ㄱ’자형으로 된 안채와 사랑채, 문간채가 ‘ㄷ’자형을 이루며 마당 옆 곳간채와 함께 전체적을 튼 ‘ㅁ’자형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대문 왼쪽에는 사랑채, 오른쪽에 문간채가 있다. 안채는 넓은 부엌과 대청마루, 3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엌 맞은편에 2개의 방이 있는 작은…

  • 제천 청풍 후산리 고가, 19세기 건축양식이 잘 반영된 한옥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 단지에 있는 청풍 후산리 고가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청풍면 후산리 마을에 있던 가옥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ㄱ’자형 주택으로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 부엌과 안방이, 오른쪽에 사랑방이 배치되어 있다. 사랑방은 방을 높게 만들고 앞과 옆에 넓은 툇마루를 두어 누마루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다. 대청마루 한쪽편에 조상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올리던 감실을 두다.…

  • 제천 청풍 황석리 고가, 양반계층이 살았던 작은 기와집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 단지에 있는 청풍 황석리 고가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청풍면 황석리 마을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양반가옥으로 본채와 작은 문간채로 구성되어 있다. 본채는 앞면 4칸 규모의 ‘-‘자형 건물로 부엌 앞에 창고로 보이는 작은 툇간을 두고 있다. 대청마루를 두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집안행사가 많지 않은 분가한 후손이 살았던…

  • 제천 청풍 도화리 고가, 충북지역 양반 가옥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 단지에 있는 청풍 도화리 고가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청풍면 도화리 마을에 있던 가옥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ㄷ’자형을 건물배치를 하고 있는다. 가운데 3칸을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날개채를 두고 있다. 왼쪽 날개채는 사랑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이며 끝부분에 툇마루가 있는 사랑방이 있다. 반면에 오른쪽 날개채는 온돌방과 부엌으로 되어 있는데, 안채 역할을 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