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검색 결과: “”

  • 공주 정지산유적(사적), 웅진 백제기 제사 유적

    공주시 금성동 송산리고분군이 있는 송산 북쪽 끝자락에 위치한 정지산 유적(사적)이다. 웅진기 백제의 제사시설로 알려져 있는 유적으로 왕성이었던 공산성 서쪽편 금강이 내려다 보이는 나즈막한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정지산 유적을 실제로 찾아가 보면 눈으로 볼 수 있는 건물터나 시설물 등은 없고 백제시대 제사시설이 있었다는 표지석만 홀로 서 있다. 이곳을 찾으면 실제 볼 수 있는 것은 많지 않지만…

  • 공주 송산리고분군 모형전시관

    공주 송산리 고분군(사적) 입구에 위차함 무형전시관이다. 이곳은 웅진기 백제 고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송산리고분군 주요 무덤인 무령왕령과 5호분, 6호분을 모형으로 재현되어 있으며, 주요 출토 유물의 복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공산성 서쪽에 송산(宋山) 중턱에 위치한 무덤들은 웅진기 백제의 왕과 왕족들의 무덤으로 알려져 왔다. 1~7호분은 일제강점기에, 무령왕릉은 1970년대에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현재 고분 내부는 유적의 보존을 위해 폐쇄되어…

  • 공주 송산리고분군(사적), 웅진기 백제 왕족들의 무덤

    공주시 금성동에 위치한 송산리고분군(사적)이다. 웅진기 백제를 대표하는 무령왕을 비롯하여 백제 왕과 왕족들이 무덤으로 추정하고 있는 고분군이다. 이 곳에는 무녕왕릉을 포함하여 십여기의 무덤이 햇빛이 잘드는 나즈막한 구릉에 남쪽을 향해 줄지어 있다. 현재까지 확인되고 있는 고분은 벽돌무덤인 무령왕릉과 6호분, 백제 굴식돌방무덤 십여기가 있다. 무령왕릉을 제외하고는 일제강점기인 1920~1930년대에 발굴조사까지 이루어졌다. 대부분 유물들이 도굴되었기 때문에 무덤 주인이 누구인지 확인되지…

  • [공주박물관 야외전시실] 석조불상을 비롯한 유물들

    공주박물관 야외에는 공주 지역에서 출토된 석조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공주에는 삼국시대 백제 성왕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대통사와 석조불상이 남아 있는 서혈사를 비롯하여 많은 사찰들이 있었다고 한다. 이들 지역에서 출토된 불상, 석탑, 석조 등 불교 유물들이 박물관 입구에 전시되어 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보물148호, 149호로 지정된 대통사 절터에서 출토된 삼국시대 석조를 비롯하여 서혈사 절터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석조불상과 통일신라시대 석탑 등이…

  •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국보)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에 위치한 마애삼존불입상(국보)이다. 이 불상은 마애불상 중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사각형의 감실안에 보살상이 가운데 있고, 양쪽에 여래상이 있는 특이한 배치를 하고 있는 삼존불상이다. 오른쪽에는 약사여래, 왼쪽에는 석가여래, 가운데에 작은 크기의 관음상이 새겨져 있다. 불상 아래쪽에는 백제시대 연화대좌가 확인되어 그 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다. 불상의 얼굴은 상당부분 훼손되어 확인이 잘 되고 있지는…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백제와 충남지역 불교 문화

    백제의 불교는 침류왕 때(384년) 인도 승려 마라난타가 중국 동진(東晉)으로부터 들여왔다. 백제의 지배층이 사회통합차원에서 국가적으로 불교를 적극 수용하게 된 것은 고구려의 압박을 받아 공주로 도읍을 옮긴 웅진백제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성왕은 남조의 양나라로부터 불교 경전을 받고 기술자를 초빙하여 각처에 사찰을 세우고 등 불교를 크게 발전시켰다. 또한 태안과 서산의 삼존불상 등을 볼 때 중국 산동지방 불교의 영향도…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공산성, 웅진기 백제의 왕성

    공산성은 백제가 고구려의 압박에 밀려 공주로 도읍을 옮겼던 웅진백제기 왕성 역할을 했던 산성이다. 서울의 풍납토성과 마찬가지로 강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나즈막한 구릉이 둘러싸고 있어 작은 계곡을 이루고 있는 형태이다. 원래는 백제의 다른 성곽처럼 흙으로 쌓은 토성이었으나 조선후기에 석축성으로 고쳤다고 한다. 웅진기 백제의 왕성이었던 공산성 내에는 백제의 왕궁터를 비롯하여 여러 건물터 등이 남아 있으며, 연꽃무늬 기와를 비롯하여…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백제의 웅진 천도

    웅진기는 한강유역에서 고구려의 남하정책에 밀려서 도읍을 웅진으로 옮긴 시기는 약 70년(475~538) 정도이다. 백제는 고구려의 압력으로 웅진으로 천도를 했지만 지방세력의 협조하에 비교적 빠른 기간내에 새로운 왕도를 건설하였다. 웅진기 왕성은 금강과 맞닿아 있는 공산성을 중심에 배치하여 군사적 기능이 중시되었다. 이 시기 백제는 신라와 혼인을 통해 동맹을 강화하고 중국 및 일본열도와의 관계도 강화하였다. 국가가 안정을 되찾은 무령왕대에는 중국…

  • [공주박물관 선사고대문화실] 마한에서 백제로

    마한연맹체는 천안지역의 목지국이 중심이었다가 고구려에서 남하한 세력과 토착세력이 연합한 한강유역의 백제가 중심이 되었다. 4세기 중후반경에는 마한지역 대부분이 백제에 완전 복속하게 되었으며 지방세력들은 백제의 귀족으로 그 세력을 유지하였다. 이 시기 한성백제에서 지방귀족세력에 협력의 표시로 보내준 금동관모, 중국에서 수입한 도자기 등이 서산 부장리, 공주 수촌리 등 다양한 지역 지배세력의 무덤에서 출토되고 있다. 공주박물관에서는 한성백제기 지방세력과 중앙과의 관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