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궁궐
-
창경궁 치조, 편전인 문정전과 숭문당, 함인정
창경궁은 왕실 어른들과 후궁들을 비롯한 왕실 가족들이 거처할 목적으로 세운 이궁(離宮)으로 임진왜란 전까지는 국왕이 머물거나 업무를 보는 공간이 아니었다. 임진왜란 이후 경복궁을 중건하지 않고 창덕궁이 법궁 역할을 하면서 이를 보조하는 궁궐로서 역할을 갖게 되었다. 창경궁도 다른 궁궐과 마찬가지로 정전인 명정전과 편전인 문정전을 두고 있다. 문정전은 편전으로 창덕궁 선정전과 비슷한 규모를 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많이 사용하지…
-
창경궁 치조, 정전인 명정전(국보)와 조정
창경궁 명정전(국보)은 현존하는 궁궐 전각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명정전은 성종대(1484년)에 처음 지어졌으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광해군대(1616년)에 중건한 것이다. 건물은 궁궐 정전으로 2층 월대 위에 세워졌다. 월대 중앙에는 돌계단을 두고 있으며, 돌계단 답도에는 봉황이 새겨진 소맷돌과 석수를 배치해 놓고 있다. 경복궁 근정전과는 달리 월대에 돌난간을 비롯한 장식은 많지 않은 편이다. 건물 규모는 앞면 5칸에…
-
창경궁 외조, 홍화문(보물)과 명정문(보물)
동쪽을 향하고 있는 창경궁 정문인 홍화문을 들어서면, 창덕궁 후원 연못들과 춘당지를 거쳐서 흐르는 금천이 있고, 금천을 건너는 돌다리인 옥천교가 제일 먼저 보인다. 창경궁에서는 홍화문과 정전 출입문인 명정문 사이를 외조(外朝)라고 할 수 있으며 외행각으로 둘러져 있다. 외조는 국왕의 즉위식이 치러지는 장소이며, 정전에서 국가적인 행사를 치룰때 하급관리들이 대기하는 장소이다. 창경궁은 법궁이 아니었기때문에 외행각에는 주요 관청들이 들어서 있지…
-
창덕궁 후원 연경당(보물), 효명세자가 아버지 순조를 위해 사대부 저택처럼 지은 공간
창덕궁 후원 2번째 공간인 애련지 일원에 위치한 연경당(보물)은 낙선재와 함께 궁궐 건물 형식을 취하지 않고 사대부 저택처럼 지어진 건물이다. 궁궐생활에 탈피하여 조용한 숲속에서 사대부 저택처럼 집을 짓고 휴식을 취하고 싶은 구한말 국왕들의 취향을 볼 수 있는 곳이다. 특히, 국왕에 즉위하기 전 어린 시절을 사가(私家)에서 보냈던 고종은 궁궐보다는 사대부 저택을 선호하여 이곳 연경당을 애호했으며, 경복궁에도 후원에…
-
창덕궁 후원, 옥류천일원
창덕궁 후원 깊은 곳에 위치한 옥류천 일원이다. 이곳은 옥류천 물길을 널찍한 바위인 소요암 위를 흐르게 만든 어정(御井)을 중심으로 작은 정자들인 소요정, 취한정, 태극정, 청의정, 농산정이 모여 있다. 이들 정자들은 농산정을 제외하고는 국왕이 비를 피하거나 잠시 쉬어갈 수 있는 1~3칸규모의 작은 정자이다. 옥류천 일대 정자들은 대부분 인조대에 지어진 것으로 기록에 남아 있으며, 옥류천(玉流川)일 적힌 선조의 글씨가…
-
창덕궁 후원, 존덕정과 폄우사
창덕궁 후원 3번째 공간은 한반도 모양을 하고 있는 연못인 반도지(半島池)를 중심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영화당과 규장각 주합루가 있는 부용정 부근이 공적인 성격이 강하다면, 연못 주위에 작은 정자들이 있는 반도지 일대는 국왕 개인을 위한 사적인 공간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반도지는 원래 둥근 연못 1곳과 작은 네모꼴 연못 2개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변형되었다고 한다.…
-
창덕궁 후원, 애련지와 의두합
창덕궁 후원 두번째 공간은 숙종대에 조성한 작은 연못인 애련지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공간이다.애련지는 일반적인 연못과는 달리 가운데 섬이 없는 네모난 연못으로 사방에 장대석으로 축대를 쌓았으며, 한쪽편에는 숙종대에 조성된 앞면1칸짜리 정자인 애련정이 있다. 이 공간은 주로 순조의 아들로 정조를 본받아 개혁정치를 꿈구다 어린나이에 요절한 효명세자의 손길이 많이 남아 있는 공간이다. <애련지(愛蓮池)> 창덕궁 후원 첫번째 공간으로 공식 행사가…
-
창덕궁 후원, 부용지와 주합루 그리고 영화당
창덕궁 후원은 자연 지세에 맞게 지어진 가장 한국적인 궁궐로서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창덕궁 후원은 인공적인 면이 많은 경복궁 경회로 연못이나 중국과 일본의 정원과는 달리 자연친화적인 조경을 보여 주고 가장 한국적인 정원이다. 지금은 창덕궁 정전과 국왕이 집무를 보고 가족이 생활하던 편전과 침전, 동궁을 지나서 후원으로 들어갈 수 있어 한때는 ‘비원(秘苑)’이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실제로는 동궐내에서 일반인들의…
-
창덕궁 선원전(보물) 일원, 역대국왕의 어진을 모신 전각
창덕궁 선원전(보물)는 역대 국왕의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로 정전인 인정전 서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선원전은 임진왜란을 경복궁 선원전이 불타버린 후 숙종대에 역대 국왕의 어진을 모시기 위해 창덕궁 궐내각사 뒷편에 세웠다. 원래는 태조, 세조, 원종을 모셨던 것을 후에 숙종.영조.정조.순조.익종.헌종, 철종, 고종의 어진이 봉안되면서 11실로 구성되었다. 건물은 앞면9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데, 종묘 정전이나 일반적인 사당과 달리 판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