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2023년 10월 13일
-
의성 관덕동 석사자(보물), 2013년
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의성 관덕동 석사자(보물)이다. 의성 관덕리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 기단 모서리에 올려져 있는 석상이다. 암수 1마리씩 두쌍이 있었는데 현재는 1쌍만 남아 있다. 조각수법을 알볼 수 없을 정도로 심하게 닳아 있다. 암사는 앞발을 곧게 세우고 뒷발을 구부린채 앉아 있는데 그 아래 새끼 사자가 젖을 빨고 있다. 삼층석탑이 조성되었던 9세기 작품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이 잘…
-
백자 상감모란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백자 상감모란문 매병'(보물)”이다. 고려시대에 만든 백자 중 문화재로 지정된 흔치 않은 문화재이다. 두툼한 아가리를 하고 있으며, 팽배한 어깨부분에서 아래로 내려가면서 급격 줄어든다. 몸체는 참외모양으로 6등분하였다. 각면에는 마름모 모양의 선을 상감기법으로 처리하고 그안에 청자 태토로 메우고 붉은색 자토와 흰색백토로 모란, 갈대, 버드나무 등을 상감하였다. 몸체의 기형은 중국 북송의 영향을 받았으며 볼륨감있는 고려 청자…
-
청자 어룡형 주전자(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어룡형 주전자'(국보)이다.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상형청자 주전자이다. 용의 머리와 물고기 몸을 가진 동물 모양을 하고 있다. 물을 따르는 부리는 용머리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얼굴의 털이나 지느러미 등을 매우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몸체에는 비늘이 양각되어 있으며, 앞.뒤로 갈퀴모양의 옆 지느러미가 표현되어 있다. 상상의 동물을 표현한 상형청자로 세밀한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청자 어룡모양 주자,…
-
청자 구룡형 주전자(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청자 구룡형 주전자'(국보)이다. 청자로 만들어진 이 주전자는 고려청자 전성기인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연꽃위에 앉아 있는 거북 형상을 하고 있는데 물을 넣는 수구(水口), 물을 따르는 부리, 몸통,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비석받침돌에 사용되었던 거북과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다. 얼굴은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데, 뿔과 수염, 비늘 등을 정교하게 새겨놓고 있다. 유약은 회청색으로 은은한 윤기가 흐른다.…
-
청자 인물형 주전자(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청자 인물형 주전자'(국보)이다. 머리에 관을 쓰고 복숭아를 담은 바구니를 받쳐 든 인물을 표현한 상형청자이다. 높이는 28.0cm, 밑지름은 11.6cm인 주전자이다. 모자 앞부분에 구멍을 뚫어 물을 넣을 수 있게 했으며 복숭아 앞에 있는 구멍으로 물을 따를 수 있다. 등뒤에는 손잡이를 붙여놓았다. 맑고 광택이 나는 녹색 청자 유약을 두껍게 발랐다. 도교의 도사나 선인을 표현한 것으로…
-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국보)이다.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향로이다. 사자모양의 뚜껑과 향을 피우는 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은 대좌에 앉은 사자 형상을 하고 있는데 사자는 입을 벌린 채 한쪽 무릎을 구부린채로 앞을 보고 있는 자세를 하고 있다. 향 연기가 사자입으로 내뿜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몸체는 3개의 짐승모양 다리가 떠받치고 있다. 고려에서 만들어진 사자모양 향로는 매우…
-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보물).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죽순모양으로 만든 상형청자이다. 조형미, 장식, 유색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걸작이다. 죽순을 형상화한 독창적인 소재와 우아한 조형미가 특징이다. 대나무 모양으로 표현된 주구(注口)는 사실적이면서도 창의적이다. 청자 죽순모양 주자, 고려 12세기, 경기도 개성 출토, 보물 대나무의 새싺인 죽순모양으로 만든 상형청자이다. 조형과 장식, 유색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다. 몸체의 알맞은 비례로…
-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보물)이다.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붓을 꽂아 보관하는 붓꽂이이다. 몸체에 양끝을 장식하고 있는 용머리가 인상적이다. 상형(像型)과 투각(透刻) 기법이 같이 사용되어 밀도 있게 표현되었다. 요삼채(還三彩)에 유사한 형태의 붓꽂이가 알려져 있다. 동물이나 식물을 표현한 상형청자가 만들어졌던 12~13세기 고려청자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다. 고려시대 청자로 만든 문방구 중 붓꽂이는 많이 남아 있지 않으며, 제작수법과 조형미가…
-
청자 구룡형 주전자(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구룡형 주자'(보물)이다.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주전자이다. 연꽃 위에 거북이가 앉아 있는 모양을 하고 있다.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 얼굴은 실감나게 표현하고 있으며, 등 위에 붙어 있는 잎은 연잎모양을, 손잡이는 연줄기 형상을 하고 있다. 거북등 무늬 안에는 ‘王’자를 넣어 두고 있다. 동물모양을 형상화한 상형청자로 전체적으로 비례가 적정하며 안정감을 주고 있다. 청자 귀룡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