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석탑

  • 익산 미륵사지 석탑(국보), 목탑을 모방해서 만든 백제 석탑

    전북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미륵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석탑(국보)이다. 일부가 무너져 일제강점기에 시멘트로 보강하여 반쪽만 남아 있던 것으로 2000년대 이후 해체.수리가 진행중이다. 해체되기 이전에 6층까지 남아 있었는데 높이 14.24 m로 현존하는 석탑 중 가장 큰 규모이다. 또한 미륵사가 창건되었던 7세기 백제 무왕 때 이 석탑도 같이 세워졌던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오래된 석탑이기도 하다. 목탑을 충실하게…

  • 충추 탑평리칠층석탑(국보), 중앙탑이라 불린 통일신라 석탑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남한강변 공원에 자리잡고 있는 칠층석탑(국보)이다. 한반도의 중앙에 있다고 ‘중앙탑’으로도 불리며, 중부지방에서는 흔치 않은 통일신라 석탑이다.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기단부는 높은 탑신을 받치기 위해 넓게 만들었으며 각면에는 여러개의 기둥모양을 새겨두고 있다. 탑신부에는 몸돌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긴 것 외에는 특별한 장식을 두지 않고 있다. 불국사 삼층석탑처럼 장식이…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 백탑이라 불렸던 대리석으로 만든 조선시대 석탑

    서울 종로구 종로2가 탑골공원에 남아 있는 원각사지 십층석탑(국보)이다. 조선왕조가 한양에 도읍을 정한 이래 오랜 세월 도성 한가운데 우뚝 솟아 있던 석탑으로 지금은 유리보호각 속에 있다. 대리석으로 만든 높이 12m 정도 석탑으로 하얀색의 외관떄문에 백탑이라고도 불렸다. 기단부는 3단으로 되어 있으며 亞자 형태를 하고 있다. 기단에는 여러가지 용, 사자, 연꽃무늬를 비롯하여 다양한 장식을 조각해 놓고 있다. 탑신은…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보물), 고려시대 팔각석탑을 계승한 조선초기 석탑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운길산 수종사에 있는 오층석탑(보물)이다. 조선전기에 조성된 석탑으로 중국의 영향을 받은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을 축소한 형태를 하고 있다. 탑의 기단부는 연꽃무늬가 새겨진 불상 대좌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다. 탑신은 팔각모서리에 기둥을 새겨놓은 것 외 특별한 장식은 없다. 조각수법은 세밀하거나 정교하지 않으며, 장식적인 용도로 바뀐 조선전기 석탑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원래 수종사 동쪽…

  • 양양 낙산사 칠층석탑(보물), 고려석탑 양식이 남아 있는 조선초기 다층석탑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전진리 낙산사에 있는 칠층석탑(보물)이다. 낙산사를 창건한 통일신라 때 삼층석탑을 조선초 세조가 중건하면서 칠층석탑으로 만들었다. 중국의 영향을 받은 고려 석탑 양식이 적용된 석탑이다. 기단부는 정사각형으로 지대석이 놓여 있는데 윗면에 겹연꽃 무늬를 장식하고 있으며, 탑신부는 조선시대 다층석탑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상륜부에는 청동 복발.보륜 등을 장식하고 있다. 상륜부 형식은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라마탑과 닮은 장식들의…

  • 여주 신륵사 삼층석탑, 남한강변 바위에 올려진 작은 석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남한강변 바위에 단층기단과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탑으로서 종교적인 의미를 가지기 보다는 남한강을 오가는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장식적인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형적인 고려 석탑으로 크기도 작고, 모서리에 기둥모양을 새긴것 외에는 장식을 거의 하지 않았다. 크기는 작지만 남한강을 배경으로 바위에 올려진 작은 이 탑은 신륵사를…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대리석으로 만든 화려했던 석탑

    경기도 여주시 천송동 신륵사에 있는 다층석탑(보물)이다. 주불전인 극락보전 앞 마당에 세워져 있는 높이 3m의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다층석탑이다. 통일신라 석탑이나 고려시대 경천사지 석탑 등에 비하면 아담해 보인다. 중국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도교풍의 장식이 많은 경천사지 석탑의 특징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세종대왕 영릉의 원찰 역할을 부여받으면서 불전들을 새로 지었던 성종 때 같이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서울 탑골공원에…

  •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부조가 새겨진 통일신라 삼층석탑

    강원도 양양군 경현면 둔전리 진전사(陳田寺)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국보)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전형적인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외형을 하고 있다. 탑의 기단부 2층 몸돌에는 팔부중상을 탑신 1층 몸돌에는 여래좌상을 새겨놓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적으로 기단부와 탑신의 비례가 안정감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면에 새겨진 조각상들의 조각수법이 세련되게 잘 만들어졌다. 기단과 탑신 몸돌에 부조상이…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보물)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봉암사 경내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옛 주불전인 금색전 앞 마당에 자리잡고 있다.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것으로 기단부가 1층으로 되어 있는 지역적인 특성을 보여주는 석탑이다. 상륜부 머리장식이 온전히 남아 있어 동시대 석탑의 기준이 된다고 한다. 단층 기단이기는 하지만 기단과 탑신의 비례에서 보여주는 조형미와 조각수법이 뛰어난 석탑이다. 김천 직지사로 옮겨진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