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보물
-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白磁 靑畵雲龍文 立壺, 보물)”이다. 청화안료로 장식한 높이 35.5cm 백자 항아리이다. 아가리부터 어깨로 서서히 팽창되었다가 서서히 좁아져, 밑둥부분에서 살짝 벌이진 형태를 하고 있다. 몽통 3면에 구름속에 용이 노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유약이 잘 녹아 투명하고 광택이 있다. 18세기 후반 경기도 광주 분원리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다른…
-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보물), 2023년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 (白磁 靑畵鐵畵三山雷文 山罍, 보물)”이다. 조선중기에 ‘산뢰(山罍)’라는 제기로 만들어진 백자이다. 높이 27.8m 의 큰 크기이다. 안쪽으로 들어간 아가리부분과 양감있게 벌어진 어깨, 아래로 내려가면소 좁아지는 형태는 전형적인 초기 항아리 모습을 하고 있다. 아가리와 어깨의 경계지점에 활모양의 귀가 달려 있고, 그 귀에 둥근 고리가 있어 제기인 산뢰를 본떠서 만들었음을…
-
백자 청화화조문 팔각통형 병(보물)
서울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화조문 팔각통형 병 (白磁 靑畵花鳥文 八角筒形 甁, 보물)”이다. 팔각으로 모깎이를 한 몸체 앞뒤션에 청화안료로 화조문을 크게 그렸다. 석류나무 위에 새가 앉아 있는 구도이다. 몸체 위에는 나팔 모양으로 생긴 아가리와 좁고 길쭉한 원통형의 목이 있다. 형태나 제작기법 등으로 볼 때 18세기 후반 경기도 광주 관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백자 철화끈무늬 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백자 철화끈무늬 병'(보물)이다. 조선중기인 15~16세기에 만들어진 술병으로 검은색 안료를 사용하여 줄무늬를 그려 놓은 철화백자이다. 목은 잘록하며 가늘고, 몸통은 서서히 넓어져 아랫부분이 볼록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여자의 날씬한 몸매를 연상시키는 곡선미가 있다. 몸통에는 마치 넥타이를 매고 있는듯한 모습으로 끈을 그려 놓고 있다. 마치 휴대하기 편하도록 끈을 매달아 놓고 있다는 착각을 하게하는 그림이다. 현대미술같은…
-
백자 달항아리(2005-1, 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달항아리’, (2005-1,보물)이다. 달항아리는 흰 바탕색과 둥근 형태가 보름달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장식이 없는 순수한 백색의 순백자(純白磁)로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선호했던 정서를 잘 표현하고 있는 작품이다. 높이에 비해 몸통이 벌져 보이고, 입지름보다 굽지름이 작지만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유약의 두께는 얇지만 태토에 완전하게 융착되었으며 황갈색을 아주 엷게 띠고 있다. 18세기 경기도 광주…
-
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분청사기 상감어문 매병'(보물)이다. 매병 전체에 인화무늬를 촘촘하게 넣었다. 높이 30cm의 매병으로 고려청자 매병 형태를 따르고 있지만 흰흙으로 꾸며진 부분이 많아 청자에서 분청사기로 바뀌는 과도기적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문양이 복잡하고 변형된 구름, 연꽃무늬 등 분청사기에서 볼 수 있는 문양들이 주로 사용되었다. 몸통의 4면에는 동심원을 그리고 그 안에 2마리의 물고기가 있는 ‘쌍어문(雙魚紋)’을 표현하고…
-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흑백상감기법으로 앞.뒷면 매와와 대나무를 큼직하게 배치고 그 사이 새와 학, 풀을 표현하고 있다. 붓으로 그린듯한 회화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매화.대나무.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서정적이고 우아한 분위기가 돋보인다. 여유로운 공간…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크기는 작은편이지만 각부분의 비례가 적절하고 안정적인 조형미가 돋보인다. 간결한 흑백상강기법으로 구름 사이로 나르는 학을 표현하고 이다. 고려시대 12~13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유려한 곡선미와 비색 하늘을 배경으로 무늬들이 베풀어졌다. 고려청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