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고택

  • 안성 오정방 고택, 해주오씨 세거지 양성 덕봉리마을에 남아 있는 고택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마을에 소재한 정무공 오정방 고택이다. 이 고택은 한옥 중에서는 그 연대가 오래된 중종 5년(1510)에 처음 세워졌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650(효종1)에 옮겨진 것으로, 실제로 이때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ㄱ’자형 안채 겸 사랑채와 사당, 문간채가 남아 있으며, 외곽에 행랑채가 있었다.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편이며, 창덕궁 후원에 연경당처럼 사랑채와 안채가 한건물이면서 담장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 강화 철종 외가, 구한말 사대부 저택

    강화군 선원면에 위치한 철종 외가이다. 구한말 경기지역 사대부 저택 형식을 따르고 있는 이 저택은 안채와 사랑채를 좌우에 나란히 배치히고 담장으로 그 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이는 순조의 아들인 효명세자가 아버지인 순조를 위해 창덕궁 후원에 지은 연경당과 비슷하다. 원래는 ‘H’형 구조를 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가운데 행랑채 일부가 헐려 ‘ㄷ’자형을 하고 있다.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아 폐가처럼 보이지만,…

  • 남양주 여유당(與猶堂), 팔당호에 자리잡은 다산 정약용이 살았던 집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 정약용선생 유적지에 있는 고택인 여유당(與猶堂)이다. 건물은 ‘ㄱ’자 형 안채와 대문과 행랑채와 붙어 있는 ‘ㄱ’자형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ㅁ’자형을 이루고 있지만 안채와 사랑채가 붙어 있지 않고 안마당을 넓게 쓰는 중부 지방의 전형적인 양반 가옥의 모습을 하고 있다. 건물 자체는 화려하지 않으면서 단정한 느낌을 주고 있다. 원래는 마을입구에 있었는데 1925년 을축년 대홍수때 홍수로…

  • 양평 이항로 생가, 벽계구곡 경치좋은 곳에 자리잡은 저택

    양평군 서종면에 위치한 이항로 생가이다.  북한강과 가까운 명승지인 벽계구곡 깊은 계곡에 자리잡은 별장같은 저택으로 이항로가 벽계강당이라는 서당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던 곳이다. 집은 지은지 250여년된 양반가옥으로 안채, 사랑채, 헛간채로 되어 있다. 살림집으로 사용하는 안채는 ‘ㄱ’자형, 바깥주인이 거처하면서 손님들을 접견하는 사랑채는 ‘ㄷ’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헛간채와 함께 전체적으로는 ‘ㅁ’자형으로 이루어졌다. 배산임수를 고려하여 화야산(해발755m)을 등지고 벽계천을 바라보는 남서향을 하고…

  • 광명 오리 이원익 종택, 충현서원터에 남아 있는 고택

    광명시 소하동에 있는 오리 이원익 종택이다. 종택은 오리 이원익의 영정을 모셨던 정자인 관감당과 살림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들은 조선시대 지어진 전통한옥은 아니고 일제강점기에 지어졌다. 관감당은 전통 한옥의 사랑채나 정자의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으나 살림집인 안채는 서울지역 개량한옥과 비슷하다. 살림집은 ‘ㄱ’자형의 안채와 ‘ㄱ’형의 문간채로 이루어졌으며, 중정형태의 안마당을 두고 있는 ‘ㅁ’형 건물 배치를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조선시대 전통한옥이라기…

  • 의정부 서계 박세당 고택 사랑채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수락산 등산로 입구에 있는 조선후기 대표적인 중농주의 실학자인 서계 박세당이 살았던 고택이다. 건물은 서쪽을 향하고 있는데 수락산을 등지고 도봉산 봉우리를 바라보고 있다. 주변 경치가 상당히 수려하고, 수락산 계곡 맑은 물이 흘러내리는 곳이다. 사랑채는 앞면 5칸, 옆면 2칸의 비교적 큰 규모의 건물이며, 조선후기에 유행했던 누마루가 사랑채 끝에 붙어 있다. 원래는 안채, 안사랑, 바깥사랑,…

  • 서울 부암동 석파정(石坡亭) 별당, 구한말 중국의 영향을 받아 벽돌로 지은 별당건물

    흥선대원군 별장이었던 석파정 건물 중 세검정 삼거리로 옮겨지 중국풍의 별당 건물이다. 건물은 가운데 대청마루가 있고, 양쪽에 온돌방이 있는 ‘ㄱ’자형 건물로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정면의 툇마루에 설치된 난간을 설치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보여준다. 앞면 4칸 규모의 작은 건물로 한옥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외벽은 구운벽돌로 쌓았으며, 벽 중앙에 원형과 반원형의 창을 내었다. 이는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중국풍 건축의 특징이다.…

  • 서울 부암동 석파정(石坡亭), 흥선대원군이 인왕산 계곡에 세웠던 별장

    인왕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흥선대원군 별장이었던 석파정(石坡亭)이다. 정자로 지어진 별장 건물이지만 사랑채, 안채, 별채, 정자 등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살림집이다. 건물은 구한말 한옥에서 볼 수 있는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국 건축의 영향을 받아 벽돌을 여러곳에 사용하고 있다. 특히 홍지문부근으로 옮겨진 중국풍의 별채와 계곡에 자리잡고 있는 작은 정자는 기존 한옥과는 달리 벽돌, 금속 등의 건축자재를 이용하여…

  • 서울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제기동에 있던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이다. 1900년대 초에 지어진 한옥으로 안채와 사랑채가 등지고 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건물 뒷편에 사당이 있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한건물로 이어저 ‘-‘자형을 이루고 그 앞에 행랑채가 연결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왼쪽은 여자들이 생활공간인 안채, 오른쪽은 남자들의 공간인 사랑채 영역이다. 중앙에는 가운데 마당과 대청으로 통하는 문이 있다. 이 가옥은 전통 한옥에서는 찾아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