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불상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신체의 표현이 특징인 통일신라 불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경주 남산 용장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3층으로 된 크고 높은 대좌에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머리는 없어졌으며 손과 몸체의 일부가 남아 있다. 이 불상은 다른 불상과는 달리 몸체의 볼륨이 강조되지 않은 현실의 승려가 앉은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신체의 표현 등이 비교적 우수한 편이다. 이 불상에서 보이는 사실적인…
-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불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경주 남산 용장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마애여래좌상(보물)이다. 삼층석탑 아래 조그마한 공간에 바위벽에 돋을새김으로 새겨진 마애불상이다. 얼굴은 원만하게 표현했으며 신체의 균형이 잘 잡혀 있다. 이 불상은 활력있는 형태, 세련된 선의 흐름 등 사실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8세기 통일신라 불상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손꼽힌다. 바위앞 좁은 공간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와 함께 용장사에서 불전이…
-
경주 남산 삼릉곡 제9사지 선각마애불과 선각보살상
남산 정상부에 멀지 않은 바둑바위 부근 삼릉곡 9번째 절터에는 바위에 새겨진 선각마애불이 남아 있고, 아래쪽 상선암에는 이곳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선각보살상이 있다. 선각마애불은 바위에 불상을 새겨놓았는데 오랜 세월에 마모가 심하여 그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다. 상선암에 옮겨 놓은 선각보살상은 상당히 큰 불상으로 지금은 하반신만 남아 있는데 옷주름 등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절터가 있는 바둑바위 부근은 남산에서도…
-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석조약사여래좌상과 마애선각여래좌상
경주 남산 삼릉곡 6번째 절터 뒷편 큰 바위에는 얼굴부분만 선각으로 새겨진 마애불상과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석조약사여래좌상이 있다. 석조약사여래좌상은 석가여래가 도를 깨닫는 순간을 표현한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약사여래의 모습을 하고 있다. 약사여래는 질병을 고쳐주는 부처로 둥근 약단지를 들고 있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광배에는 불상과 꽃무늬, 불꽃무늬로 화려하게 장식고 있으며 대좌에는 향로와 공양천인상을 새겨놓고 있다. 신체의…
-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보물)
경주 남산 삼릉계곡 6번째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연꽃대좌 위에 부처가 결가부좌하고 있다. 얼굴은 원만하고 둥글게, 옷주름선은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다. 대좌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는데 연꽃무늬와 안상을 조각해 놓았다. 얼굴부분이 파손이 심했는데 최근에 보수하여 복원해 놓고 있다. 광배 또한 불상에서 떨어져 있던 것을 원래의 위치에 붙여 놓았다. 석굴암 본존불에서 완성된 통일신라 불상의 조각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
경주 남산 삼릉계곡 선각육존불
경주 남산 삼릉계곡에 남아 있는 선각육존불이다. 거대한 바위에 2구의 삼존상을 선으로 조각해 놓고 있다. 오른쪽은 석가여래를 본존으로 한 석가삼존불로 가운데 연꽃대좌에 석가여래가 앉아 있고 양쪽에 보현보살과 문수보살을 표현하고 있다. 왼쪽은 아미타여래를 본존으로 한 삼존불상으로 가운데에는 아미타여래가 연꽃대좌 위에 서 있고 양쪽에 대세지보살과 관음보살이 꽃쟁반을 받쳐들고 있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바위면이 닳아 그…
-
경주 남산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
경주 남산 배리삼릉에 출발하여 계곡에서 2번째로 볼 수 있는 마애관음보살상이다. 돌기둥처럼 생긴 바위에 새겨놓은 불상으로 머리에는 보관을 쓰고 있으며, 정병을 들고 있는 관음보살을 표현하고 있다. 불상 뒷편 기둥모양 바위가 광배역할을 하고 있다. 얼굴과 몸통의 윗부분은 입체감 있게 조각되으나, 아랫부분은 윤곽이 불투명하다, 전체적으로 조각수법이 뛰어난 편은 아니다. 불상의 조성연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통일신라 전성기인 8~9세기에…
-
경주 남산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경주 남산 탑사 탐방코스 중 가장 잘 알려진 배리 삼릉에서 출발하는 삼릉곡에서 첫번째로 보이는 불상이다. 땅속에 묻혀 있던 것을 최근에 발견하여 그 원형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다. 불상은 높이 1.6 m의 상당히 큰 규모이며, 머리가 잘려있는 전형적인 경주 남산 불상의 모습을 하고 있다. 신체나 복식 등의 표현이 섬세하며, 웅장한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때 만들어진…
-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 가장 오래된 신라 석굴사원
경주시 건천읍 송선리 단석산(斷石山, 해발 827 m) 중턱에 있는 신선사 마애불상군(국보)이다. 7세기 초에 조성된 신라에서 가장 오래된 석굴사원이다. 거대한 자연암석이 ‘ㄷ’자형을 이루고 있는 곳으로 인공적으로 지붕을 덮어 석굴사원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굴 내부 바위에는 10구의 부처와 보살상이 새겨져 있다. 본존불인 미륵보살(여래입상)이 북쪽면에 새겨져 있으며, 동쪽에는 관음보살, 남쪽에는 지장보살을 새겨 삼존불을 이루고 있다. 지장보살이 새겨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