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고택
-
서울 삼청동 오위장 김춘영가옥, 구한말 도시화된 환경에 잘 적응한 한옥
서울 북촌(北村)에 해당하는 삼청동에 있었던 오위장 김춘영가옥이다. 이 집은 사랑채, 안채, 문간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규모는 크지 않으면서도 생활하기에 편리하도록 잘 꾸며진 한양의 양반 가옥이다. 이 집은 안채로 들어가는 문간채와, 사랑채로 들어가는 작은 협문을 두고 있다. 지방의 한옥과는 달리 도시에 자리잡고 있어서 2개의 대문이 나란히 있는 것이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 ‘ㄱ’자형으로 꺽인 모습을 하고 있다. 사랑채는…
-
서울 계동 민재무관댁, 북촌여행의 출발이 되는 북촌문화센터
북촌 계동 현대사옥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는 ‘민재무관댁이다. 이 집은 구한말 탁지부의 재무관을 지낸 민형기의 집으로 창덕궁 후원의 연경당을 본떠 대궐목수를 지낸사람이 지었다. 며느리였던 이규숙 씨가 양반가 음식에 대해 구술한 책으로 인해 계동마님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저택은 외형은 한옥의 형태를 제대로 갖추고 있지만, 조선시대에 지어진 것은 아니고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에 지어진 건물이다. 이 집은 안채와 사랑채가…
-
서울 안국동 감고당, 인현왕후의 친정으로 북촌을 대표하는 가옥
여주 명성황후 생가 유적지에 있는 고택인 감고당(感古堂)은 숙종이 계비인 인현왕후의 친정을 위해 지어준 집이다. 원래 서울 북촌의 중심인 안국동 덕성여고 교정에 위치하고 있었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 중문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당이 상당히 넓고 건물들은 화려하면서도 웅장하다. ‘ㄷ’자형 안채는 비교적 조선후기 한옥양식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랑채는 중국풍의 누마루를 하고 있으며 유리창문을 사용하는 있다. 조선시대 권문세가들이…
-
서울 성북동 심우장, 만해 한용운이 만년에 살았던 성밖마을 소박한 한옥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명이자 <님의 침묵>의 시인인 만해 한용운 선생이 만년에 살았던 서울 성북동 심우장이다. 서민들이 거주하던 성북동 성밖마을 언덕에 자리잡은 이 집은말년에 그를 따르던 사람들이 마련해준 거처로 크지 않은 규모이다. 원래 선방을 지으려고 마련해 두었던 땅에 지은 집을 지었는데, 총독부를 등지겠다는 의도로 북향을 하고 있다. 마당은 넓은 편이며, 마당에서 성북동 골짜기 풍경이 한눈에…
-
서울 성북동 이종석별장, 도성밖 언덕에 지었던 별장건물
한양도성 밖 성북동 언덕에 위치한 이종석별장이다. 일제강점기 큰부자였던 이종석이 별장으로 지은 것으로 안채와 별채, 행랑채로 이루어졌다. 안채는 ‘ㄱ’자형태로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한 본채 건물과 오른쪽에 날개채로 큰 누마루를 두고 있으며 ‘일관정’이라 적힌 현판을 걸어놓고 있다. 일제강점기 상인이었던 집주인이 권문세가의 대저택을 모방하여 경치좋은 성밖 언덕에 별장을 지었던 가옥이다. <별장 출입문> 별장건물로 문간채를 크게 하고 있지만 않지만 상당히…
-
서울 성북동 이태준가옥, 도성밖 계곡 별장같은 한옥
한양도성 밖 성북동 골짜기에 중간쯤에 위치한 상허 이태준 가익이다.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집장사집으로도 잘 알려진 북촌의 도시형한옥과는 달리 누마루을 두고 있는 구한말 헌옥의 형태가 남아 있다. 성북동 계곡이 내려다 보였던 곳에 자라집고 있는 별장 성격을 가지고 있는 저택이다. 작고 아담하지만 화려하게 지어진 한옥으로 문인이었던 작가의 취향이 많이 반영되어 저술작업을 하기에 적합한 환경에 자리잡고 있는 한옥이다. <상허…
-
서울 성북동 최순우 옛집, 일제강점기 서울의 도시형 한옥
성북동 주택가에 남아 있는 최순우 옛집이다. 이 가옥은 서울지방 전통한옥은 아니고 1930년대 서울에서 크게 유행한 도시형 한옥이다. 건물은 ‘ㄱ’자형 본채와 ‘ㄴ’자형 바깥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본채는 사랑방이 앞면 4칸의 본채와 대청마루와 방이 있는 3칸짜리 날개채로 되어 있고, 바깥채는 대문과 문간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제강점기 도시형 한옥을 대표하는 의미로 등록문화재로 등록되어 있으며, 2002년 한국…
-
운현궁 노락당과 이로당, 가족들의 생활공간인 안채
흥선대원군의 사저인 운현궁(사적257호)은 고종이 왕위에 오르기전에 살았던 곳으로 대표적인 잠저(潛邸)이다. 고종이 왕위에 오르기전에 이곳에서 살기는 했지만 현재 남아 있는 건물들은 고종이 즉위한 이후에 새로이 지은 건물이다. 운현궁은 사랑채인 노안당, 명성왕후가 왕비수업을 받았던 노락당, 안채인 이로당, 별당인 아재당, 정자인 영화루, 은신군.남연군의 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언덕에 있던 별당.사당.정자 등은 일제가 허물고 양관이라는 현대식 건물을 지었다. 운현궁에서…
-
안동 하회마을, 2012년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류씨가 집성촌을 이루며 대대로 살아온 대표적인 양반마을이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경주 양동마을, 안동 천전마을, 봉화 닭실마을과 함께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길지로 손꼽혔던 마을로 서애 류성룡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하회마을은 원래는 허씨와 안씨가 살았던 집성촌인데, 조선초 인근 풍산에서 고려시대 지방 호족에 해당하는 향리였던 풍산류씨가 들어왔다. 마을에는 풍산류씨 입성조인 류종혜가 심었다는 수령 600년이 넘은 삼신당이 있으며, 그곳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