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박물관

  • [광주박물관] 마한사람들

    마한은 삼국시대 이전 한반도 충청.전라자 지역에 있었던 정치집단을 말하면 중국 역사서 <삼국지>에는 마한지역에 54개 소국이 있었으며 그 중 목지국이 맹주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낙랑군과 접하고 있으며 남쪽으로 왜와 연결되는 해상교통로에 위치하고 있어 한.중.일 무역에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마한 지역에서는 청동기 유물들이 비교적 풍부하게 출토되고 있으며 그 수준 또한 높은 편이다. 중국 역사서 <후한서>, <삼국지>,…

  • [광주박물관] 청동기문화의 발전

    한반도 청동기문화를 대표하는 청동기 유물이(국보)가 화순군 대곡리 에서 출토되었다. 샤머니즘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지방울을 비롯하여 청동거울, 청동검 등이 함께 통나무관으로 만든 무덤유적에서 출토되었다. 이외 함평 초포리, 화순 백암리 등에서 비슷한 성격의 청동기 유물들이 출토되고 있어 청동기시대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은 흔적들을 살펴볼 수 있다. 가지방울, 복제품, 화순 대곡리, 국보 한반도 청동기문화를 대표하는 유물 중 하나로…

  • [광주박물관] 청동기시대 무기

    청동기시대 무덤인 고인돌에는 무덤 주인의 신분이나 권위를 보여주는 물건들이 껴묻거리로 묻혔졌는데 그 중 상당수는 권력을 상징하는 무기류들이다. 돌을 갈아서 만든 돌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요령식동검, 한국식동검 등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전남지역에서 출토된 돌칼 권력의 탄생 청동기시대에는 본격적인 농경 사회로 접어들면서 수로 굴착, 고인돌 축조와 같은 공동 노동이 강조되었다. 더불어 잉여생산물…

  • [광주박물관]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광주.전남에서는 10만년전부터 구석기인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구석기시대 유물로는 연천지역과 마찬가지로 아슐리안 석기를 대표하는 주먹도끼를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의 뗀 석기들이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주로 섬진강과 영산강 유역에 분포하고 있다. 신석기시대에도 여러 지역에서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주로 섬이나 해안지역의 조개더미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유물들이 확인되고 있다. 특히 해안가 유적지에서는 일본 규슈지방과 교류했던 흔적으로 추정된 흑요석들이 발굴되고…

  • [광주박물관] 야외전시장

    전남지역을 대표하는 국립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유물들이다. 전남지역은 삼국시대 중심지역에서 벗어난 주변지역으로 다른 박물관에서 석조유물이 많이 전시되어 있지는 않은편이다. 입구에 광주지역 절터에 있던 고려시대 오층석탑이 있으며, 전남의 여러 지역에서 발굴.조사된 고인돌 유물들이 여러점 전시되어 있다. <국립광주박물관 전경> 전남지역을 대표하는 국립박물관으로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석등(국보)를 비롯하여 화순 대곡리에서 출토된 청동기(국보 ) 등을 소장하고 있다. 특히 광주 신창동…

  • 보성 벌교읍 태백산맥 문학관

    전남 보성군 벌교읍 회정리에 있는 태백산맥문학관이다. 1990년대를 대표하는 소설 <태백산맥>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소설 첫장면에 등장하는 소화의 집과 현부자집이 있는 곳으로 중도벌판과 순천만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문학관에는 작품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작성했던 취재메모를 비롯한 각종 자료, 육필 원고 등이 전시되어 있다. 전시 자료들을 통해 소설 <태백산맥>의 탄생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이곳에서 소설의 전체적인…

  • [송광사박물관] 복장유물, 불구, 불화

    송광사는 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사찰로 한국 불교에서의 위상이나 그 내력에 비해 불상, 불구, 불화 등 불교미술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은 유물들은 많지 않은편이다. 송광사 박물관에는 조선후기에 그려진 영산전 팔상도(보물)와 사천왕상 복장유물(보물) 등을 볼 수 있다. 복장유물의 이해 복장은 불상이나 불화를 봉안할 때 금.은.칠보 등의 보물을 함께 넣는 것을 말하기도 하고 불교적 상징물 또는 물품 그 자체를…

  • [송광사박물관] 불교 경전

    송광사는 수행을 중심으로 하는 수행도량으로 다양한 불교경전들을 소장하고 있다. 조계종의 근본경전인 금강경을 비롯한 많은 경전들과 한글창제 이후 한글로 번역한 다양한 언해본 불경 등이 있다. 그 중 경패(보물 175호)는 고려시대 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만들었던 꼬리표로 그 제작수법이 뛰어나며 역사적인 가치가 높은 유물이다. 경전 경전이란 부처님이 설한 교법과 그것을 기록한 불교성전을 말한다. 범어로 ‘수트라(Sutra)’라고 하며 크게 경(經).율(律).논(論)…

  • [송광사 박물관] 승보사찰 송광사

    순천 송광사(사적)는 수행을 중시하는 대표적인 수행도량으로 승보사찰로 불리운다. 통일신라 때 처음 창건되기는 했으나 그 위상이 높지는 않았다. 고려중기 무신정권 때 보조국사를 중심으로 일어난 불교개혁운동인 정혜결사 중심 도량이 되면서 한국불교에 중요한 사찰로 자리잡게 되었다. 송광사는 12국사를 모신 국사전를 중심으로 한 수행공간을 중심으로 전각들이 배치되어 있는 등 다른 사찰에 비해 수행공간의 특징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고려말 송광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