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중앙박물관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불교공예, 공양구와 밀교법구

    불교공예는 부처의 장엄, 공양, 의식에 사용되는 도구를 가리킨다. 불교공예는 그 쓰임새에 따라 범음구, 공양구, 장엄구, 밀교법구 등이 있다. 공양은 불(佛).법(法).승(僧)과 부모, 죽은자의 영혼에게 공물을 바치는 것을 의미하며, 공양구(供養具)는 공양을 올릴 때 사용되는 도구를 만한다. 공양물로는 향, 등(燈), 꽃, 음식 등이 있으며, 공양구로는 촛대, 향로, 정병 등이 있다. 공양구는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많이 만들어 사용되어 왔으며,…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불교공예, 범음구인 범종과 쇠북

    범음구(梵音具)는 불교공예에서 범음(梵音)을 만들어 내는 도구이다. 범음은 부처의 말씀이자. 부처와 보살에게 바치는 모든 소리를 뜻한다. 대표적인 범은구로는 큰 종인 범종, 큰 북인 법고, 나무로 만든 물고기 모양의 목어, 구름 모양의 판인 은판이 있으며 이들 네 가지 범음구를 불교사물(佛敎四物)이라 한다. 범종은 전생과 지옥의 중생을, 법고는 땅 위의 짐승을, 목어는 물속의 중생을, 은판은 허공을 날아다니는 모든 날짐승을…

  • 금령총금관 (보물)과 허리띠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금령총 금관(보물)과 허리띠이다. 경주 대릉원 노동동 금령총(金鈴塚)에서 발견되었다. 신라 금관 중에서 가장 작고 간단한 형식을 하고 있다. 가운데에 ‘山’자모영이 4단으로 연결된 세움장식이 있고 양쪽에 사슴뿔 모양 장식이 달려 있다. 관테와 가지에는 나뭇잎모양의 원판을 달아 장식했다. 관테 좌우에는 귀고리 형태의 드리개로 장식을 하고 있다.  다른 금관과는 달리 옥장식이 없고 금으로만 만들어졌다. <금령총 금관(보물)>…

  • [중앙박물관 금속공예실] 우리나라의 금속공예

    금속공예의 출발은 청동기제작에 사용된 쇳물을 녹여 거푸집에 부어 형태를 만드는 주조기법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으며, 금.은과 같은 귀금속을 두드려서 모양을 만드는 단조기법 또한 그 유래가 오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금속공예품을 만드는 방법은 이 두가지에다가 각종 장식과 무늬를 새겨 넣는 방법으로 낱알장식기법, 새김기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고 한다. 국립중앙방물관 3층 금속공예실은 청동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에서…

  • 청자 음각연꽃넝쿨무늬매병(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든 “청자 음각연꽃넝쿨무늬매병(靑磁陰刻蓮唐草文梅甁, 국보)”이다. 이 매병은 작은 아기라와 풍만한 어깨와 몸통, 잘록한 허리 등 고려청자 매병에서 볼 수 있는 한국적인 특징들을 잘 갖추고 있는 작품이다. 몸통에는 연꽃넝쿨무늬가 음각으로 표현되어 있다. 맑고 투명한 회청색 유약이 고르게 씌워져 있다. 전남 강진 가마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비색청자로 잘 알려진 고려 순청자 전성기 작품으로 추정하고…

  • 청자 음각 ‘상약국’명 운룡문 합(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든 “‘상약국’이 새겨진 청자용무늬 합(보물)”이다. 원통모양의 비교적 큰 합(盒)으로 뚜껑에 ‘상약국’이라는 글자가 적혀 있어 약을 담는 용기였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뚜껑에는 구름과 용무늬가 음각기법으로 새겨져 있다. 청자 전성기(12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단순한 외형을 하고 있지만, 투명한 빛깔과 섬세하게 새겨진 뚜껑의 무늬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상약국(尙藥局)은 고려 목종 때 설치되어 충선왕때까지 있었던 왕실 의료기관으로…

  • 청자 참외모양병(국보),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참외모양병(국보)”이다. 경기도 장군 고려 인종의 장릉에 출토되었다고 전해진다. 고려청자 전성기였던 12세기에 만들어진 참외모양을 하고 있는 청자병이다. 아가리부분은 활짝핀 참외꽃 모양을, 몸통은 참외 모양을 하고 있다. 장식이나 무늬가 없지만 청자고유의 빛깔과 단정하고 세련된 조형미로 당시 귀족들을 취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뛰어난 색과 완벽한 균형미를 잘 갖추고 있는 걸작으로 비슷한 형태의…

  • 청자 양각갈대기러기문 정병(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양각물가풍경무늬 정병(보물)”이다. 몸체의 한면에는 물가의 갈대와 기러기 1쌍을 그렸고 다른 면에는 수양버들 아래에서 수영하고 원앙 1쌍을 그려 놓고 있다. 이 정병는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청동은입사기법으로 만든 정병(국보)과 거의 비슷한 외형을 하고 있다. 청동으로 만들어 사용하던 동기(銅器)를 모방하여 만든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만든 수법이 매우 세련되었으며 안정적인 느낌을 주고…

  • 청자 귀룡모양 주자(보물), 2015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고려시대(12세기)에 만들어진 “청자 귀룡모양 주자(보물)”이다. 연꽃 위에 거북이가 앉아 있는 모양을 하고 있는 주전자이다. 용의 형상을 하고 있는 얼굴은 실감나게 표현하고 있으며, 등 위에 붙어 있는 잎은 연잎모양을, 손잡이는 연줄기 형상을 하고 있다. 거북등 무늬 안에는 ‘王’자를 넣어 두고 있다. 동물모양을 형상화한 상형청자로 전체적으로 비례가 적정하며 안정감을 주고 있다. 청자 귀룡모양 주자(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