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통일신라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의 왕경

    신라의 왕경인 경주는 원래 신라6부가 자리하던 곳으로, 대경(大京)이라고 불리었다. 오늘날 경주 도심의 지형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남쪽에는 남천(南川), 북쪽에는 북천(北川, 알천), 서쪽에는 형산강이 흐르고 동쪽으로는 토함산을 중심을 산맥이 가로막혀 있는 방어에 용이한 구조를 하고 있다. 신라 왕경은 6세기 초반 바둑판 형태의 도로망 구축을 통한 도시계획을 시작하여, 8세기 경에는 완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왕경에는 금성(金城), 월성(月城)과 같은 성(城)과…

  • [경주박물관 특별전,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신라의 대외교류

    마립간시기(5~6세기)에 조성된 경주 도심 고분에서는 화려한 황금문화를 보여주는 금은 장신구와 함께 서역과의 교류관계을 보여주는 여러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그 중 유리그릇이나 유리잔 등은 비단길 또는 바닷길을 통해 서아시아지역에서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서역에서 만들어진 이런 유물들을 통해 신라가 서역과 직접 교류했다고 보는 견해도 있지만, 불교의 전파와 함께 당시 실크로드를 통한 교류가 활발했던 중국을 통해…

  • 경주 낭산(사적), 선덕여왕릉이 있는 신라인이 신성시 여겼던 숲

    경주 낭산(사적)는 도심 동남쪽 보문동.구황동.배반동 일대에 누에고치모양처럼 남북으로 길게 누워 있는 낮은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다. 5세기 실성왕대부터 신성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왔으며, 삼국통일의 기반을 마련한 선덕여왕과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과 관련이 많은 곳이다. 낭산에는 많은 유적지들이 있는데 북쪽편에는 신라 왕실의 기복신앙과 관련되어 있으며, 삼층석탑이 남아 있는 황복사가 있다. 낭산 남쪽 언덕에는 선덕여왕릉이 있으며, 그 아래에는 칠처가람 중…

  •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국보), 효소왕이 아버지 신문왕을 위해 세운 석탑

    경북 경주시 구황동 낭산 북쪽 끝자락에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국보)이다. 높이 7.3m로 이층으로 쌓은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쌓아 올렸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붕돌 밑면에 5단의 받침을 새겨놓고 있다. 통일신라 전기에 세워진 감은사지 동.서삼층석탑이나 고선사지 삼층석탑에 비해서 그 규모가 작아지고, 형태도 단순해졌다. 전체적인 조형미나 조각수법 등의 우수하며,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 경주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보물), 다른 형식을 하고 있는 2개의 탑

    경북 경주시 남산동 옛 절터에 남아 있는 동.서삼층 석탑(보물)이다. 절터는 감은사지 이후 통일신라 사찰의 전형적인 가람배치였던 2탑 1금당식 가람배치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절터에는 형식이 다른 2개의 탑이 세워져 있는데 불국사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형식이다. 통일신라 전성기가 끝나가는 9세경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데, 동탑은 모전석탑 형식이 남아 있는 특이한 형태이며, 서탑은 정형화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 경주 남산 용장사지, 김시습이 머물면서 저술했던 곳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용장계곡 정상부 아래에 남아 있는 옛 절터이다. 이곳은 통일신라 때 승려 대현이 머물렀다는 내용이 <삼국유사>에 남아 있으며, 조선초 김시습이 머물면서 <금오신화>를 저술한 곳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언제 폐사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조선중기까지는 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제강점기 절터에서 ‘용장사(茸長寺)’라고 적힌 기와가 발견되어 사찰 이름이 확인되었다. 용장사는 전통적인 산지사찰의 가람배치를 하고 있는 것은…

  • 경주 남산 삼릉곡 제6사지

    경주 남산 배리 삼릉 계곡에 있는 여러 절터 가운데 비교적 유물이 많이 남아 있는 제6사지이다. 삼릉계곡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이 절터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사찰이 들어서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절터는 축대를 쌓아 비교적 넓은 부지를 확보한 전통적인 산지 사찰과는 달리 전망이 좋은 바위가 있는 계곡에 중턱에 건물을 세운 전형적인 경주 남산의 사찰 형태를 하고 있다.…

  • 경주 남산 승소골 삼층석탑

    경주 남산 승소골 절터에 남아 있던 삼층석탑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정형화된 삼층석탑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탑신 1층에 사천왕상을 새겨 놓은 독특한 형태의 석탑이다. 경북지역과 강원도 지역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사천왕상이나 팔부중상이 새겨진 형태의 삼층석탑이지만, 1층 탑신 몸돌에만 사천왕상을 새겨놓은 점이 독특하다. 전체적인 비례나 조각수법은 양호한 편이지만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승소골은…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사실적인 신체의 표현이 특징인 통일신라 불상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경주 남산 용장사 옛 절터에 남아 있는 석조여래좌상(보물)이다. 3층으로 된 크고 높은 대좌에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머리는 없어졌으며 손과 몸체의 일부가 남아 있다. 이 불상은 다른 불상과는 달리 몸체의 볼륨이 강조되지 않은 현실의 승려가 앉은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신체의 표현 등이 비교적 우수한 편이다. 이 불상에서 보이는 사실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