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안동

  • 안동 오류헌(安東 五柳軒), 임하댐 건설로 임동면 지례동에서 옮겨온 전통한옥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마을에 있는 고택인 오류헌(五柳軒)이다. 이집은 임동면 지례동에 있었는데 임하댐 건설로 마을이 수몰되면서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영남 4대 길지 중 한곳인 천전마을 의성김씨 일가인 김원중이 1678년 분가할 때 세웠다고 한다. 건물은 ‘∏’자형 안채와 ‘-‘자형 사랑채가 합쳐서 전체적으로 ‘ㅁ’자를 이루고 있다. 안채는 원래의 것이나 사랑채는 1920년 개축하면서 크게 증축한 것으로 보인다. 경치가 좋았던 반변천…

  • 안동 학봉기념관, 학봉종택에서 소장한 김성일의 유품을 볼 수 있는 곳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의성김씨 학봉종택에 위치한 학봉기념관이다. 조선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학봉 김성일 종택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품 중 그의 생애와 학덕, 업적 등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유품들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 유물로는 퇴계 이황의 학맥을 잇는 학자로서의 모습을 잘 보여는 <학봉선생문집>을 비롯하여 퇴계의 전기 초고본인 <퇴계사전초(退溪史傳草)>, 관료로서 국정 수행과정을 기록한 각종 일기(日記), 임진왜란 당시 초유사로서 영남지방…

  • 안동 국탄댁(菊灘宅), 임하댐으로 수몰된 지례동 마을에 있던 조선후기 고택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마을 한쪽편에 있는 고택인 국탄댁(菊灘宅)이다. 조선후기 영조대인 1757년에 지어진 집으로 원래는 임동면 지례동에 있었던 것을 임하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이 마을로 옮겨졌다. 건물은 안채와 사랑채가 합쳐져서 ‘ㅁ’자형 주택을 하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 모두 간단한 구조로 지어졌는데, 안채는 앞면 3칸, 옆면 3칸이며, 사랑채는 앞면 4칸 규모이다. 이 집을 지은 국탄은 조선중기 숙종대 문신인 김방걸의 후손이다.…

  • 안동 이우당 종택(二愚堂 宗宅), 임하댐 아래 임하마을 안동권씨 종택

    경북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이우당 종택이다. 이 집은 이우당(二愚堂) 권환(權寏)이 살았던 집으로 안채는 조선중기 인조대인 1640년 경에 지어졌고, 사랑채는 그 이후에 새로 지은 것이다. 집은 뒷편에 곡성산을 두고 마을 앞을 휘감으며 흐르는 반변천을 향해서 북동쪽을 향하고 있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5칸의 ‘ㅁ’자형 안채와 들판이 있는 북쪽으로 돌출된 사랑채, 불천위 조상을 모신 사당으로 구성되어…

  • 안동 호계서원(虎溪書院), 퇴계 이황을 모시기 위해 처음 세워진 서원

    안동시 임하면 임하댐 아래 공원에 있는 호계서원(虎溪書院)이다. 이곳은 퇴계가 죽은 후 그를 모시기 위해 1573년(선조 6년)에 세워진 서원이다. 퇴계를 모시는 서원으로 잘 알려진 도산서원은 원래 퇴계가 후학을 양성하던 강당으로 호계서원이 세워진 이듬해인 1574년에 사당을 갖춘 서원으로 바뀌었다. 처음에는 퇴계의 위패를 모시다 1620년(광해군12)에 제자인 학봉 김성일, 서애 류성룡 2분의 위패를 모시게 되었다. 이후 1626년(숙종2)에 ‘호계(虎溪)’라는 이름과…

  • 안동 송제비(松堤碑), 임하댐 아래 반변천에 제방을 쌓은 내력이 적힌 비석

    안동 도심에서 반변천을 따라 영양과 영덕을 연결하는 34번 국도변에 있는 송제(松堤) 사적비이다. 이곳은 안동 도심에서 4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동댐이 있는 낙동강 본류와 임하댐이 있는 반변천이 만나는 지점에서 멀지 않은 곳이다. 주변 지역은 백두대간의 물이 한곳에 모이는 곳으로 예로부터 홍수의 피해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주택가에서 약간 떨어진 도로변 경치좋은 곳에 작은 정자와 함께…

  •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 제비원 석불로도 불렸던 고려시대 거대 석불

    안동시 안동과 영주를 연결하는 옛국도변에 위치한 이천동 마애여래입상(보물)이다. 불상은 자연암석에 불상의 몸체를 선으로 새기고, 머리는 따로 조각하여 올려놓은 거대한 불상이다. 머리에는 상투모양의 육계가 높이 솟아 있고 얼굴에는 미소가 흐르고 있다. 머리에 얼굴에 주홍색이 남아 있어 원래 채색되어 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양 손은 검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어 왼손을 가슴에 대고, 오른손을 배에 대고 있는 수인(手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