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청동기시대

  •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모산마을 부근 괴바위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괴바위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화순군 효산리 모산마을 부근에 분포되어 있는 47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유적지 입구에는 고인돌이 조성되었던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를 재현해 놓은 체험장이 있고 춘양면으로 연결되는 길옆 언덕에 고인돌들이 분포되어 있다. 그 중 괴바위 고인돌은은 길이 5.3 m, 폭 3.6 m의 거대한 고인돌로 다른 고인돌에…

  • [산동성박물관, 하.상.주시대] 악석문화(岳石文化, Yueshi culture), 산동지방 청동기문화

    산동성(山東省)은 중국 황하 하류 발해만과 황해를 접하고 있는 지역으로 인구가 약 1억명에 이르는 중국에서 상당히 큰 지방이다. 중국의 역사시대인 하(夏).상(商)왕조 때에는 동이(東夷)라고 하여 중국 동쪽 변방지역으로 여겨졌으며 크고 작은 세력들이 있었다. 주왕조가 들어선 이후에는 제(齊)와 노(魯)가 산동지방의 주요 제후국이었으며, 정치, 경제, 문화, 기술적으로 산동지방을 이끌었다. 중국을 대표하는 사상인 유가(儒家)와 묵가(墨家)가 산동지방에서 발생했다. 산동성박물관에서는 역사시대 중국을…

  •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동선문화 사람들

      동선(Dong Son, 東山)문화는 기원전 500~0년에 베트남 북부 홍강 유역에서 크게 번창했던 선사시대문화이다. 동선문화 사람들은 비옥한 평야지대에서 쌀을 경작하고, 소와 돼지를 길렀으며 배를 타고 고기잡이를 했던 것으로 보인다. 동선문화는 실제로는 철기시대 문화로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농기구를 비롯하여 일상생활 도구로 철기나 석기를 사용했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청동으로 만든 도구를 많이 사용했던 것이 특징이다. 또한 청동북을 비롯하여…

  •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청동기 제작기술의 발달, 동더우.고문문화

    1. 청동북, 동선문화 상징, 2. 홍강 유역 청동기문화, 3. 동더우, 고문문화, 4. 동선문화, 국가의 성립, 5. 동선문화 사람들, 6. 사후인문화, 7. 남비엣국, 동선문화의 전승 동더우(Dong Dau, 기원전 1,500~1,000년)문화는 베트남 최초의 선사문화인 풍응우옌(Phung Nguyen, 기원전 2,000~1,500년)을 잇는 선사문화로 본격적인 청동기시대로 발전했던 시기이다. 동더우문화는 베트남 북부 홍강유역의 빈푸.하노이 등 여러 지역에 분포하면 풍응우옌 문화의 분포지역과 비슷하다. 이 시기에는 거푸집을 이용한 청동기 제작기술을 보여주여…

  • [중앙박물관특별전, 베트남 고대문명전] 홍강 유역 청동기 문화

    1. 청동북, 동선문화 상징, 2. 홍강 유역 청동기문화, 3. 동더우, 고문문화, 4. 동선문화, 국가의 성립, 5. 동선문화 사람들, 6. 사후인문화, 7. 남비엣국, 동선문화의 전승 중국 남쪽 인도차이나 동해안에 자리잡고 베트남에는 구석기시대 이래로 사람들이 살아왔다. 베트남의 청동기시대는 기원전 2000~1500년에 존재했던 풍응우옌문화부터 시작되었으며, 동더우(Dong Dau), 고문(Go Mun)문화를 거쳐 기원전 500~0년에 존재했던 동선문화에서 화려한 청동기문화를 꽃피웠다.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발전하는 풍응우옌 문화는 독특한 장식의 토기,…

  • 속초 조양동 유적(사적), 청동기시대 집터와 고인돌

    강원도 속초시 조양동에 있는 속초 조양동 유적(사적)이다. 동해안 대표적인 석호인 청초호 서쪽편 낮은 구릉에 위치하고 유적으로 청동기시대에 해당하는 기원전 8세기경에 사람이 살았던 집터와 무덤들이다. 1992년 주변지역이 택지로 개발되는 과정에서 발굴.조사되었는데  7채의 움집터와 고인돌 2기가 발굴.조사되었다. 고인돌에서는 부채꼴 모양의 청동도끼가 출토되었으며, 집터에서는 토기조각 및 석기, 반달모양돌칼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고인돌에서 발굴된 부채꼴 청동도끼는 함경도에서 나온적은 있으나…

  • [중앙박물관 청동기,고조선실] 청동기시대 고조선과 성읍국가

    고조선은 한반도에 최초로 등장한 고대국가로 삼국유사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2333년에 단군이 건국했다고 한다. 고조선은 사마천이 저술한 ‘사기’에도 등장하는 잘 알려진 국가로 대체로 청동기시대에서 철기시대까지 존재했던 국가로 ‘조선’이 정확한 이름이지만, 조선왕조와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고조선으로 부른다. 고인돌과 요령식 동검으로 대표되는 한반도와 요령성지역에서 고조선을 중심으로 문화권을 형성했으며, 중국 연나라와 교류가 많았다. 고조선은 중국으로부터 지속적을 유민들이 유입되었고, 문화교류…

  • [중앙박물관 청동기.고조선실] 청동기시대 사람들의 생활

    한반도의 청동기시대는 중국 동북 지역, 만주지역과 함께 한반도를 주 무대로 하여 기원전 15세기 무렵에 시작되었다. 이는 중국 황화유역과는 다른 문화권으로 알려져 있다. 고대국가인 고조선이 이 지역에 존재했다는 점과 현재까지 출토되는 비파형 동검, 지배계층의 무덤인 고인돌 등에서 많은 유사성.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고조선은 이러한 청동기시대 문화를 바탕으로 등장하였다. 한편, 기원전 4세기 무렵부터는 청동기와 더불어…

  • 강화 부근리 지석묘(사적), 동아시아 고인돌을 대표하는 유적지

    강화군 하점면 부근리에 소재한 지석묘(사적)이다. 하점면 일대 40여기의 고인돌과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많은 고인돌을 대표하는 고인돌이다. 높이 2.6m, 덮개돌 길이 6.5m의 대형 고인돌로 탁자모양을 하고 있는 북방식 고인돌이다. 부근리 일대에서 무문토기조각과 간돌검 등이 출토되는 것으로 볼 때 청동기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덮개돌, 받침돌이 온전히 보존되어 있으며, 사체를 넣은 막았던 판석은 남아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