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성곽
-
홍성 홍주읍성 (사적), 구한말 크게 보수한 읍성
충남 홍성군 홍성읍에 있는 홍주읍성(사적)이다. 옛 홍주목 읍치를 둘러싸고 있는 읍성으로 언제 처음 쌓았는지는 알려진 바 없지만 왜구의 침입이 대비하여 전국적으로 읍성을 쌓기 시작했던 세종때부터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읍성은 구한말인 고종때 홍주목사 한응필이 크게 보수하였으며, 일본에 대항한 큰 전투가 있었던 곳이다. 당시의 전투결과 및 일본인들로 인해 훼손되기는 했지만 홍주목 관아, 성문…
-
예산 임존성(사적), 백제 부흥운동의 중심지였던 곳
충남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에 있는 임존성(사적)이다. 삼국시대 백제가 쌓은 산성으로 백제 멸망 후 흑치상지를 중심으로 일어났던 부흥운동의 중심이 되었던 곳이다. 봉수산(해발 483.9 m)의 봉수산과 동쪽편 봉우리를 에워싸고 있는 테뫼식 산성이다. 성벽은 둘레 약 3 km로 바깥쪽을 돌로 쌓은 석축성이며 성벽의 높이는 2.6 m 정도이다. 현재는 성벽 일부와 성문, 수구문, 우물터, 건물터 등이 남아 있다. 봉우리와…
-
보은 삼년산성(사적), 삼국시대 신라를 대표하는 산성
충북 보은군 보은읍 어암리에 있는 삼년산성(사적)이다. 삼국시대 신라가 쌓은 산성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인 5세기 소지왕 때(470년) 쌓았다. 삼년산성이 위치한 보은읍은 상주와 청주,대전를 연결하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백두대간을 통과하는 중요한 교통로 중 한곳이며 삼국이 한강유역 패권을 다투던 시기에 백제 도읍이었던 공주와 부여를 직접 공략하기 위해 지나가야 하는 길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주변에는 1,600여기에 이르는 많은 고분들이…
-
양주 대모산성(사적), 임진강과 한강 사이 교통로를 지키는 군사요지.
경기도 양주시 백성읍 방성리에 있는 대모산성(大母山城, 사적)이다. 파주 칠중성이 있는 적성면을 통해 임진강와 의정부를 거쳐 중량천을 따라 한강유역과 연결되는 중요한 길목에 자리잡고 있다. 조선시대 한양 동쪽과 북쪽 지역을 관장하던 양주목 관아가 있던 양주시 유양동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산성은 한강유역 장악에 중요한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으며 방어적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을 다스리는 행정중심으로서의 역할을 했던…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프라하] 근대 방어시설
프라하는 17세기초 당시 유럽의 세계대전이라 할 수 있는 30년 전쟁의 진원지로 인구의 1/3이 감소될 정도로 큰 피해를 입었다. 30년 전쟁 기간 동안 중세에 쌓은 성곽들은 무용지물이 되었으며, 새로운 신무기에 대포에 대응하기 위해 대대적인 보강이 있었다. 하지만 시대에 뒤떨어진 이탈리식 축성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이후에 전쟁에서 성곽은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19세기에는 황제의 요새 기능 포기 명령과 도심의…
-
[서울역사박물관 특별전, 프라하] 초기의 방어시설, 성채
9세기 말 체코인들이 보헤미아 왕국을 세운 이래로 프라하는 새로운 국가의 중심 역할을 해왔다. 이때 체코공작들이 거주하는 프라하 성이 지어졌으며, 블라타강 건너편에는 비셰흐라드라는 성채가 만들어졌다. 이때의 성곽은 나무와 흙으로 성벽을 쌓은 토성 형태를 하고 있었으며 이후 탑이나 망루 등이 세워지고 성곽은 돌로 쌓은 석성으로 대체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도시의 규모가 확대되고 도시를 방어하기 위해서 성벽은 점차 도시의…
-
구례 석주관성(사적), 섬진강변에 위치한 호남의 관문
전남 구례군 토지면 송정리 섬진강변에 위치한 석주관성(石柱關城, 사적)이다. 고려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진(鎭)이 설치된 곳이다. 임진왜란때 전라방어사 곽영이 호남으로 들어오는 왜적을 막기 석주관성을 쌓았다고 한다. 지리산과 광양 백운산 사이에 섬진강이 협곡을 이루면서 지나가는 곳이다. 성벽을 요새처럼 쌓은 곳은 아니고, 섬진강변 협곡과 같은 지형이 적의 공격을 방어하기에 용이하다. 성벽은 약 753m이고 성벽은 50~120cm로 그리 높지 않은…
-
단양 온달산성(사적), 고구려 온달장군 전설이 남아 있는 산성
충북 단양군 영춘면 하리에 있는 삼국시대에 쌓은 산성인 온달산성(사적)이다. 남한강 남쪽 성산(城山) 정상부 부근부터 북쪽 방향 경사진 지형에 반덜모양으로 성벽을 두르고 있는 테뫼식산성이다. 성의 둘레는 683 m이며, 남쪽 봉우리와 북쪽성벽 안쪽에 약간의 평탄한 땅이 있다. 동.서.남쪽에 성문과 수구가 지금도 남아 있다. 서북쪽은 가파른 절벽이며 동쪽과 남쪽에는 돌로 석축을 쌓았다. 작은 크기의 돌을 촘촘히 쌓아 올린…
-
[수원화성] 서이치~서북각루(西北角樓), 팔달산 북쪽 능선
팔달산 정상에 자리잡은 수원화성 지휘소인 서장대에서 서문에 해당하는 화서문 부근 서북각루(西北角樓)까지는 거리(약400m)가 짧으면서 경사가 있는 편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서 포루와 치의 간격이 약간 좁은 편이다. 서장대 아래 경사진 능선에 치성과 포루가 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성벽 바깥에는 수원역과 경기도청 등 주요 행정기관에 많이 몰려 있다. 경사진 능선을 따라서 내려오던 성벽길이 평지로 바뀌는 곳에는 화서문 일대…